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8 Download: 0

투르니에의 다시쓰기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연구 : 눈의 여왕, 안델센과 구뜨도르 비교를 중심으로

Title
투르니에의 다시쓰기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연구 : 눈의 여왕, 안델센과 구뜨도르 비교를 중심으로
Authors
송의경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투르니에의 글쓰기 특성인 다시쓰기 의 성격을 규명하려는데 있다. 그 방법으로 다시쓰기의 실천인 동시에 이론서라고 할 수 있는 『구뜨도르』가 안델센의 『눈의 여왕』의 다시쓰기라는 가정을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두 텍스트를 비교하여 상호텍스트성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다시쓰기가 거울 테마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이 드러난다. 분석의 대상으로 새롭게 떠오른 안델센의 악마의 거울 을 투르니에는 다시쓰기와 관련된 창조의 거울 로 발전시킨다. I 장에서는 투르니에의 다시쓰기 특성을 밝히기 위해 『구뜨도르』를 선택한 이유와 이 텍스트가 『눈의 여왕』의 다시쓰기라는 가정의 근거를 제기한다. II 장은 투르니에의 글쓰기에 대한 예비적 고찰이며 다시쓰기의 이론적 배경에 할애된다. 철학에서 문학으로 전환한 투르니에의 글쓰기인 다시쓰기의 특성, 그의 다시쓰기에서 차지하는 밑텍스트로서의 신화의 중요성, 그리고 입문시키는 자 로서의 작가의 소명을 다룬다. III 장은 투르니에가 밝힌 『방드르디 혹은 태평양의 끝』이라는 밑텍스트외에 『구뜨도르』가 안델센의 『눈의 여왕』이라는 또 하나의 더욱 선명한 밑텍스트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입증하는 첫 단계다. 자전적 에세이인 『성령의 바람』에서 투르니에가 『눈의 여왕』의 앞 부분만을 순전히 기억에만 의존하여 재생시키고 있는 부분을 안델센의 텍스트와 비교하여, 다섯 개의 오독을 찾아낸다. 대수롭지 않아 보이는 오독의 뿌리를 찾아 내려가면, 두 작가 사이의 단순한 반복이 아닌 차이가 드러나며, 이 차이는 세계관의 차이로 확대된다. 바로 이 차이가 다시쓰기 하는 이유이다. IV 장에서는 어느 정도 의도성이 개입된 III장에서의 일차 굴절과 달리, 철저하게 무의식적인 이차 굴절을 다루게 된다. 『구뜨도르』에는 안델센의 여왕이 무의식의 문법에 따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위장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녀의 위장을 벗기는 일이 IV 장에서의 작업이다. 그러나 두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시쓰기에 대한 논의가 동시에 진행된다. 분석은 편의상, 일곱 개의 이야기로 구성된 『눈의 여왕』의 순서를 따른다. 비교가 극히 세부사항들에 대해 이루어지므로, 비교의 결과로 나타난 주요사항 몇가지만 단순 도식화시키면 다음과 같다. 악마가 만든 왜곡시키는 거울 - 어린아이의 시선을 변질시키는 사춘기 눈의 여왕 - 이드리스를 사진찍는 금발의 백인 여자 눈의 나라 - 사진으로 대표되는 영상문명의 중심지인 프랑스의 빠리 추위로 얼어붙는 카이 - 이마쥬의 해악이 이드리스를 주검에 가까운 부동성에 이르게 한다. V 장에서는 III, IV장의 텍스트 실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여왕의 수수께끼를 푸는 방법이 다시쓰기와의 관련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론의 측면에서 검토한다. 안델센은 사랑 을, 투르니에는 이성 을 강조한다는 차이가 있지만, 두 작가 모두 글쓰기 로 문제의 해결에 이른다. 특히 투르니에의 경우 서예로 글쓰기 다. 서예란 그림-글 이어서 형태뿐인 텅 빈 기호에 의미를 채워넣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서예로 글쓰기 는 <이마쥬가 서구문명의 아편>이라는 투르니에의 사고와 연관되어 있으며, 사고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서의 창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신이 당신의 형상 (image)과 유사함 (ressemblance)을 본따 최초의 아담을 만든다. 그런데 아담에게서 이브가 분리되고, 선악과 사건이 개입되면서, 신이 만든 최초의 자화상인 아담은 신과의 유사함 을 잃게 된다. 신의 빈껍데기 외관뿐인 인간은 동물계로 떨어진다. 신의 자화상에 일어난 불행을 사진이라는 메타포로 서구문명이 반복하고 있다. 투르니에가 제안하는 서예로 글쓰기 는 신의 유사함 을 회복시켜 충만한 기호로 나가는 일이다. 그것은 사진처럼 대상을 부동성으로 응고시키는 것이 아니라, 거울처럼 움직임까지도 생생하게 비추는 신의 자화상을 복원하는 일이다. 또 악마의 거울처럼 대상을 왜곡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의 거울처럼 대상을 비추되 새로운 생명을 계속해서 불어넣는 일이다. 그것은 하나의 텍스트를 어떻게 읽는가에 따라서 텍스트를 메두사에서 뮤즈로 변환시키는 방법이 된다. 그것이 곧 창조의 거울기능을 가진 투르니에의 다시쓰기 이다. 무엇보다도 신의 자화상에 유사함 의 복원을 목적으로 한 그의 다시쓰기는, 저자와 독자가 다 함께 충일성 을 회복하려는 욕망으로서의 글쓰기가 된다. VI장에서는, 독서이론인 동시에 새로운 소설기법인 투르니에의 다시쓰기 는, 누보로망 이후의 현대소설에서 인간이 사물화되면서 점점 작아지는 소외 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아울러, 본 논문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다시쓰기 에 대한 보다 계통적인 연구를 위한 의견을 제시한다. ; L objet de cette etude est d eclairer la nature de la reecriture tournierienne. Son point de depart est l hypothese d une intertextualite entre La Reine des neiges et La goutte d or, un texte ou se pratique mais se dit aussi la theorie de la reecriture. En verifiant la validite de cette hypothese d intertextualite par la comparaison des deux oeuvres, nous verrons que la "reecriture" tournierienne et le theme du miroir sont etroitement lies. Tournier developpe en effet le theme du "miroir diabolique" d Andersen en le transformant en un "miroir creatif" dont la fonction est justement celle de la "reecriture". Au premier chapitre, on explique pourquoi La goutte d or a ete choisie comme support de l analyse et on etudiera la possibilite, pour La Reine des neiges, d en etre l hypothese. Le deuxieme chapitre sera consacre a une etude preliminaire de l ecriture tournierienne. On examinera entre autres, les caracteristiques de l ecriture d un ecrivain passe de la philosophie a la litterature, l importance du mythe en tant qu hypotexte de ses oeuvres reecrites, et enfin la