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0 Download: 0

전통민요 사설의 시적 성격 연구 : 농업 노동요를 중심으로

Title
전통민요 사설의 시적 성격 연구 : 농업 노동요를 중심으로
Authors
고혜경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硏究는 農業勞動謠를 중심으로 해서 傳統民謠의 詩的 性格을 추출하는 작업이다. 농업노동요는 전 시대 생상계층의 현장문예로서 의미를 형식화하는 방식에 있어서 일관되고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하나의 언술이라는 인식에서 논의가 출발되었다. 여기서 언술의 개념을 언급한 것은 그것이 내용과 형식의 측면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장르의 성격을 드러내는데는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었다. Ⅱ장에서는 농업노동요 사설의 존재방식을 다룬 바 이는 연행의 상황 및 조건이 사설과 맺게 되는 관계를 살펴본 것이었다. 그 결과, 농업노동의 현장이라는 일정한 연행상황의 존재로 말미암아 허구언술로서의 시 일반과는 달리, 사설이 경우에 따라 서구적으로도 자연적으로도 성격화될 수 있는 유동성을 지닐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행상의 조건, 즉 농업노동의 작업조건이 길게 지속됨에 따라 사설의 구성이 부가적인 성격을 띤다는 점도 드러났다. Ⅲ장과 Ⅳ장은 사설 자체가 지닌 언어적인 양상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Ⅲ장에서는 사설에 나타나는 발화양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설에 나타나는 시, 공 및 주체의 양상이 언표행위의 측면을 강하게 지님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발화는 그것이 나타난 상황을 환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양상은 결국 농업노동요 사설로 하여금 양식상 상황 제시적이고 재현적인 성격을 띠게 하는 효과를 낳는다. Ⅳ장에서는 사설이 구조화되는 원리를 살펴보았다. 한 사설에서 다음 사설로 이어지는 매개의 측면에서 볼 때 반론 및 연상에 의한 전개가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에 따라 사설은 통합체적인 구조보다는 계열체적인 구조를 지닌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Ⅴ장의 논의는 농업노동요 사설이 언표라고 했을 때 사설의 가창 또는 향유라는 언표행위의 측면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농업노동요 사설은 의미구축 방식에 있어서 생활세계의 정서와 인식을 소통하려는 반영적 기능을 가진다는 점이 드러났다. 그러나 의미의 전개방식에 있어서는 반론과 연상에 의한 전개가 의미론적인 측면에서 지니게 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반론은 의미론적인 반전을, 연상은 의미론상의 비약을 초래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의미를 구축, 전개가는 이러한 양상들은 농업노동요사설이 생활세계 내부에서 생성된 의미를 통해 향유하지만 여기서 의미는 논리적, 일방적으로 개진되는 것이 아니라 대화적이고 개방적인 형식에 따라 전개됨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농업노동요 언술은 발화의 양식 및 의미구축 방식에서 생활세계를 재현적으로 드러내려는 반영적 문예로서의 성격을 지니나 가창 및 향유가 기본적으로 유희적인 언어행위임을 감추지 않고 드러낸다는점 또한 사설의 구조원리와 의미론적 전개의 특징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언술적 성격은 집단적 노동의 현장에서 불리워진다는 연행 현장의 성격과 관련을 지닌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 언술적 성격이 연행 현장의 조건에 의해 일방적으로 규정된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즉 생산계층문예로서의 특성을 그 언술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의미를 상황과의 관련속에서 파악하고 대화적인 방식에 의해 개방적으로 향유하며 의식의 영역에만 매어 두지 않고 인간 실존의 한 부분으로 무의식과 욕망에 대해서 열려 있도록 하는 것은 이 장르가 비엘리트 계층에 의해 향유된 것으로서 이 계층의 세계인식을 반영한 언술이라는 점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po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olksongs with an emphasis on worksongs. The concept of discourse is used to approach the subject, in view of the possibility that form and content of lyrics can be understood simultaneously with the concept. In this study, the word “discourse” is generalized to mean a method of expressing individual ideas. First, essential features of existing lyrics are investigated, in relationship with the fact that the existence of discourses is realized by the continuity of traditional folksong lyrics. This reveals that the discourse of worksongs possesses a unique characteristic, both natural and fictive, and its order and length are often formed spontaneously and randomly. Secondly, the style of utterances in worksongs is investigated form the viewpoints of modes of time, space and subject. The utterances generally put strong emphasis on the level of enunciation. Next, structures of the discourse in worksongs are investigated. When ideas are developed in structured manners, semantic leaps and reversals are seen to occur frequently and create ambivalence in their meanings. They indicated that the discourse of folksongs is structured with liberal interpretations and unconscious desires. Finally, the process of the signification in worksong lyric is investigated. The poetic language used in the lyrics generally utilizes the expressions that describe objects and events in ordinary life literally, without metaphors. The language is rich in collective feelings coming from shared experiences, and has a tendency of being exclusive of those without them. This narrational tendency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natural discourses than fictive ones, and dialogic utterances than monologic ones. In addition, a subject is seen as changing through interactions within its environment rather than fixed and independent. The conclusion is based on fore-mentioned style, structure, and signification of the discourse in folkso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