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9 Download: 0

대한제국말기 애국계몽학회 연구

Title
대한제국말기 애국계몽학회 연구
Authors
이송희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Enlightenment Societies were the socio-cultural bodies which had developed the national salvation movement from Japanese Invasion through building up Korean people’s resources by means of several educ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from 1906 to 1910. Their energetic activitie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awaken the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ould become the firm foundation of the later independent movement to aim at the recovery of national rights plundered by Japanese Imperialism within the country and abroad. This study endeavor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Enlightenment Societies, especially their two distinctive features exposed according to the phases of their development, and their historical position in a broader context of the Korean Nationalist Movement, making clear their actual conditions positively. At first, in Chapter Two, the social ground of the Enlightenment Societies, which compelled them to bring into existence, is considered. Japanese Imperialism maneuvered the elementary works for colonization, having forced Korean Government to conclude the Korean-Japanese Arrangement(韓日議定書)in 1904. Afterwards Korea became rapidly, de facto, a colony of Japanese Empire by means of its various coercive designs against Korean Government. The formation of colonial structure by Japanese Imperialism attached the character of semi-colony to Korean Society which had not yet sloughed its feudality off, though it had been weakened gradually. This dual opression provoked the feeling of crisis in every walk of life. At this critical moment, the intellectuals, who had directed their attention towards the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organized the several institutes, searching after the ways of the self-intensification for the recovery of national rights almost lost. Among them, the Suh-ou Hak Hoe(西友學會)and the Han-buk Hung Hak Hoe(漢北興學會), which we will deal with in Chapter Three, were the first Enlightenment Societies depend on local base, purporting to contact directly with people. As their leaders, who had taken part in the earlier Enlightenment Movement through the Dae-Han Ja-Gang Hoe, etc., recognized its rootlessness not based on people, it is natural that they began to change their attitude laying stress on the unfounded Seoul. But their ability to establish such a society was confined to the North of Korean Peninsular relatively modernized. The local bases of the Suh-ou Hak Hoe and the Han-buk Hung Hak Hoe,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on October in 1906, were different each other, while the former was based on the Kyuan-suh region, the latter based on the Kyuan-buk. But the contents of their works were very similar. They executed the various works which made them approach the mass. They emphasiz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among these works which they thought might be most apt to cultivate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promote the people’s resources. They established a private school and taught there the new national education rest on their doctrine as a model for other schools. Especially, the Suh-ou Hak Hoe published a journal, the Suh-ou, periodically with the view to deepening the local intellectual’s knowledge about the New Science. Besides, they made use