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승혜-
dc.creator전승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6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2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novelist’s sense of history expressed in the narrative form with a focus on five Victorian novels. The starting point is that the meaning in the novel comes to the reader processed by the forms in which it is expressed, and that sense of history in the Victorian period forms the basic ideology which gave meaning to the life of Victorians. Since this study presupposes the inseparability of form and meaning in narrative form, the sense of history found in the novels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form of those novels. Among the five Victorian novels chosen, two are historical novels and three are social novels which deal with the society as a whole or history itself as their subject. In Romola George Eliot attempts an experiment of three systems of values; the philosophical materialist’s order of Nature; the theological idealist’s order of God; and the positivist’s order of Society with an organic view of history. Eliot proposes the organic view of history as the system of values in her times, but with a trace of doubt about its validity. In Middlemarch Eliot tries to affirm the organic view of history might not be abl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man as an individual. In A Tale of Two Cities Charles Dickens presents a double vision of history: one is from the objective perspective and the other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The outcome is two separate views of history instead of one; the first is a view of history as a process of logic with an endless movement of impersonal forces cumulating its results, and the other the progressive linear continuity of history. In Our Mutual Friend Dickens shows a symbolic picture of the then present age which he sees with double attitudes. Dickens, on the one hand, sees the present as being in the process of movement which goes no where, only revolving on its own account, and presents, on the other hand, an optimistic view of history by showing a hopeful prospect of a new age which would put an end to the endlessly repetitive movement. In Vanity Fair William Makepeace Thackeray expresses his sense of history implicitly by means of a subtle and complex u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Becky and the narrator. There are two conflicting views of history in the novel: one is a Whig view of history and the other is a nihilistic view of history. With these, the conclusion is reached that the views of history presented in the Victorian novels are not identical. In spite of their seemingly univocal voice about the moral valu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and society, the sense of history in the novels turned ou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Moreover, the sense of history even in a novel does not appear stable, revealing doubts about its validity on the part of the novelist. This suggests that the narrative form of Victorian novels is not entirely closed as is often said to be. It is closed in the sense that it propounds a system of values and, at the same time, open in the sense that it leaves room for the possibility of various systems of values. ; 본 논문의 주제는 빅토리아 소설에서 작가의 역사의식은 서사형식에 의해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논의의 출발점은 소설 작품의 의미는 형식에 의해 구조화되어 있다는 것과, 빅토리아 시대에 역사의식은 종교적 세계관에 토대를 둔 기존의 가치체계가 붕괴하고 이를 대신할 새 질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빅토리아 시대의 삶에 나타나는 역사의식을 형식과 의미의 문제로 다루어 본 것으로서, 빅토리아 소설에서 역사의식과 서사형식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을 전제로 한 것이다.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서 필자는 역사를 소재로 다룬 역사 소설 두 작품과 총체적 사회를 소재로 다룬 사회소설 세 작품을 선택하였다. Romola에서 George Eliot는 세 가지 가치체계를 실험한다. Eliot는 철학적 물질주의자의 자연질서와, 종교적 이상주의자의 신의 질소, 그리고 유기체적 역사관에 입각한 실증주의자의 사회질서를 대비시킨다. Eliot는 유기체적 역사관을 새로운 가치체계로 제시하지만 이 가치체계가 자연질서와 신의 질서를 대체할 만한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Middlemarch에서 Eliot는 유기체적 역사관을 1830년대 초기 빅토리아 시대에 적용하여 본다. 그 결과 Eliot는 이론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A Tale of Two Cities에서 Charles Dickens는 역사과정을 두 측면에서 바라본다. 하나는 객관적 관점에서 보는 것으로 서술자에 의해 상징적으로 제시되며, 또 하나는 주관적 관점에서 보는 것으로 개인의 비전을 통해 표현된다. 그 결과는 각기 다른 두 개의 역사관이 통합되지 않은 채 제시되어 있다는 것이다. Our Mutual Friend에서 Dickens는 당대를 다루는 데 미래와의 관계를 통해 현재를 다룬다. Dickens는 한 편으로는 그 시대가 같은 과정을 끝없이 되풀이하고 있다는 생각을, 또 다른 한편에서는 이 과정에 종말을 가져올 새로운 시대에 대한 낙관적 기대를 나타내기도 한다. Vanity Fair에서 William Makepeace Thackeray의 역사의식은 Becky와 서술자 사이의 미묘하고 복잡한 상호관계를 통해 전달된다. 역사적 세계에 대해서 Thackeray는 서로 상충하는 두 개의 역사관을 보여준다. 하나는 Thomas B. Macaulay가 주장하는 진보적 역사관이고 다른 하나는 허무주의적 세계관이다. 이런 논의를 통해 필자는 빅토리아 소설에서 역사의식은 작가마다 다르며, 한 작품 내에서도 불확실한 상태로 남아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빅토리아 작가들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하여 동일한 도덕적 가치관을 제시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본 연구는 그 가치관의 근저에 깔려 있는 역사의식은 각기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필자는 빅토리아 소설의 서사형식은 완결과 미완의 두 양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소설이 일정한 의미체계를 토대로 했다는 점에서 완결된 형식이며 동시에 다양한 의미체계를 토대로 했다는 점에서 완결된 형식이며 동시에 다양한 의미체계가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미완의 요소가 빅토리아 소설에 들어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Ⅱ.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배경 ----------------------------------------- 7 Ⅲ. Romola: 실증주의적 역사 이론의 전개 ------------------------------- 27 Ⅳ. Middlemarch: 유기체적 역사관의 이론과 현실 ------------------------ 57 Ⅴ. A Tale of Two Cities: 역사에 대한 이중의 시각 -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 -------------------------------------- 91 Ⅵ. Our Mutual Friend: 역사에 대한 회의적 비전과 낙관적 희망 ----------115 Ⅶ. Vanity Fair: 진보적 역사관과 허무주의적 세계관 --------------------139 Ⅷ. 결론 --------------------------------------------------------------159 참고문헌 --------------------------------------------------------------165 영문초록 --------------------------------------------------------------1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252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사형식과 역사의식 : Eliot, Dickens, Thackeray를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