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한무경-
dc.creator한무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57-
dc.description.abstract새로운 기술의 발달로 인해 도서관의 조직과 사서의 업무 및 이용자의 정보이용 행태 등은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찍부터 자동화가 도입된 정리업무는 정보기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왔으며, 이에 따라 목록사서에게 요구되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또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변화하고 있는 목록사서의 역할과 자격, 분류 편목분야 교육 내용, 교육의 발전과정, 교육에서의 문제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설문지를 통하여 분류 편목분야 교육의 현황과 교육내용 중에서 신입목록사서가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의 우선 순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30개 대학 문헌정보학과에서 분류 편목분야의 강의를 담당하는 36명의 교수,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을 포함하여 대학도서관에서 4년 이상 분류 편목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170명의 목록사서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배포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조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가 신입목록사서에게 중요하다고 평가하는 지식과 기술은 무엇이며, 교수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교육내용의 중요도 경향을 조사하였다. 교수가 신입목록사서에게 중요하다고 평가한 지식과 기술로는 단행본용 KORMARC의 기본구조, 듀이십진분류법의 구조체계, 표목의 기능과 종류, 한국목록규칙 3.1판, 기술의 순서와 요소, 단행본 기술, 단행본용 KORMARC의 기본표목 등의 순으로 밝혀졌다. 도서관 실무경험이 없는 교수는 그렇지 않은 교수에 비해 이론적인 내용을 비교적 높게 평가 하였다. 교육 경력이 3년 이하인 교수는 이론적인 교육내용에 비교적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였으며, 4년 이상 교육을 담당한 교수는 실무 위주의 교육내용에 비중을 두었으나, 그 중에서 10년 이상 교육경력이 있는 교수는 4-9년 동안 강의를 한 교수보다 이론을 강조하여 이론과 실무 양쪽의 균형을 도모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목록사서와 의견을 교환하는 교수는 단행본용 KORMARC와 서지유틸리티/CD-ROM의 탐색 등 현재 도서관에서 중요하게 취급하는 지식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교육내용에 반영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경력목록사서가 신입목록사서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식과 기술은 무엇이며, 목록사서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교육내용의 중요도 경향을 알아보았다. 목록사서가 신입목록사서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한 지식과 기술로는 단행본용 KORMARC의 기본구조, 분류의 기초이론, KORMARC의 기본표목, 서지유틸리티/CD-ROM의 탐색, 표목선정의 원칙, 연속간행물용 KORMARC의 기본구조, 개인명 전거파일, 듀이십진분류법의 구조체계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서업무와 참고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목록사서는 다양한 자료의 서지 기술과 전거파일에 높은 순위를 두었다. 열람/대출업무 경험이 있는 목록사서는 듀이십진분류법, Cutter-Sanborn 저자기호표 등 자료의 식별과 배열에 관련된 교육내용에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였으며, 연속간행물 업무를 수행했던 목록사서는 연속간행물 KORMARC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정리업무를 담당한 기간이 긴 목록사서일수록 분류및 편목이론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교수와 목록사서가 각각 신입목록사서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식과 기술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두 집단간의 분류 편목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총 88개 교육내용 중에서 40개의 내용에서 상당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종 분류법(분류법의 역사 및 개정 포함)과 목록의 개념과 기능, 목록의 종류, 목록규칙의 발전과정, 표목의 기능과 종류, 목록기술의 구두법 등 38개의 내용에서 교수의 중요도 평가가 목록사서보다 현저히 높아서 상당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초와 정리부서의 업무분장 등 2개의 내용에서는 목록사서의 중요도 평가가 교수보다 높아서 역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교수는 목록사서에 비해 이론적인 내용을 다소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위의 결과를 토대로 분류 편목 교육을 제시하였다. 분류분야 교육에서는 듀이십진분류법, 한국십진분류법, 미국의회도서관분류법,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 시어즈 주제명표목표, 배열규칙, 도서기호법 등에서 교수의 인식이 목록사서보다 매우 높게 조사되었고, 편목분야에서는 기술, 목록규칙, 목록의 기본개념, 기타 MARC, 목록규칙의 발전과정 등에서 역시 교수의 평가가 목록사서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었다. 그러므로 교수는 이런 분야를 강의할 경우, 교수와 목록사서의 두집단간 교육내용의 중요도 비교 분석에서 나타난 T값을 근거로 각 교육내용 요소에 대한 강의내용의 정도와 배정시간을 재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brings many changes in the structure of library, librarians task and behavior of users. Among those, Cataloging works have been most heavily impacted by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makes special knowledge and technology of librarians changes rapid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current education in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skill for entry-level cataloger to expedite their works, and to explore references towards more desirable revision of education programs in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In order to serve the purpose, attempts are to examine what kinds of knowledge and skill are considered most important by cataloging professors and cataloging practition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knowledge and skill required by the two groups.