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2 Download: 0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과정

Title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과정
Other Titles
(The) nurses' experience process caring for the demented elderly
Authors
김미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한국의 노인인구 급증에 따른 치매 환자의 증가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치매는 인간의 인지적, 행동적, 기능적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에 점진적인 손상을 나타내어 점차 의존적일 수밖에 없으며, 이 같은 의존성은 치매노인의 존엄성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행위는 간호의 질 향상의 측면에서 볼 때 커다란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중심 현상을 설명하고, 간호사가 치매노인을 어떻게 돌보는지 그 과정을 서술하고 설명하며, 결과적으로 자료에 근거하여 이론을 생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돌봄은 간호의 핵심적 개념이지만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연구가 다루어지고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 이를 상기하고 발견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치매노인을 돌본 지 1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간호사로 13명의 간호사를 세 기관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과 함께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Strauss와 Corbin(1998)의 질적인 자료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하였고, 패러다임을 통해 축코딩 하고 동시에 과정을 위한 코딩을 하였으며,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들의 관련성을 도출하였고 매트릭스를 통해 상황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84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에 의해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중심현상은 안타까움 이었으며, 인과적 조건은 치매노인들의 나이에 맞지 않는 행동 , 치매노인으로부터 내 부모 보는 듯함 과 자신의 미래모습에 대한 염려 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인식의 폭 확대 와 성숙함 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은 전문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 과 간호환경의 뒷받침 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책임감 , 회피함 , 인내심 , 배려감 , 밀착관계형성 , 자기직시 , 보람 이었으며 그 결과 가족과 같은 보살핌, 자아성찰 확대, 개인의 상황에 적합한 보살핌, 갈등, 체념으로 나타났다. 간호사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치매노인을 돌보는 과정은 5가지 단계로 나타났다. 초기 단계에서는 간호사가 치매노인을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바라봄"의 단계였으며, 일로서 자주 접촉하면서 인간적으로 가까이 가는 "다가감"의 단계가 이어지면서 친숙해지게 된다. 그런 과정에서 치매노인에게 지속적으로 접촉을 갖고 관심을 갖게 되는 순간 치매노인이 반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직면함" 의 단계를 경험하고, 치매노인과의 거리가 없어지면서 마음을 열고 지속적으로 "마음 오감"의 단계를 경험한 후에는 간호사가 치료자라는 것을 의식하지 않고 당연히 돌보아야 한다는 태도 속에 치매노인과 자연스레 "어우러짐"의 단계로 나타났다. 간호사가 치매노인을 돌보면서 갖는 중심문제와 행동양상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감싸안음"이었으며, 핵심범주의 속성인 깨달아감과 우러나옴을 통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4가지 유형의 가설이 도출되었다. 1. 다정다감형 : 치매노인이 내 부모나 자신의 미래모습일 수 있다고 생각하며, 치매노인에 대한 인식의 폭 확대가 크고 개별성을 존중하며 성숙한 경우로, 인내심·배려감·자기직시·밀착관계형성·보람을 이용하여 치매노인을 감싸안으며, 치매노인에 대한 풍부한 감수성과 애정을 갖고 가족과 같은 보살핌을 제공하고 자아성찰을 확대해 가며 아울러 개인의 상황에 적합한 보살핌을 제공하는 유형이다. 2. 섬김형 : 치매노인이 내 부모나 자신의 미래모습일 수 있다고 생각하며, 치매노인에 대한 인식의 폭 확대가 크고 성숙한 경우로, 인내심·배려감·자기직시·밀착관계형성·책임감·보람을 이용하여 치매노인을 감싸안으며, 치매노인을 부모 모시듯 가족과 같은 보살핌을 제공하고 아울러 자아성찰을 확대해 나가는 유형이다. 3. 갈등형 : 치매노인이 내 부모의 모습일 수 있지만 아직 자신과는 연결시키지 않으며, 치매노인에 대한 인식의 폭 확대가 적고 성숙하지 않은 경우로, 치매노인을 돌본 경력이 많지 않으며 배려감·자기직시·밀착관계 형성·회피함 전략을 이용하여 가족과 같은 보살핌을 제공하면서도 활력을 느끼지 못하고 갈등을 나타내는 유형이다. 4. 무관심형 : 치매노인을 돌보면서 치매노인을 부모와 자신의 미래모습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치매노인을 돌본 경력이 많고 스스로 성숙하지만 치매노인에 대한 인식의 폭 확대가 적은 경우로, 배려감·자기직시·책임감·회피함을 이용하여 치매노인을 돌보면서 체념을 나타내는 유형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는 중심현상인 안타까움을 갖고 치매노인을 이해하고 깨달아 가며,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돌봄 속에 치매노인을 감싸안아 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와 치매노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치매노인에게는 질환정도와 상관없이 감정표현 능력이 있으며, 치매노인과의 상호교류는 오히려 언어적 의사소통보다는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치매노인에게 남아 있는 힘을 파악하고 그러한 기능을 격려하는 돌봄이야말로 간호전문직의 본질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치매노인의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간호학적 의의는 간호실무 측면에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접근태도와 행동변화를 설명하고 간호전략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간호연구 및 이론 측면에서 실무에 근거한 이론개발을 생성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간호행정의 측면에서 볼 때 돌봄의 행위를 통해 전문직으로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간호교육 측면에서 볼 때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보다 적합한 간호지식체의 발전을 촉진하리라 기대된다. ; The number of demented elderly and their need for care will increase in the future. The progression of the dementia disease leads to gradual loss of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form primary tasks of daily life. As this dependency could have an impact on the elderly own sense of value and dignity, the nurses behavior during care procedures is of great concern. Although caring is central essence to nursing, the process and meaning of caring still remain poorly illuminated in nursing practice.