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자영-
dc.creator박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2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6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03-
dc.description.abstractDevelopmental delay can be cured or markedly alleviated if intervention begins early. Many methods and techniques incluing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DDST) have been used for early detection of developmental de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tandardized norms of child development in Korea and to ma다 comparison between child development in Seoul, Tokyo and in Denver,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standardization of DDST is required. Total of 1176 normal children, 2 weeks through 6 years and 4 months of age, were examined by 7 testers, from July to October, 198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Seoul children were advanced than both Denver and Tokyo children, but more so than Tokyo sample. 2. In personal-social sector the Seoul population were faster in development than Denver or Tokyo counterparts. 3. Seoul children passed two items in 3 to 5 year range earlier than Denver sample but their results were more rapid than Tokyo children all through the testing age period. 4. In gross motor and language sectors, Seoul children developed faster than Denver population only during infancy and afterward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ut when compared with Tokyo population, Seoul children were more advanced in both sectors of development. These differences in development can be ascribed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parental attitude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in Korea. Because of the more rapid development of Korean youngsters compared to Denver average, there is possibility of underreferral of delayed children, if DDST is us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the DDST should be standardized on Korean samples. ; 소아의 발육지연(Developmental Delay)은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치유가 가능하거나 그 정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발육장애를 되도록 빨리 발견하기 위하여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선별검사가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DST법으로 한국 아동의 발육과정을 검사하여 발육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외국의 결과와 비교함과 아울러 DDST법을 한국 아동에 맞게 표준화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DDST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생후 2주에서 6년 4개월의 소아의 발육과정을 평가하고 이를 Denver시 및 동경시의 아동과 비교하였든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 연령에 걸쳐 Denver시 및 동경시 아동보다 서울시 아동의 발육이 빨랐다. 2. 한편 발육과정중 개인성-사회성 분야에서 Denver시 및 동경시 아동에 비해 전 연령층에서 발육이 빨랐고, 미세 운동-적응 분야에서는 Denver시 아동에 비해 3~5세층에서는 빨랐으나, 동경시 아동보다는 전 연령층에서 빠른 발육을 보였다. 또한 조대운동과 언어분야에서도 Denver시 아동에 비하면 영아기의 발육만 빠르고, 그 이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동경시 아동에 비하면 전 연령층에 걸쳐서 빨랐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서울시 아동의 발육이 Denver시나 동경시 아동에 비해 빠른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육아방법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한국 아동의 발육을 검사하기 위하여는 한국 아동에 표준화된 한국어판 DDST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Ⅲ. 결과 ------------------------------------------------------------- 6 A. 피검 아동의 특징 ------------------------------------------------- 6 B. 신빙성 및 타당성 ------------------------------------------------- 8 C. 통계분석 --------------------------------------------------------- 9 D. Denver시 아동 및 동경시 아동의 결과 비교 ------------------------- 11 Ⅳ. 고안 ------------------------------------------------------------- 16 Ⅴ. 결론 ------------------------------------------------------------- 23 참고문헌 ------------------------------------------------------------- 24 영문초록 ------------------------------------------------------------- 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13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서울) 아동의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