of the place like the festival of school and market, etc., where many people got together, in order to disseminate their practical platform, for example, self-intensification and the destruction of bad customs, the inspiration of patriotism and national unity, etc.. in addition, they stressed the physical training and the martial spirit for the war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someday. In this respect, these Enlightenment Societies might be regarded as a source of the later armed independent movement. As their efforts to mobilize the mass had bore fruit, to a certain extent, in the region concerned, it is natural that the argument to expand the scope of their organizations into a nation-wide society, became vigorous slowly. First of all, these two societies were united under the name of Suh-buk Hak Hoe(西北學會), according to this need, on January in 1908. But their final object would be the completion of a National Enlightenment Society. But the aggravation of external situation, that is the weighted oppression by Japanese Imperialism, became a direct moment which combined them. Japanese Imperialism restricted the freedom of press, assembly and association by means of the Safety Law and the Press Law enacted on September iin 1907. In another respect, the fact would rater show that the success of those societies had considerably threatened Japanese Imperialism. In any case, they coped with the conditions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ir capacities. But it is clear that the unification was essentially the result of their inner growth. In Chapter Four, we will analyze the activities of the just unified society, the Suh-buk Hak Hoe and the newly born society, the Ki-ho Hung Hak Hoe. Whereas both of them were established in the same context of the growth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they were very different in several aspects. While the former was consisted of the modernization-oriented intellectuals mainly from the Kae-Hwa Ja-Gang Pa(開化自强派) and some radial military officers, etc., the latter mainly consited of the enlightened bureaucrats. And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ir activities were very different. The Suh-buk Hak Hoe sought to keep up the concrete works of its forerunners and, further more, to organize a nation-wide Enlightenment Movement. Regardless of its efforts, the reinforced coercion by Japanese Imperialism, for instance, the Institute Order(學會令) and the Private School Order(私立學校令) enforced in October, 1908, made its activities shrinked. In front of those conditions, it could not but dualize their works to the levels of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Although, on the surface, it carried out the moderate activities, to a certain degree, that is the promotion of the national industry and the national education with less political meaning, it rejected all in its ability the appeasement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induced it to take part in the Pro-Japanese Party. When Ito-hirobumi, a ringleader of Japanese Aggression on Korea was assassinated by An Jung-Keun in 1909, Japanese Imperialism compulsorily implicated the leaders of the Suh-buk Hak Hoe, including Rhee Tong-Hui, to the event to arrest them. This event became a decisive moment which caused its radical leaders earnestly to begin a sort of secret activity. They proposed a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which they though might be a shorter way to move the mass and designed the strategy of an armed