View : 10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영실-
dc.creator전영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00-
dc.description.abstractGenerally, the significance of family variables in criminologial research has been known to be minimal. Nevertheless, the role of the family in deliquency is important because socialization preventing delinquency has taken place in the famil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actor and delinquency can be examined centering around parental socialization, namely, parental child rearing.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 rearing and adolescent delinquency, through combining ideas of social control and coercion theory. Hirschi s social control theory emphasizes the child s attachment to parents. And Patterson s coercion theory emphasizes parental management. Attachment and parental management are important dimentions of child rear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parental management and delinquency. Also, the intervening factor of internalization is examined. Because child s internalization of values is important motivational mechanism on delinquency, but also is effected by child rearing. This study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First, previous research that has revised Hirschi s assertion dealing with attachment, commitment, involvement, belief together in the same magnititude, emphasize a linear association starting from attachment through belief and ending up to delinquency. Second, in some of them, it is emphasized that parental discipline affects a child s internalization which may become a mechanism to prevent delinquenc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rearing and delinquency, this study uses Nye s concepts(direct/indirect/internal control) which are relatively comprehensive. Two dimentions of child rearing can be compared through Nye s concepts: direct and indirect control. In this study, direct control consists of normative regulation, parental monitoring, parental sanction(especially punishment). And indirect control consists of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with parents. Internal control consists of belief and the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rearing and delinquency,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over 600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Major finding are summarized in the below. First, factors such as parental deviance and conventionality have larger effects than the structure of the family in terms of its size, composion(broken-unbroken), family SES on child rearing. Especially, conventionality of parent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five child rearing variables in all. Secon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direct/indirect control and child s internal control, it is found that identification with parents, monitoring influence on the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significantly. And it is found that belief is effected by identification with parents, normative regulation. Identification with parents influence both dimentions of internal control. This fact suggests that identification with parents is important to form internal control. Thir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ontrol and delinquency, it is found that both dimentions of internal control influence minor and serious delinquency. This fact suggests that internalization such as belief is important motive to commit delinquency. Forth,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ndirect control and delinquency, it is found that direct control has larger effects than indirect control on minor/serious delinquency in all. This result is more supportive of Patterson s coercion theory than Hirschi s social control theory. Among direct control factors, monitor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minor and serious delinquency. Therefore parental monitoring is important factor to control child s delinquency. Also, it is found that parental direct/indirect control have greater effects on minor delinquency.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rect/indirect control, internal control on delinquency. When the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is used as an intervening variable, the effects of identification with parents and punishment on delinquency are mediated through the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Monitoring not only has direct influence on delinquency, but also has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When belief is used as an intervening variable, identification with parents and normative regulation have indirect effects on delinquency through belief. Monitoring and punishment have direct effects on delinq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dentification with parents has only indirect effect on delinquency in both pat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ild rearing variables affect delinquenc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dentify child rearing factors related to delinquency, and, ultimately, identify the ways of child rearing which faciliate healthy growing-up of children. ; 청소년 비행에 있어서 가족적 요인의 중요성은 간과될 수 없다. 이는 가족이 가장 중요한 사회화기관이라는 점에 근거해서 볼 때 그렇다. 가족이 자녀의 사회화를 담당한다는 것은 비행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가족적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렇듯 가족적 요인과 비행간의 관계는 부모의 사회화, 즉 부모의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살펴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부모의 자녀양육 중 애착과 부모의 관리를 각각 강조하는 이론인 사회통제이론과 강압이론의 중심개념들을 조합해서 자녀양육의 중요한 두 차원과 비행간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이와 더불어 부모의 자녀양육이 자녀의 가치 내면화를 통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았다. 자녀의 내면화는 비행에 중요한 동기가 되는 동시에 부모의 자녀양육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내면화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것은 사회통제이론에 대한 경험적 연구 중에서 허쉬이후의 수정된 논의, 즉 애착이 신념을 통해 비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의와 부모의 훈육이 자녀의 내면화에 관련된다는 논의 등을 근거로 하여 설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자녀양육의 두 차원과 자녀의 내면화에 대해 나이의 통제유형의 개념, 즉 직접통제, 간접통제, 내면적 통제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나이의 개념을 사용한 이유는 이 개념들이 비교적 포괄적이며, 자녀양육의 두 차원을 대비시키면서도 통일된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또한 직접/간접 통제와 내면적 통제의 개념을 통해 일관된 개념을 가지고 연구모형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직접통제의 요소는 규범적 규제, 감독, 처벌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간접통제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부모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파악하였다. 