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박태원소설연구

Title
박태원소설연구
Authors
정현숙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a general study on Tai-Won Park. He has been neglected in Korean Literature, because he is a writer who went to North Korea. This kind of study is on the premise that the important question of literary discussion is the recovery of totality in Korean literary history, and it is possible only when the individual studies of writers who have been unfairly evaluated by the ideological prejudice precede it. Park refused the utilitarian literature and the leaning toward the subject matter, and emphasized the autonomy and artistry of literature. On that account, he greatly dedic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istic novel in the 1930s. He also opposed his contemporary realistic novels, which were represented by proletarian literature. Being in great reaction against emphasizing only ideology and neglecting the formal value of the novel, he fully recognized language and positively accepted and practiced various technical experiments in his writing. He made a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novel’s modernity by the research for the spatial form of the novel, the fictionalization of the ordinary living space, the subtle description of the individual psychology, and the continual attempts at new styles. But his novels gradually changed from modernism to realism. He attained ‘the objective presentation of real life’ in The Landscape of the Riverside, and continually explored it after that time. And this presentation intensified his deep insight and critical sense o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society and his serious quest for the life of a national community. Consequently his works must not be evaluated fragmentarily as modernistic, social, or ideological. We must illuminate them under the relationship of modernism, realism, and national literature. The content of ChapterⅡconsists of Park’s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that are recognized by the positive method. The investigations of these biographical informations are a precedent process to research his novels. The important element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his works are the fact that he is the intermediary class (standing between the yangban and the commoner) and a native Seoulite, and he belongs to the urban generation. That fact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sense of writer that is realistic, individualistic, and every critical. In ChapterⅢ,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a developing process which is expressed in his novels of the 1930s. The main focus of analysis in this chapter is on his narrators and his narrative mode and technique. Park’s novels changed from the inner mind reacting on the world of the common experiences and individual and subjective idealism to the universal and objective recognition of the real outer world. This coincided with a narrator’s objectifying process, which changed from the inner narrator to the outer one. Before and after The Landscape of Riverside, his novels were transfigured from the self-conscious world to the real and social one. In his novels before The Landscape Riverside, he concentrated his effort on the expression of character’s inner world, and accepted and practiced new techniques. But after The Landscape of Riverside, he emphasized the sense of criticism i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society by attaching importance to the objective presentation of the real world. The content of ChapterⅣ is in Park’s modernistic and realistic novels. And it includes his meaning in literary history and his aesthetics. In his former novels he changed novels into spatial art by pursuing spatial form which broke from successive narration of a story. Consequently, the conventional notion of the novel as a time art was broken by him. And he also called attention to the meaning of man’s inner world. By that he contributed to make novel’s narrative nature weaken. Besides he contributed to the widening and deepening of the novel’s range through his various experiments of new techniques. And he avoided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as the conflict of characters, the embodiment of collective ideologies, and the dramatic development of events. With those new attempts, he broke from the conventional novels and contribute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istic novels is the 1930s. Park’s realistic novels showed the stream of mental history in his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detailed investigations and descriptions on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changing time. The study of ChapterⅤ is on Park’s historical novels which were published just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t that time he devoted to his literary needs which had to establish a new national literature through many historical novels. And he emphasized the social practice of literature and ideology. ; 본고는 그 동안 월북작가라는 제약으로 문학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박태원 소설을 총체적으로 논의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문학연구에서 중요한 과제가 한국문학사의 전체성을 회복하는 것이며, 그것은 이데올로기적인 편견에 의하여 그 동안 문학사에서 정당하게 평가 받지 못하고 있는 작가들에 대한 개별연구가 선행될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하였다. 박태원은 공리주의적이며 편내용주의의 문학을 거부하고 문학자체의 자율성과 예술성을 강조함으로써 소설 영역을 확대시키고 심화 시키는데 크게 공헌한 작가이다. 그는 프로문학으로 대표되는 당대의 리얼리즘 소설들이 이데올로기만을 강조하고 소설의 형식적 가치를 소홀히 한데 반발하면서, 소설언어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여러 가지 기법적인 실험을 소설창작에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박태원은 소설의 공간적 형식에 대한 탐구, 일상적 생활공간의 소설화, 인간의 개별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개별 심리에 대한 섬세한 묘사, 새로운 소설 문체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 등을 통하여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을 전개 시킨다. 그런데 박태원 소설은 서서히 이러한 모더니즘 소설에서 리얼리즘 소설로 옮아간다.「川邊風景」에서 확보한 현실세계에 대한 객관적 제시는 이후의 소설에서 지속적으로 탐구되고 당대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과 비판의식 나아가서는 민족공동체 삶에 대한 진지한탐구로 심화된다. 따라서 박태원 소설은 世態小說 또는 이데올로기의 추종이라는 단편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모더니즘과 리얼리즘 그리고 민족문학이라는 상관관계 아래 총체적으로 조명되어야 한다. Ⅱ장에서 박태원 소설을 논의하기 위한 선행작업으로 생애와 문단활동을 실정적인 작업을 통하여 재구하였다. 박태원은 중인계층의 서울 토박이이며 도시세대라는 점이 그의 문학활동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요소이다. 그것은 현실주의 ,개인주의적이며 동시에 강한 비판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작가의식과 매우 밀접한 속성이기도 하다. Ⅲ장에서는 1930년대 발표된 구체적인 작품을 대상으로 박태원 소설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주로 서술자와 서술양식, 그리고 서술기법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박태원 소설을 일상적 경험세계에 반응하는 내면심리, 개인적 주관적 관념론에서 외부세계, 보편적, 객관적 현실적인 문제로 변모한다. 박태원 소설은「川邊風景」을 중심으로 자의식의 세계에서 現實 世態的인 세계로 변모하는 경향을 나타낸다.「川邊風景」이전의 소설들에서는 등장인물의 내면세계에 주력하고 새로운 기법도 적극적으로 수용 실천하지만,「川邊風景」이후의 소설에서는 현실세계에 대한 객관적 제시에 치중함으로써 사회구조적인 모순에 대한 비판의식을 강조한다. Ⅳ장에서는 박태원의 모더니즘 소설과 리얼리즘 소설을 논의하였다. 그것은 박태원 소설을 美學과 아울러 文學史的 의의도 함께 밝혀보기 위한 것이었다. 박태원의 前期小說은 스토리의 順次的인 서술에서 벗어나 공간적 형식을 추구함으로써 소설을 시간 예술로 인식하는 기존의 전통적인 소설 개념을 해체 시키고 공간 예술로 인식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內面世界에 대한 의미를 환기시킴으로써 敍事性이 약화되고, 여러 가지 새로운 기법을 소설 창작에 적극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스토리 위주의 소설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인물은 대립과 갈등을 통한 사건의 극적인 전개라는 전통적인 소설인식에서 벗어나 소설 쟝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전환시킴으로써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 소설의 전개에 크게 공헌한다. 박태원의 리얼리즘 소설은 변동기 사회상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묘사로 당대 정신사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사회 구조인 모순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그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건강한 역사의식을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진정한 리얼리즘소설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Ⅴ장에서는 해방직후에 발표한 박태원의 역사소설을 살펴 보았다. 박태원은 해방직후 여러 편의 역사소설을 통하여 새로운 민족문화의 건설이라는 문학적 요구에 충실하게 대응하면서 문학의 사회적 실천과 정치적인 이데올로기를 강조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