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Questionaires are shraed among 36 cataloging professors in 30 library and information department, 170 selected cataloging practitioners with more than 4 years of careers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university librari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ellows. First,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education in Korea constitutes of classification, cataloging and practices in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the average volumes of text used in each courses are 1.7 inch classification, 1.8 in cataloging and 2.1 in practices. Changes in recent 2-3 years has been occurred in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courses, which are changes incliuding new knowledge and skill, emphasis on practices from theories and changes of instruction time by topics. Second, professors shared high priority on structures of KORMARC(monographs), system of Dewey Classification Decimal, form and fuctions of heading, Korean Cataloging Rules, general rules for description, headings of KORMARC. Third, cataloging practitioners set priority list accordingly on structure of KORMARC(monographs), general classification theory, bibliographic utilities/CD-ROM searching, choice of access points, structure of KORMARC(serials), authority files(personal names), and system of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Fourth, the comparison between professors and practitioner on prioroty of course shows that there is relatively high deviations of cognition in 40 courses among total 88 courses. Professors set high priority on courses such as history of classification, history of cataloging, function of cataloging, form and function of heading. On the other hands, practitioners set high priority on courses such as authority files, bibliographic utilities/CD-ROM searching and inputting.editing, KORMARC(serials), KORMARC(non-book). This study shows that professors set relatively higher priority on theoretical courses rather than practition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I. 서론 -------------------------------------------------------------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C. 선행연구 -------------------------------------------------------- 4 II. 목록사서와 분류 편목의 교육 ------------------------------------- 9 A. 목록사서의 역할과 자격 ------------------------------------------ 9 B. 교육의 목표 및 내용 --------------------------------------------- 15 C. 교육의 발전과정 ------------------------------------------------- 19 D. 교육에서의 문제 ------------------------------------------------- 25 III. 한국의 분류 편목 교육내용 및 교육 현황 조사 -------------------- 28 A. 조사목적 및 대상 ------------------------------------------------ 28 B. 설문지의 구성과 배포 -------------------------------------------- 29 C. 응답자의 배경 --------------------------------------------------- 31 D. 분류 편목 교육 현황 --------------------------------------------- 36 IV. 분류 편목 교육내용의 인식 분석 ---------------------------------- 43 A. 교수의 인식 ----------------------------------------------------- 43 B. 목록사서의 인식 ------------------------------------------------- 59 C. 교수와 목록사서의 인식 비교 ------------------------------------- 73 D. 분류 편목 교육의 방향 ------------------------------------------- 79 VI. 결론 ------------------------------------------------------------ 86 참고문헌 ------------------------------------------------------------ 92 부 록 1. 분류 편목 교육내용에 관한 설문지 -------------------------------- 99 2. 교수가 평가한 교육내용 중요도와 순위 ----------------------------109 3. 실무경험 여부에 따른 교수의 중요도 평가 분석 --------------------112 4. 실무경험 기간에 따른 교수의 중요도 평가 분석 --------------------115 5. 교육담당 기간에 따른 교수의 중요도 평가 분석 --------------------118 6. 목록사서와의 의견교환 여부에 따른 교수의 중요도 평가 분석 -------121 7. 목록사서가 평가한 교육내용 중요도와 순위 ------------------------124 8. 정리업무 전담 여부에 따른 목록사서의 중요도 평가 분석 -----------127 9. 이전 업무유형에 따른 목록사서의 중요도 평가 분석 ----------------130 10. 정리업무 담당 기간에 따른 목록사서의 중요도 평가 분석 ----------133 11. 교수와의 의견교환 여부에 따른 목록사서의 중요도 평가 분석 ------136 12. 교수와 목록사서가 평가한 중요도 비교 분석 ----------------------139 영문초록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941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분류, 편목 교육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 : 교수와 실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