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서미경-
dc.creator서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94-
dc.description.abstractPeople tend to perceive psychiatric patients as violent and dangerous. Therefore people have a bias against their living in the community. Since this bias interferes with their social rehabilitation, most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make efforts to predict the violent tendencies of their patients. In literature review, it was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showed the most violent behavior patterns. Their victims consisted of mainly family members, especially parents. Most of the violent behaviors appeared not caused by psychiatric symptoms but by personality factors. Most parents take on primary responsibilities for soci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nder these circumstance, violence against their parents multiplies their care burden. Thus this study focuses on violence against parent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analyzes the impact of personality factors on the violence. Also, other factors (psychiatric symptoms,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violence, and the coping mechanisms of parents) affecting violence are analyzed. Personality factors include antisocial tendencies, anxiety, introversion, and the impact of alcohol. Psychiatric symptoms include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violence includes observed and experienced violence in early childhood. Coping mechanisms of parents include passive, active, and aggressive responses. These variables are based on the intra-individual and frustration- aggression theories, the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exchange theory. This study is conducted the individual interviews with 187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were admitted to psychiatric hospitals. The tools used to assess the patients include the MMPI to measure the personality factors and the Conflict Tactics Scale to measure the degree of violence against par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tient s age and the degree of violence against parents. The younger the patient is, the more serious the violent behavior is. The victims of violence are mainly mothers. 2. Among personality factors, only the antisocial tendencies of patients appear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violence against parents. However, there are no correlations between other personality factors (anxiety, introversion, impact of alcohol) and the degree of violence. 3. Patients with delusions and/or hallucinations show higher degree of violence against parents than those without. When the psychiatric symptoms are controlled in order to clarify explanatory power of personality factors, only antisocial tendencies of patients affect violence against parents, but not other personality factors. 4. In regard to intergenerational trasmission of violence, observed and experienced violenc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violence against the parents. The higher the degree of observed and experienced violence is, the higher the degree of violence against parents is. Also, the observed and experienced violence are major factors affecting violence against parents. 5.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parents coping mechanisms and the degree of violence. When the coping mechanisms are controlled, observed violence affects violence against parents i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violence. 6. Of all variables, only observed violence affects violence against parents. It appears that the impacts of antisocial tendencies and experienced violence are decreased due to muticollinearity. That is, violence against parent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an be explained well by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and antosocial tendencies. Therefore, professionals in mental health must assess these factors to predict the violence against parents.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need to intervene violence against parent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rough the family education and therapy. ; 정신분열병은 사회적 기능의 저하가 두드러지는 대표적인 만성정신질환으로 정신과적 재활의 핵심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보건 전문가들과 가족들은 정신분열병 환자가 지역사회로 진정 통합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재활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을 지고 장기적으로 그들을 보호해야 하는 부모에 대한 환자의 폭력은 부모의 보호부담을 가중시키고 환자에 대한 보호를 포기하고 싶은 절망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부모폭력에 초점을 두어 환자의 성격적 요소가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성격적 요소이외에 폭력의 세대간 전달 요소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성격적 요소의 영향력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폭력당시의 정신병적 증상을 통제하였으며 폭력의 세대간 전달 요소의 영향력을 명확히 하기 위해 부모의 대처반응을 통제하였다. 환자의 성격적 요소는 개인내적 이론과 좌절-공격 이론에 근거하여 반사회적 경향, 불안이 많은 성격, 내향성, 알콜의 영향을 보았고 폭력의 세대간 전달 요소는 사회학습 이론에 근거하여 어린시절 폭력경험과 폭력관찰을 보았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정신병적 증상은 폭력당시의 환각과 망상의 유무를 보았고 부모의 대처반응은 교환이론에 근거하여 소극적, 적극적, 폭력적 반응을 보았다.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 정도는 어떻게 분포되어 있으며 인구학적 요인과 부모폭력을 보인 자의 폭력관련 요인과는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가? 2. 환자의 성격적 요소들이 각각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과 어떤 관련을 갖고 있으며 그 중 어느 요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가? 3. 폭력당시 정신병적 증상의 유무에 따라 부모폭력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 4. 폭력 당시의 정신병적 증상을 통제하더라도, 환자의 성격적 요소가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변화가 없는가? 5. 폭력의 세대간 전달 요소들이 부모폭력과 어떤 관련을 갖는가? 6. 폭력에 대한 부모의 대처반응에 따라 부모폭력 정도는 어떻게 다른가? 7. 부모의 대처반응을 통제하더라도 폭력의 세대간 전달 요소가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변화가 없는가? 8. 본 연구의 변인들 중 어느 변인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가? 조사는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중인 정신분열병 환자 187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통해 이루어 졌다. 조사 도구로는 성격적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다면적인성검사(MMPI)를 사용하였고 부모폭력 정도, 폭력관찰, 폭력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traus의 갈등처리척도(Conflict Tactics Scale)를 사용하였다. 