vocation de l ecrivain a etre un initiateur. Le troisieme chapitre sera la premiere etape de la demontration de la nature hypotextuelle de La Reine des neiges par rapport a La goutte d or. Cette hypotextualite semble bien plus transparente que celle de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indiquee pourtant par Tournier lui-meme. En comparant le debut du texte d Andersen et celui que Tournier a reconstruit dans son essai Le vent Paraclet seulement de memoire, on peut deceler cinq "melectures". La recherche des racines de ces "melectures", qui sans cela se rameneraient a autant de lapsus derisoires, permet de degager la vision differente du monde des deux ecrivains. C est cette difference qui pousse Tournier a "reecirire" Andersen. Dans un quatrieme chapitre, on procedera a la deuxieme etape de l analyse sur le theme de la refraction totalement inconsciente, a la difference de celle du chapitre precedent qui etait plus ou moins consciente. Dans La goutte d or, la Reine d Andersen apparait meconnaissable sous le deguisement de la grammaire du reve. Devoiler son masque grace a la comparaison detaillee des deux textes sera l objet de ce chapitre. Ce dernier - decoupe en sept parties a l instar de la structure de La Reine des neiges - comprendra aussi une discussion de la theorie de la reecriture. Comme l analyse sera conduite dans le detail, on se contentera ici de faire quelques remarques extremement concises : -Le miroir deformant du diable renvoie au regard de l enfant innocent, altere par la puberte. -La Reine des neiges a "une blonde" qui a photographie Idriss. -Le pays des neiges au pays des images, plus precisement a la capitale de la France, centre de la civilisation des images. -Le froid qui glace Kay au pouvoir malefique de l image qui paralyse Idriss au point de lui donner une immobilite voisine de la mort. Au cinquieme chapitre, on discutera la facon de trouver le mot de l enigme de la Reine. Malgre la difference entre l amour, sur lequel insiste Andersen, et la raison sur laquelle insiste Tournier, les deux auteurs sont d accord sur la bonne maniere de surmonter les epreuvres : l ecriture. La calligraphie, qui est dessin autant qu ecriture, permet de doter l image de sens pour qu elle puisse etre signe. Ecriture en calligraphie repose sur l idee tournierienne que "l image est l opium de la civilisation occidentale". Pour mieux comprendre son raisonnement, il faut remonter au debut de la Genese. Dieu a cree Adam a son "image" et a sa "ressemblance". D apres Tournier, il n y a pas la redondance, comme on pourrait le croire. Si l image n est qu apparence, il y a en revanche ressemblance effective par l esprit. Malheureusement, Adam perd sa ressemblance lorsqu Eve est tiree de lui puis prend conscience de cette perte quand il viole l interdit et decouvre la difference sexuelle. Du fait de la perte de sa dimension divine, l homme n ayant plus que son apparence insignifiante, tombe dans le regne animal. Le malheur survenu a l autoportrait de Dieu se repete metaphoriquement dans la civilisation occidentale avec le triomphe de la photographie. C est pourquoi Tournier propose d ecrire en calligraphie, ce qui restitue le signe et permet de recouvrer la ressemblance. Il ne s agit ici rien d autre que de restituer l autoportrait de Dieu qui, tel un miroir, est capable de refleter le mouvement a la difference de la photo qui fige l objet dans son immobilite. Le miroir creatif donne constamment la vie au lieu de deformer ou de figer. Autrement dit, une bonne lecture peut metamorphoser un texte et faire de Meduse une Muse. Bien lire, c est reecrire. D un texte, la bonne lecture fait un autre texte. C est ainsi que la reecriture tournierienne, restituant l autoportrait de Dieu, devient ecriture en vue d etre Dieu avec tous(l auteur, son lecteur, etc...). Le sixieme est dernier chapitre, montrera finalement que la reecriture, un nouvel aspect du roman, pourrait resoudre le probleme de l alienation et de la reification tel qu il se pose dans la litterature contemporaine depuis le Nouveau Roman ou l etre humain devient de plus en plus negligeable. En ce sens, la valeur de la "reecriture" tournierienne merite d etre apprecie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