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미희-
dc.creator유미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27-
dc.description.abstract여권주의는 인류 역사상 가장 혁명적인 사상일 것이다. 그것은 세계 인구의 절반이 처한 현실의 질곡을 폭로하고, 그들의 해방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시도이기 때문이다. 한 시대를 풍미하는 이념이 일정한 기간을 지나면 진부한 것 으로 배척당한 데 비해, 여권주의는 성차별이 종식되는 그날까지 존속할 긴 생명력을 가진 것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여성이 하나의 통일성 을 지닌 집단으로 실존하는 것이 아니라 인종, 민족, 계급에 따라 다양하게 분열되어 있듯이 서구의 철학적 배경에서 출발한 여권주의가 한국의 무용가 최승희에게 어느정도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지녔는가를 살펴보고자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문헌연구방법론과 인터뷰기법을 채택하였고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재적 접근법을 그 기본전제로 하였다. 여권주의는 그 대상범위가 광범위한 만큼 매우 다양하게 끊임없이 새로운 이념과 결합하면서 여러 갈래로 전개되었으며, 각국의 역사발전단계나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편차를 보이므로 단일하게 설명되어 질 수 없다. 그러나 여권주의는 궁극적으로는 여성인간화운동으로 여성의 다방면에서의 자아실현을 목표로 한, 창조적 인간으로서의 여성을 지향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이론적 배경으로 여권주의의 개념과 이론의 전개, 특성을 살펴보면서 근대 여성의식의 대두와 더불어 등장한 여권주의가 무용예술, 특히 근대무용혁명을 통해 어떻게 여권주의적 성취를 이루었는가를 고찰하여 보았다. 로이 플러(Loie Fuller), 이사도라 던컨(Isadora Duncan), 루스 세인트 데니스(Ruth St. Denis), 마리 뷔그만(Mary Wigman), 그리고 마사 그라함(Matha Graham) 등 초기 여성현대무용가들은 당시 남성중심사회 속에서 신여성의 주요상징으로서 다양한 여성이미지를 제시함과 더불어 전문적인 여성안무가, 무용수로서 자립성을 지닌 여성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러한 전통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급진적 실천운동으로 전개되면서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 근대 여성의식이 대두되고 이에 따라 여성해방적 담론이 출몰하는 시기에 최승희의 출현은 근대한국사회에 커다란 이슈로 등장했으며, 역사의 질곡 속에서의 그녀의 생애와 예술적 성과는 동양의 이사도라 던컨이라 불리울 만큼 한국의 무용문화에 새로운 혁명을 불러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최승희는 전통적인 여성에 대한 통념에 반기를 들고 주체적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삶의 양식을 선택하여 자아실현을 이룬 자유롭고 자율적인 신여성이었다. 그녀의 예술적 성취는 여성문화의 선구자로서 민족적 자긍심을 형성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작품을 통해 투영된 진취적인 여성, 혁명투사로서의 여성이미지는 기존의 나약하고 수동적인 여성상에서 벗어난 탈전통적 여성성을 드러낸 것이었으며, 사회적 성취를 통해 최승희는 경제주체로서의 자립성을 획득한 여성이었다. 이와 같은 요소들은 여권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여권주의의 특성을 지닌 것이라 할 수 있다. 최승희를 여권주의 입장에서 분석해본 결과 그녀의 여권주의란 그동안 반제, 반봉건를 부르짖는 제3세계 여권주의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었으며, 서양의 급진적인 여권주의와 비교해볼 때 현모양처의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보수적인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보수성은 유교의 이데올로기가 잔존하고 있는 한국적 상황에 기인한 여권주의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그녀의 여권주의는 의식적인 차원에서 여성성을 강조하거나 여성문제를 이슈화하지는 않았으나 무용을 통해 성에 대한 인식을 표명하여 새로운 여성의 이미지를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광의의 여권주의에 동참한다고 할 수 있다. 여권주의 입장에서의 최승희무용연구는 한국의 무용예술에서의 여권주의의 기반을 모색하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이제까지 반쪽의 문화 였던 북한에서의 예술행적까지 포괄하여 고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됨으로써 남북한 예술의 동질성 마련에 그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This thesis has a purpose to examine how feminism affected a Korean dancer, Choi Sung Hui and its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just like women exist not as a group of unity but are diversely divided into races, nations, and classes. Feminism has made progress combining with new, continuous ideas and divied into many pieces with its extensive range. Since it differs according to the stage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cultural-social difference, feminism cannot be explained simply. However, feminism is a movement of woman humanization and points to a woman as creative human being with the aim of self-realization in various fields. Accordingly, I examined how feminism made its achievement through modern dance revolution appearing with modern women s ideology by studying the concept and theory development of feminism as theoretical backgrounds. Early modern dancers like Loie fuller, Isadora Dancan, Ruth