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1 Download: 0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Title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Other Titles
Child's sex, temperament,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as related to child's emotion regulation
Authors
임희수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연구는 아동의 성,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추가분석으로서 우리나라 어머니들 특유의 정서조절 유형을 파악하고 그 유형들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의 정서조절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에서 5∼6학년 남녀학생 386명과 그 학생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아동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Lerner 등(1982)이 개발한 DOTS(The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와 Windel과 Lerner(1986)가 개정한 DOTS-R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이명숙(1994)의 아동 및 청소년 기질 척도 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는 박성연·이숙(1990), 이미정(1998)의 연구에서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조절 척도는 Gurovich(1999)의 ERS(Emotion Regulation Scale)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정서조절 척도는 Eisenberg (1994)의 척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상황과 아동의 연령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한편 아동의 정서조절 척도에 대하여는 어머니가 평가한 것과 아동 자신이 평가한 것을 함께 제시하여 두 평가자간의 지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에 따른 아동의 정서조절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가 평가한 아동의 정서조절에 있어서의 성차는 회피 전략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남아가 여아보다 더 회피적인 정서조절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아동자신이 평가한 아동의 정서조절에 있어서는 다소 다른 차이를 보여 감정발산 과 공격적 표현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아가 남아보다 감정발산과 공격적 표현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 및 아동이 평가한 정서조절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두 경우 모두 아동의 기질이 활동적일수록 아동은 감정발산, 공격적 표현, 회피의 정서조절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기질이 융통적이며 명랑하고 주의 집중적일수록 아동은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추구의 정서조절 방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조절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에서는 어머니의 정서조절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정서조절(어머니 평가)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조절 방식이 보상적, 표현적, 내면 지향적일수록 아동의 정서조절은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추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이 평가한 경우에는 어머니의 정서조절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정서조절(어머니 평가, 아동 평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합리적 지도, 애정적, 일관성 있는 규제의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아동은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추구의 정서조절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정서조절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정서조절 행동은 대부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어 아동의 정서조절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어머니 평가)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아동이 평가한 아동의 정서조절은 어머니의 평가에 비해 전체적인 설명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정서조절 유형에 대한 추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어머니들 특유의 정서조절 유형을 알아보고자 어머니의 정서조절 6가지 전략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유형화한 결과, 적절한 군집 수는 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조절 유형 4가지 중 군집 Ⅰ은 표현적이면서 약간의 충동성을 나타내며 군집 Ⅱ는 대부분의 정서조절 전략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여 네 군집들 중 가장 소극적인 정서조절을 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군집 Ⅲ은 을 하는 충동적이면서 억제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많이 사용해 양가적인 정서조절을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군집 Ⅳ는 내면지향적이고 표현하는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어머니의 정서조절 유형화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어머니의 정서조절 전략 유형 4가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합리적 지도, 애정, 과보호, 거부/적대에 있어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양가적(충동적이면서 억제적)인 정서조절 유형을 가지고 있는 집단의 어머니들의 양육행동이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조절 전략 유형 4가지는 아동의 정서조절 중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추구, 회피에 있어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가 소극적인 정서조절 유형일 경우 아동의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추구 점수가 가장 낮으며 어머니가 양가적인 정서조절 유형일 경우 아동의 회피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 및 어머니의 정서조절, 긍정적인 아동의 기질이 긍정적인 아동의 정서조절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이 아동 자신의 개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바람직한 양육행동이나 정서조절 방식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child emotion regulation as functioning of child s sex, child s temperament, mother s emotion regulation, and mother s parenting. It was also examined mother s emotion regulation type that mother s parenting, child s emotion regul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subjects were 386 children of fifth or sixth grade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Kyong ki-do. All measure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constructed by Windel & Lerner(1986) s DOTS-R, Park & Lee(1990) s Mother s Parenting Scale, Gurovich(1999) s ERS, this researcher(2001) s child s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major findings in main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categories of child s emotion regulation were found according to child s sex. 2. The more child s temperament is active, the more they showed the negative emotion regulation(venting, aggressive expression, avoidance). 3. The negative mother s emotion regulation(overwhelmed, impulsive, inhibit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negative child s emotion regulation(venting, aggressive expression, avoidance).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ther s parenting and child s emotion regulation. The positive mother s parenting(rationale guidance, affection, consistent supervis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ositive child s emotion regulation(problem-focused coping & support pursuit). 5. The relation between mother s emotion regulation and child s emotion regulation was mediated by mother s parenting. The addition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lusters of mother s emotion regulation 6 categories are consisted of 4 types. 2. Mothers of impulsive and inhibiting type (Cluster Ⅲ) showed the most negative parenting. 3. Children whose mother s impulsive and inhibiting type (Cluster Ⅲ) showed the most avoidant emotion regulation. To conclude, positive child s emotion regulation is related to positive child s temperament, positive mother s emotion regulation, and positive mother s parenting. Specially, child s emotion development is negatively influenced by mother s impulsive and inhibiting emotion regulation type. This study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child s and mother s emotion reg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