그외의 변수들은 면담내용을 분석하고 환자가 잘 기억하지 못하는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자료들은 의무기록지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구학적 요인중 부모폭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대상자의 연령이다. 즉, 정신분열병 환자의 나이가 젊을 수록 부모폭력이 더 많았다. 2. 부모폭력을 보인자의 폭력관련 요인에 따른 부모폭력 정도의 차이에서는 폭력대상과 폭력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모를 폭력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폭력정도를 보면 부모 모두를 폭력한 경우가 가장 심한 폭력을 보였고 모를 폭력한 경우가 부를 폭력한 경우 보다 더 심한 폭력을 보였다. 폭력 동기의 측면에서 볼 때는 자신의 ?裏? 받아들여 지지 않거나 이런 저런 이유로 화풀이하기 위해 부모를 폭력한 경우가 정신병적 증상이나 부모가 보이는 폭력적 행동이 동기가 된 경우에 비해 더 심한 폭력을 보였다. 3. 환자의 성격적 요소들과 부모폭력과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반사회성만이 통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즉, 환자의 반사회성이 높을 수록 부모폭력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외의 강박적 불안과 내향성, 폭력당시의 음주여부, 폭력을 술때문이라고 정당화하려는 심리적 기대는 부모폭력 정도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모폭력에 대한 성격적 요소들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반사회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며 그 설명력은 3.87%였다. 4. 폭력당시 환각, 망상의 유무에 따른 부모폭력 정도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폭력당시 환각, 망상이 있는 환자가 환각, 망상이 없는 환자에 비해 부모폭력 정도가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5. 부모폭력에 대한 성격적 요소의 영향력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정신병적 증상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격적 요소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았다. 그 결과 반사회성은 정신병적 증상과 상관없이 부모폭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요인이었다. 나머지 성격적 요소들은 정신병적 증상으로 인해 그 영향력이 조금씩 달라졌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6. 폭력의 세대간 전달 요소와 부모폭력과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폭력관찰과 폭력경험 둘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어린시절 폭력관찰과 폭력경험이 많을 수록 부모폭력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간 전달 요소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폭력관찰과 폭력경험은 둘다 부모폭력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7. 부모의 대처반응에 따른 부모폭력 정도를 알아 본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폭력 후 부모가 보인 소극적, 적극적, 폭력적 반응간의 부모폭력 정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폭력의 세대간 전달 요소의 영향력을 명확히 하기 위해 부모의 대처반응을 통제한 상태에서 세대간 전달 요소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았다. 그 결과 폭력관찰의 영향력은 약간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부모폭력에 의미있는 영향력을 가졌다. 그러나 폭력경험의 영향력은 대처반응으로 인해 줄어들어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인들 중 어느 변인이 부모폭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지 알아 본 결과 폭력관찰만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모폭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반사회성과 폭력경험이 여기서는 통계적인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반사회성과 폭력경험의 영향력이 폭력관찰과의 다중공선성으로 인해 통계적 유의도가 줄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또한 연구변인들의 부모폭력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력은 19.92%이고 그 중 폭력관찰의 설명력이 15.13%로 가장 컸다. 다음이 폭력경험과 반사회성으로 각각 2.07%의 설명력을 보였다. 나머지 변인들은 모두 합쳐 1%에도 미치지 못하는 미세한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은 어린시절 폭력관찰, 폭력경험, 반사회성으로 가장 잘 설명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갖는 임상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은 어린시절 부모의 폭력을 관찰한 경험으로 가장 잘 설명된다는 것이다. 둘째,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이 폭력관찰, 폭력경험, 반사회성으로 어느정도 예측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에 대한 전문가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정신보건 분야의 사회복지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폭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폭력의 세대간 전달 과정과 환자의 반사회성에 대한 가족치료 및 교육적 개입과 개별 치료적인 개입이 있어야 하겠다. 둘째, 부모는 환자들의 사회적 재활에 일차적인 책임을 지면서 동시에 가장 빈번히 폭력대상이 되고 있으므로 그들의 정서적, 경제적 보호부담을 덜어 줄 서비스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발전된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부모폭력을 보이는 집단들의 특성을 비교하여 각 집단에 맞는 개입유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I.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 목적 ------------------------------------------------------- 4 II. 이론적 배경 ----------------------------------------------------- 7 A. 부모 폭력의 개념 ------------------------------------------------ 7 B. 부모폭력을 설명하는 이론 ---------------------------------------- 9 1. 개인내적 이론 -------------------------------------------------- 9 2. 좌절 - 공격 이론 ----------------------------------------------- 13 3. 사회학습 이론 -------------------------------------------------- 14 4. 교환 이론 ------------------------------------------------------ 16 C. 부모폭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 ------------------------------------- 17 1. 성격적 요소 ---------------------------------------------------- 17 2. 폭력의 세대간 전달 요소 ---------------------------------------- 22 3. 폭력에 대한 부모의 대처반응 요소 ------------------------------- 24 D. 정신병리와 폭력 ------------------------------------------------- 26 1. 폭력을 보이는 환자의 진단 유형 --------------------------------- 27 2. 폭력의 유형과 대상 --------------------------------------------- 28 3. 폭력의 동기 ---------------------------------------------------- 30 E. 부모폭력에 관한 선행연구 ---------------------------------------- 31 F.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 ------------------------------------------ 36 III. 연구 방법 ------------------------------------------------------ 41 A. 조사 대상 ------------------------------------------------------- 41 B. 조사 변수 ------------------------------------------------------- 43 C. 조사 도구 ------------------------------------------------------- 45 D. 자료 분석 방법 -------------------------------------------------- 48 IV. 연구 결과 ------------------------------------------------------- 49 A. 부모폭력 정도 --------------------------------------------------- 49 B. 가설 검증 결과 -------------------------------------------------- 58 V. 결론 ------------------------------------------------------------- 86 A. 연구 결과 요약 -------------------------------------------------- 86 B. 임상적 의미 ----------------------------------------------------- 90 참 고 문 헌 --------------------------------------------------------- 94 부록 : 면담 기록지 --------------------------------------------------102 영문초록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234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정신분열병 환자의 부모 폭력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