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generate a theory that accounted for a pattern of professional caring process and problem nurses involved Data were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until they were saturated.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3 nurses who had experience of at least one year of caring for the demented elderly from 3 different facilities. Participants singed consent forms that clearly described the study process. The approach reported here used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 method(1998),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done simultaneously. The data were analyzed into concepts,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ith the open coding procedure, the axial coding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the concepts and categories, the coding for process was to look at action/interaction and trace it with time, and selective coding was done to discovery a core category and to integrate and refine the theory. With the data analysis, 84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were generated and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ollows. The causal conditions were ill-matched the demented s behaviors to the appropriate age , associated them with their own parents , and apprehended about future appearance of participants . The central phenomenon was compassion for the demented. The compassion was a central thoughts that was the most significant to participants.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affected compassion were expansion of consciousness and maturity .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professional identity and support of nursing environment . The action/interaction, which are strategic or routin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taking responsibility , avoiding , enduring , considering , close contacting , self-facing , and self-fulfillment . According to consequences, those who discovered meaning of caring made an effort to offer homelike caregiving and to give personal caring as well as expand self-reflection. However those who didn t discover had conflict or relinquishment. Nurses caring process for the demented elderly went through five stages with time : glancing , approaching , confronting , heart sharing , harmonized . In the glancing stage, participants separated from the demented such as helper vs helpee, the young vs the old, and in the approaching stage, participants drew near to the demented through frequent routine procedures. In this continuous contact, participants have discovered emotional expressive ability of the demented regardless of disease level. So the confronting stage was named. In the heart sharing stage, participants found that real caring arose from deep down in the heart. Finally, in the harmonized stage, participants joined together the demented in daily life. The generation of theory occurs around a core category.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was the "embracement with tolerance". The "embracement with tolerance" comprised two related components. The first was the heightened awareness , which is nurse s understanding or knowledge of the demented. The second component was heart felt caring, which is nurse s attitude arisen from the bottom of the heart. Thus the "embracement with tolerance" reflects nurse s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the demented elderly s unique behaviors and feelings From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re category and the other categories, hypothetical statements were generated, thus four types were derived as follows : In the honoring type, participants tried to support and facilitate the homelike feeling for the demented. In the affectionate type, participants treated each individual as a unique person and provided individualized care. In the conflict type,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change hospital if better condition is allowed. Finally, in the indifferent type, participants failed to find meaning in caring and didn t perceive psychosocial support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good nursing care. In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connected their emotion, thinking and understanding to behavior through the embracement with tolerance. Thus the“embracement with tolerance" could explain central problem and behavior pattern of professional caring process. This finding is suggested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is better than verbal communication when participants interact with the demented. As a profession, nursing must continue to explore the caring meaning and process toward the demented.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on professional caring process in different contexts can contribute to a better explanation of the demented elderly s car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