independent movement. Their efforts directly contributed to form the Korean Independent Army in Manchuria, a few years later. These dual activities within the society might differentiate its members into a radical group and moderate one, and there might be any serious trouble between them, though we can not investigate the detail due to the short of the evidence concerned. But the moderate, mainly engaged in the external activity, did not compromise Japanese Imperialism, but broaden the ground for independent movement through their educational and cultural movement, their purity was partly proved by the Event of One hundred-Five Men(105人사건)in 1911 Japanese Imperialism fabricated in order to weaken the power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centered on educational activity, etc.. Meanwhile, the Ki-ho Hung Hak Hoe, created in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carried out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works for building up the national resources in the Ki-ho region. But the ways of its action were too cautious for the sake of avoiding the trouble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to convey its intention to people effectively. As the su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was intensified, its leaders yielded to the pressure to reduce its works to the “pure” educational movement wanting the nationality. Their compromising attitude was rewarded in the form of the granted peerage to some of them by the Great Japanese Empire, later on. After all, the Ki-ho Hung Hak Hoe as a indirect by-product of the unification of the early two societies, carried out the limited role only. Now, to conclude, the Enlightenment Societies considered here, relatively succeeded in awakening the mass by virtue of getting nearer them, though their success was confined to a certain region. This proximity to the people is, above all, their most distinctive feature. That is one step toward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s movement as well as of nationalist’s. The strategy of armed independent movement proposed by them, which is their another feature, could be regarded as such. ; 愛國啓蒙學會는 1905년 「乙巳條約」이후 日帝에 의한 식민지화가 노골적으로 전개되던 시기에 대중에 입각한 국민교육운동을 통해 民力을 양성하고 大衆啓蒙·啓發을 통해 그 민족의식을 일깨움으로써 거의 상실되어가던 국권을 되찾으려 했던 지역단위의 애국계몽단체들이었다. 이들은 중앙 중심의 애국계몽운동의 한계성을 인식하고, 대중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 대중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한 지역단위에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므로 韓國民族獨立運動史에서 중요위치를 점하고 있는 愛國啓蒙運動의 實像과 그 성격을 파악키 위해서는 애국계몽운동의 大衆과의 유대를 잘 드러내주고 운동의 그 구체적·지역적 양상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愛國啓蒙學會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 과제라 하겠다. 그리하여 본고는 愛國啓蒙學會의 실상을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부각시켜 그의 성격과 역사적 위치를 설정해 보고자 시도한 것으로 設立의 基盤과 必要性, 조직을 통한 推進主體의 성격과 운동의 확산 정도, 목표와 취지, 思想과 活動, 지역적 특성등을 통해 각기 學會들의 대중과의 밀착정도, 활동상, 成果, 特性등을 고찰하였다. 특히 학회활동이 일정하게 뿌리를 내려 전국적 확산을 시도한 것과 「丁未七條約」을 계기로 日帝의 식빈지 정책에 새로운 양상이 나타남에 따라 質的 變化를 나타냈음에 주목하고 활동시기를 初期와 後期로 구획하여 파악하였다. 제Ⅱ장에서는 本論을 전개시켜 나가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愛國啓蒙學會의 社會的 基盤을 살펴보았다. 당시 日帝는 1904년「漢·日議定書」를 강제로 체결한 후 韓國 社會構造의 식민지적 改編作業을 획책하였으며 이는 統監府設置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丁未七條約」체결 이후에는 한국의 내정권이 日帝에 의해 완전히 장악되어 한국은 차츰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이 같은 日帝의 政治·經濟·文化的인 면에서의 식민지 구조편성작업으로 한국의 사회경제상태는 半植民地的 성격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사회는 봉건적 모순에서 비롯된 半封建的 성격과 더불어 半植民 및 식민지적 종속성을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중층적 억압구조는 한국인들의 위기의식을 고조시켰다. 