St. Denis, Mary Wigman, and Martha Graham, suggested various female images as the major symbol of new woman in man-dominating society, and they are highly evaluated as professional choreographer, dancer and also as independent women. And this tradition has continued until today with its radical practice movement. The appearance of Choi Sung Hui became a big issue in modern Korean society where modern women s idelogy had just appeared and discourses on women s started to occur, and her life and artistic achievement revolutionized Korean dance culture as Eastern Isadora Duncan. Choi Sung Hui was an autonomous woman who chose her proper life style and made her self-realization, and her artistic achievement can be valued as a pioneer of female culture and a woman who formed national identity. Also, not traditinal women shown through her work, and the essential image of women were as solid as her life route. Especially, femininity revealed through maternal charact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ern in the feminism point of view, and spreads extended eyesight accepting huge maternity. Choi Sung Hui has some conservative limitations based on a good wife s ideology, but this conservativeness can be called a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ituations, and her feminism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at of the third world. A study on Choi Sung Hui s dance as seen through feminism can be the basis of groping for the foundation of feminism in Korean dance art, and,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the ground for sharing homogeneity with north and south Korean art by taking this as a momentum of including the half culture, that of North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방법 -------------------------------------------------------- 5 Ⅱ. 여권주의와 무용의 제관계 ---------------------------------------- 8 A. 여권주의 -------------------------------------------------------- 8 1. 여권주의의 개념과 이론의 전개 ---------------------------------- 8 2. 여권주의의 특성 ------------------------------------------------ 17 B. 여권주의와 무용예술 --------------------------------------------- 21 1. 성차별적 인식 -------------------------------------------------- 21 2. 여권주의와 근대무용혁명 ---------------------------------------- 23 3. 한국여권주의의 흐름 -------------------------------------------- 31 Ⅲ. 최승희의 생애와 무용예술 ---------------------------------------- 41 A. 최승희의 생애 --------------------------------------------------- 41 1. 시대적 배경 ---------------------------------------------------- 41 2. 생애 ----------------------------------------------------------- 44 B. 최승희의 무용예술 ----------------------------------------------- 51 1. 작품경향 ------------------------------------------------------- 51 가. 민족주의적 색채 ---------------------------------------------- 51 나. 혁명주의적 무용극 -------------------------------------------- 54 2. 예술관 --------------------------------------------------------- 58 가. 자아의 주관적 표현의 추구 ------------------------------------ 58 나. 신무용사조의 선구적 정신 ------------------------------------- 60 다. 글로벌리즘의 예술적 구현 ------------------------------------- 63 Ⅳ. 최승희의 예술과 삶속에 나타난 여권주의의 요소 ------------------- 67 A. 자유주의 신여성 ------------------------------------------------- 67 B. 여성문화의 선구자 ----------------------------------------------- 75 C. 민족적 자긍심 --------------------------------------------------- 81 D. 탈전통적 여성성 ------------------------------------------------- 84 E. 경제주체적 여성성 ----------------------------------------------- 95 Ⅴ. 결론 ------------------------------------------------------------ 97 참고문헌 ------------------------------------------------------------102 부 록 ------------------------------------------------------------110 영문초록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343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권주의 입장에서 본 최승희 무용예술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