내면적 통제는 중화기제와 인습적 가치에 대한 신념 등 두 가지의 차원으로 살펴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부모의 자녀양육과 자녀의 내면적 통제, 자녀비행간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서울시에서 남자고등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자녀양육변수에 관련되는 요인을 살펴 본 결과, 가족의 구조적 특성이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는 부모의 개인적 특성이 더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개인적 특성 중에서 특히 부모의 인습성은 모든 자녀양육변수에 관련되어서, 부모자신이 인습적일수록 자녀에 대한 직접, 간접 통제가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부모의 일탈성과 관련해서, 허쉬의 사회통제이론에서는 부모가 일탈적인지의 여부보다는 부모에 대한 애착이 중요하다고 논의한다. 이 논문에서의 결과를 보면 일탈적인 부모에 대해서는 애착을 갖는 경향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어서 부모의 일탈성이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부모의 직접, 간접통제가 자녀의 내면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중화기제에 대해서는 동일시와 감독, 처벌의 적절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인습적 가치에 대한 신념에 대해서는 동일시와 규칙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동일시의 경우 내면적 통제의 두 차원에 모두 관련이 되어서 내면적 통제형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내면적 통제의 비행에 대한 영향을 보면, 중화기제와 신념이 비행의 유형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두 요인이 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보여주는 것이며, 신념 등 내적 요인이 비행에 중요한 동기가 된다는 논의들을 지지해 주는 결과이다. 넷째, 부모의 직접/간접 통제와 내면적 통제, 비행간의 관계를 살펴 보는 부분에서는, 먼저 직접/간접통제와 비행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비행과 중비행 모두 간접통제보다는 직접통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패터슨의 강압이론을 지지해 주는 결과이다. 직접통제 요인 중에서 감독은 경비행, 중비행 모두와 관련이 되어서 부모의 감독이 청소년의 비행통제에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가 청소년기로 갈수록 부모의 감독이 중요하다고 한 스나이더와 패터슨의 논의와 통하는 것이다. 또한 부모의 직접/간접통제의 비행에 대한 설명력을 비행의 유형에 따라서 살펴보면, 중비행에 비해 경비행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논문의 이론적 배경이 된 사회통제이론과 강압이론이 주로 사소한 비행과 관련해서 설명하고, 또 이에 대해 경험적으로 지지되어 왔던 것과 관련될 것이다. 부모의 자녀양육이 자녀의 내면적 통제를 매개로 해서 전체 비행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중화기제를 매개로 할 경우 동일시와 처벌은 간접효과를 가지며, 감독은 직/간접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념을 매개로 할 경우에는 동일시와 규칙수가 간접효과를 가지며, 감독과 처벌은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시의 경우 내면적 통제를 매개로 할 경우 비행에 대해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서 허쉬의 논의보다는 허쉬이후의 수정된 논의가 설득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의 연구결과는 부모의 자녀양육이 자녀의 비행에 대해 일정정도의 설명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비행과 관련되는 자녀양육요인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자녀가 한 인간으로서 잘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모의 양육방식을 구체화하기 위한 시도라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 1 Ⅱ. 이론적 논의 ------------------------------------------------------- 6 A. 초기의 논의들 ----------------------------------------------------- 6 1. 글루엑 부부의 경험적 연구 ---------------------------------------- 7 2. 리이스의 논의 ---------------------------------------------------- 9 3. 나이의 초기통제이론 ---------------------------------------------- 10 B. 사회통제이론 ------------------------------------------------------ 14 1. 허쉬의 사회통제이론 ---------------------------------------------- 15 2. 경험적 연구들에서의 논의 ----------------------------------------- 19 3. 사회통제이론의 한계 ---------------------------------------------- 26 C. 강압이론 ---------------------------------------------------------- 27 1. 패터슨의 강압이론(coercion theory) ------------------------------- 27 2. 경험적 연구들에서의 논의 ----------------------------------------- 34 3. 부모의 관리, 내면화, 비행의 관계를 다루는 논의 ------------------- 39 4. 강압이론의 한계 -------------------------------------------------- 41 D. 최근의 통합적인 논의 ---------------------------------------------- 42 1. 웰스와 랜킨의 연구 ----------------------------------------------- 43 2. 그 밖의 경험적 연구 ---------------------------------------------- 46 E. 부모의 자녀양육에 관련되는 요인 ----------------------------------- 47 1. 가족의 구조적 특성 ----------------------------------------------- 47 2. 부모의 특성 ------------------------------------------------------ 51 F. 연구모형 ---------------------------------------------------------- 53 Ⅲ. 연구방법 ---------------------------------------------------------- 62 A.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62 1. 자료수집 --------------------------------------------------------- 62 2. 분석방법 --------------------------------------------------------- 64 B. 주요 변수의 측정 -------------------------------------------------- 65 1. 자녀양육 --------------------------------------------------------- 65 2. 내면적 통제 ------------------------------------------------------ 73 3. 비행 ------------------------------------------------------------- 76 4. 부모의 자녀양육과 관련되는 변인 ---------------------------------- 81 Ⅳ. 조사결과분석 ------------------------------------------------------ 83 A. 부모의 자녀양육에 관련되는 요인 ----------------------------------- 83 1. 가족의 특성과 자녀양육과의 관계 ---------------------------------- 83 2. 가족의 특성에 따른 직접 통제 ------------------------------------- 85 3. 가족의 특성에 따른 간접 통제 ------------------------------------- 90 B. 자녀양육의 내면적 통제에 대한 효과 -------------------------------- 95 1. 자녀양육, 내면적 통제의 관계 ------------------------------------- 95 2. 자녀양육이 내면적 통제에 미치는 효과 ----------------------------- 98 C. 내면적 통제의 비행에 대한 효과 ------------------------------------103 1. 내면적 통제와 비행의 관계 ----------------------------------------103 2. 내면적 통제가 비행에 미치는 효과 ---------------------------------104 D. 자녀양육, 내면적 통제의 비행에 대한 효과 --------------------------106 1. 자녀양육, 내면적 통제, 비행의 관계 -------------------------------106 2. 자녀양육이 비행에 미치는 효과 ------------------------------------109 3. 자녀양육, 내면적 통제가 비행에 미치는 효과 -----------------------118 E. 가족특성, 자녀양육, 내면적 통제의 비행에 대한 효과 ----------------129 Ⅴ. 요약 및 결론 ------------------------------------------------------131 참고문헌 --------------------------------------------------------------139 부 록 ---------------------------------------------------------------158 Abstract --------------------------------------------------------------1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246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녀양육과 비행의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rearing and delinquency-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