당시 개화자강파의 사상을 계승하고 새로운 西歐文化를 수용하고 있었던 知識人層은 이 같은 위기감을 自强論으로 체계화시켰으며, 이 자강론을 사상적 구심점으로 하여 愛國啓蒙學會의 활동이 展開되기에 이르렀다. 제Ⅲ장에서는 당시 대중에 토대를 두지 못한 중앙 중심의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반성에서 設立된 최초의 지역단위의 단체인 初期愛國啓蒙學會-西友學會·漢北興學會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初期愛國啓蒙學會인 西友學會와 漢北興學會는 사실상의 국권상실의 상황에서 각계각층의 국민들의 민족적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었던 1906년 10월에 設立되었다. 당시는 애국계몽운동이 전국적·대중적 차원으로 또 각 지역단위로까지 확대되지 못하고 소수의 지식인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이 같은 조건하에서 初期 愛國啓蒙學會가 設立된 것은 애국계몽운동가들이 당시의 민족적 위기의식을 최대한 結集시켜 國權恢復의 의지를 키우고 <民力>을 기르기 위해서는 지역민을 대상으로 차근차근 쌓아올려야 한다고 보아, 전략상 그 포석으로서 가장 각성이 빨랐던 關西地域에서 西友學會를 設立하고 연이어 西北地域에 漢北興學會를 設立하였던 것이다. 즉 初期 愛國啓蒙學會는 단순한 지역단위의 단체라는 것을 넘어서서 전국적 규모로의 애국계몽운동의 확산을 취한 포석으로서 設立되었던 것이다. 西友學會는 國權恢復과 國民國家의 건설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먼저 <民力>을 養成하고 <民力>을 結集할 것을 강조하면서 애국주의교육에 근간을 둔 敎育救國運動을 전개하였으며 운동회·강연회·學報刊行을 통해 대중을 계몽하였다. 그리고 西友學會는 開化自强派의 思想을 계승하면서 한편 社會進化論·天賦人權論 등 서구의 사상을 크게 수용하여 實力養成論, 民權論과 愛國論, 愛國主義敎育과 尙武精神을 골자로 하는 敎育救國論, 實業振興論, 弊習打破論을 활동의 근거로 제시하였다. 더욱이 實戰을 준비하기 위한 체육의 강조·尙武精神의 강조는 특히 돋보이는 것이었다. 開化自强派 계열의 신지식층과 혁신적인 武官들이 추진주체가 되고, 市民層을 사회적 기반으로 전개된 西友學會의 救國敎育運動과 大衆啓蒙運動은 관서지역 대중의 민족적 위기의식을 최대한 결집시켜 국권회복을 위한 실력야성운동으로 나아가게끔 하므로써, 애국계몽운동을 광범한 대중차원의 운동으로 전개될 수 있게끔 하였다. 특히 지역단위의 단체로서 지역민을 대상으로 직접 활동을 실시한 점, 운동회·강연회 등의 방법으로 광범한 대중을 동원한 점, 民權論·國民國家論에 입각한 愛國心을 강조한 것 등이 이를 가능케 해 주었다. 漢北興學會는 國權恢復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實力>을 양성하고 <團結>할 것을 강조하면서 敎育救國運動과 啓蒙講演運動·靑年運動·國債報償運動을 전개하였다. 李儁·李東輝등 革新的인 人士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漢北興學會의 활동은 당시 民衆의 總力을 끌어들이지 못한 愛國啓蒙運動이 大衆次元으로까지 파급되는데 많은 역할을 하였다. 西友學會와 마찬가지로 지역단위의 단체로서 지역민을 대상으로 직접 활동을 실시한 점이나 운동회·강연회등에 주력하여 민중속에 파고든 점 등으로 成果를 거둘 수 있었으며, 특히 李儁·李東輝등의 혁신적 활동이 漢北興學會의 위치를 돋보이게 하였다. 이러한 初期 愛國啓蒙學會의 活動은 關西地方에서 愛國啓蒙運動이 가장 열렬하게 전개될 수 있었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또한 애국계몽운동가를 많이 배출케 하는데 크게 기여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關北地域에 있어서도 애국계몽운동의 온상지가 될 수 있게끔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리고 당시 合法·秘密의 양면활동을 전개하고 있던 新民會의 중추세력이 西友·漢北興學會의 출신이었다는 점에서도 이들 初期 愛國啓蒙學會의 역할이 주목된다. 西友學會·漢北興學會는 의도하였던 대로 관서·관북지역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운동이 成長함에 따라 처음 계획과 같이 운동을 전민족적·전국가적 규모로 확산시키기 위해 新民會의 設立이후 통합을 시도하였다. 더욱이 「丁未七條約」이후 日帝탄압의 강화는 애국계몽운동세력으로 하여금 체질을 강화하고 力量을 統合하도록 촉구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1908년 1월 西友學會와 漢北興學會는 운동을 전민족적으로 확산시키고 역량을 결합하여 운동을 강력히 전개시키고자 발전적으로 西北學會로 統合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일정하게 획득한 대중적 기반 위에서 운동의 전국적 확산과 전민족적 통합을 지향하였던 後期愛國啓蒙學會-西北學會·畿湖興學會-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당시 애국계몽운동은 관서·관북지역에서 일정하게 뿌리를 내리고 전민족적·전국가적으로 확산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한편 日帝의 탄압에 맞서 力量의 結合이 요구되던 시점에 있었다. 西北學會는 바로 西友學會·漢北興學會가 발전적으로 統合되어진 것이고(1908.1) 畿湖興學會는 애국계몽운동의 전국적확산과정에서 그 設立을 보았던 것이다(1908.1). 西北學會는 國權恢復과 國民主權의 自主獨立國수립에 목표를 두고 <民力>을 養成하고 <民力>을 結集할 것을 요청하면서 抗日敎育救國運動을 전개하였으며 학보간행·계몽강연·청년지도를 통한 민중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西北學會의 활동은 西友學會·漢北興學會의 활동을 계승한 것으로, 좀 더 광범한 지역과 대중에게까지 애국계몽운동을 확산시키고자 한 것이었으며 또한 당시 日帝탄압에 대한 구체적 대응책을 제시하여 민중으로 하여금 적극 대처토록 하는데 주력하였다. 그러다가 日帝의 탄압이 더욱 강화되고 西北學會 분쇄책이 시도되면서 西北學會는 「獨立戰爭戰略」을 채택하여 국외에서 獨立軍基地建設과 武官學校建設運動에 주력하였으며 국내에서는 私立學校維持등 敎育運動을 계속 추진하였다. 西北學會는 西友學會의 救國自强思想을 계승하고 있으면서 좀 더 구체적 自强策을 제시하였다. 즉 社會進化論·民權論·社會革新論을 사상적 기반으로 敎育救國論·實業振興論등 實力養成論을 제시하였는데, 운동이 확산되어지고 日帝의 탄압이 강화된 당시의 조건하에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敎育論·實業振興論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西北學會에 와서는 民力養成의 방법으로 新民思想이 주창되고 있으며, 새로운 국가상으로 立憲共和制가 提起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社會革命思想·國民革命思想으로까지 진전되지는 못하였다. 당시는 민족모순의 해결이 제1의 과제였기 때문에 西北學會는 初期 愛國啓蒙學會의 「獨立戰爭準備論」의 논의를 「獨立戰爭戰略」의 채택으로 발전시켜 나갔던 것이다. 開化自强派 계열의 新知識層과 革新的 人士들이 추진주체가 되어 광범한 신흥시민층을 사회적 기반으로 전개된 西北學會의 활동은 애국계몽운동을 좀 더 광범한 대중가 좀 더 광범한 지역으로 확산시켜 나갔으며, 日帝의 私立學校令·學會令·出版法 등의 탄압 책동에 맞서서 日帝의 植民地化政策에 말려들지 않고 진정한 국권회복운동으로 전개될 수 있게끔 하였다. 실제로 西北學會는 大韓協會 및 一進會와의 統合을 종용하는 日帝의 기만적인 회유정책에 굴하지 않고 시종일관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日帝가 강제로 한국을 倂合한 직후인 1911년 「寺內總督暗殺陰謀事件」을 조작한 것은 바로 關西地方의 저항을 분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西北地域의 私立學校들이 日帝의 방해책동 속에서 愛國主義敎育을 통한 人材養成을 계속해 나가 서북지역을 愛國啓蒙運動의 요람이 되게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여 후의 독립운동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西北學會의 활동이 밑거름이 되었던 것이다. 특히 西北學會의 指導層들은 1909년 日帝의 탄압이 가중되어 國內에 있어서의 활동이 크게 제약을 받자 만주 등지로 근거지를 옮겨 독립운동 기지를 조성하고 武官學校를 設立하므로써 애국계몽운동을 국외독립운동으로 전환시켜 나갔다. 畿湖興學會는 애국계몽운동이 확산되어 나가는 과정에서 國權恢復을 목표로 하여 <實力>양성을 촉구하며 留學을 다녀오거나 新敎育을 받은 현직의 고위관료들과 개화자강파계의 신지식층에 의해 設立되었다. 현직의 고위관료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는 것은 西北學會와 크게 다른 점으로 애국계몽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나가는 과정에서 그 지도층도 좀 더 광범한 층으로 확산된 것이라 하겠다. 畿湖興學會는 <實力>양성을 위한 敎育活動을 전개하였으며, 學報刊行·啓蒙講演을 통해 大衆을 계몽하였다. 이 같은 畿湖興學會의 활동은 그 방법에 있어서는 西友學會·漢北興學會의 것을 거의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실제 활동의 내용을 보면 敎育振興運動이 주가 되고 있으며 學報刊行·啓蒙講演등에서 조차도 畿湖興學會 자체의 발전과 교육진흥에 관한것만이 강조가 되고 있을 뿐이다. 더욱이 당시의 日帝의 탄압가중속에서 교육진층운동만을 전개하고 있는 것은 西北學會가 國外獨立軍基地建設과 武官學校를 建設하는 강력한 抗日團體로 발전해 나가는 것에 비추어 매우 대조적이다. 그리고 思想을 보면 역시 社會進化論을 수용하고 實力養成論을 제기하고 있는데 실력양성의 핵심을 敎育에 두고 있다. 이 같은 교육을 통하여 실력을 양성하겠다는 논의는 기본적으로 他學會의 敎育觀과 같으나 救國에 대한 강한 의지보다는 敎育을 振興시켜 당 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자는데 그 강조점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그 점은 實戰을 위한 尙武精神의 고취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日帝의 탄압에 직면하여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교육사업을 전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교육진흥만을 강조하고 있는데서 잘 드러난다. 이점은 西北學會가 현실적·구체적 교육사업을 제시하고 「獨立戰爭戰略」을 채택하는 단체로 성장해 나가는 것과 대조적이다. 더욱이 畿湖興學會의 주도세력 중 일부인사들은 日帝의「貴族令」에 따라 「韓·日合倂」이후에 작위를 받기까지 하였다. 이렇게 볼 때 畿湖興學會가 기호지방의 私立學校設立과 維持라는 차원에서 공헌을 하였지만 같은 시기에 設立된 西北學會와는 좋은 대조를 이룬다. 즉 애국계몽운동의 확산과 日帝의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탄압속에서 국권회복의 실천이 더욱 강력하게 요구되었을 때 西北學會는 「獨立戰爭戰略」채택과 독립군 기지건설운동을 전개하는데까지 발전되어가고 있으나 畿湖興學會는 체제내에서 소극적 입장을 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人士들이 일본에 대하여 타협적 입장까지 지니게 되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고찰한 바에 따르면 愛國啓蒙運動은 단계적으로 발전·전개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당초에는 서울을 중심으로 소수의 지식인을 중심으로 전개되다가 이를 극복하려는 西友學會·漢北興學會 등 初期 愛國啓蒙學會의 設立에 따라 지역민과 직접적 유대를 갖고서 초보적 단계이긴 하였지만 대중적 기반을 획득하였다. 이 같은 발전의 토대 위에서 애국계몽운동은 전국적인 확대와 전민족적 統合을 지향하였고, 그것을 주도한 것이 西北學會였다. 그러나 日帝의 탄압이 강화되면서 西北學會를 중심으로 하는 대중차원의 애국계몽운동도 일정하게 방법론에서 變化를 드러내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국민교육을 통한 인재양성과 민중계몽사업을 계속 진행시켜 나가면서 또 한편으로는 「獨立戰爭戰略」을 채택하고 「독립군기지건설」과 「武官學校건립」을 준비·추진하였던 것이다. 이같은 愛國啓蒙學會의 활동은 국권회복이라는 즉각적 성과를 가져다 주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대중과 밀착하여 국민교육운동을 전개하므로써 민족지도자를 육성하였으며 대중의 애국심을 일깨우고 역량을 증강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여, 이때 양성된 민족지도자와 민족의 역량이 그 후 日帝하 독립운동의 人的·精神的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그리고 특히 1909년 이후「獨立戰爭戰略」을 채택하고 獨立軍基地建設과 武官學校建立으로 발전적으로 나아가므로써 일제하 무장독립투쟁의 밑거름이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