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혜정-
dc.creator백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0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60-
dc.description.abstract사회적, 경제적 여건의 향상으로 성인들의 교정치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 골다공증의 증가는 교정치료에 제한이 되며, 골다공증과 카페인과의 관련 여부는 최근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후 1일된 마우스의 골모세포를 in vitro상에서 카페인과 칼슘 및 이 둘을 혼합 처리하여 골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골모세포는 마우스의 두개관에서 얻었으며, 카페인 단독 처리, 칼슘 단독 처리, 카페인과 칼슘의 혼합 처리를 시행하였다. 카페인 처리를 한 경우 1일, 2일, 4일째 세포 독성 정도를 570 nm ELISA로 분석을 시행하였고, 카페인, 칼슘 및 혼합처리시 배양 후 28일째 Von Kossa staining 후 영상분석기에 의해 광화된 골결절의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 변화를 배양 후 2일, 7일, 14일, 21일, 28일째 405 nm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고, IL-1β의 활성도를 48시간 후 492 nm ELISA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얻어진 수치들은 ANOVA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카페인에 대한 세포 독성은 카페인 처리 후 2일째, 4일째에 1.0 mM, 2.0 mM 농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 < 0.001), 세포 수는 감소하였다. 광화된 골결절의 밀도는 카페인 단독 처리시 0.2 mM에서 , 칼슘 단독 처리한 경우 1.2 mM에서, 혼합 처리한 때는 0.1 mM 카페인과 1.8 mM 칼슘 혼합 처리군에서 최대치를 나타냈다.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는 비처리시 칼슘과 같이 14일째 최대치를 보이나 카페인 단독 처리시에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카페인과 칼슘의 혼합 처리한 경우 1.2 mM, 1.8 mM 농도에서는 14일에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 < 0.001), 2.5 mM 고농도의 칼슘에서는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L-1β 활성도는 카페인 단독 처리시 0.2 mM, 1.0 mM에서, 칼슘 단독 처리한 경우 1.8 mM에서, 혼합 처리한 때에는 0.1 mM 카페인과 1.8 mM 칼슘 혼합 처리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고농도의 칼슘, 카페인, 혼합 처리군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칼슘이 1.2 mM, 1.8 mM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카페인에 의한 골모세포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과 IL-1β의 활성 억제 효과가 어느 정도 회복되나, 2.5 mM 고농도의 칼슘은 억제된 활성을 회복시키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카페인에 의해 억제되었던 골모세포 활성에 영향을 주는 칼슘의 기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향후 IL-1β뿐 아니라 다른 성장인자나 cytokine의 변화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된다면 성인의 교정치료에도더욱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ffeine and calcium on the activities of the osteoblastic cell from mouse calvaria. The author cultured osteoblastic cells obtained from the mouse calvaria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the caffeine-treated, the calcium-treated and the combine-treated group. In caffeine-treated group, the cell toxic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t 1, 2 and 4 days after treatment of caffeine. In all groups, the densities of the mineralized bone nodules were measured by imaging analyzer after Von Kossa staining. The alkaline phosphotase (ALP) activities were measured at 2, 7, 14, 21 and 28 days and the interleukin-1βactivities at 48 hours after treatment of caffeine and calcium. The measurements were statistically executed with ANOVA te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ellular toxicity of the caffeine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affeine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2. The maximum densities of mineralization were observed at 0.2 mM caffeine-treated group, 1.2 mM calcium-treated group, 0.1 mM caffeine and 1.8 mM calcium-treated group. 3. The activities of ALP were peaked at 14 days at calcium-treated group as no-treated. But, the activities of ALP increased with concentrations of caffeine at caffeine-treated group. At combine-treated group, the act of ALP were peaked at 24 days at 1.2 mM, 1.8 mM calcium-treated group, But decreased at 2.5 mM calcium-treated group. 4. The activites of the IL-1β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t 0.2 mM caffeine-treated group, 1.8 mM calcium-treated group and 0.1 mM caffeine and 1.8 mM calcium-treated group. But, they were decreased at all groups of high concent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연구재료 및 방법 ------------------------------------------------------- 6 A.연구재료 ---------------------------------------------------------------- 6 B. 연구방법 --------------------------------------------------------------- 6 1. 골모세포의 분리 ------------------------------------------------------ 6 2. 세포 독성 검사 ------------------------------------------------------- 8 3. 골모세포 수의 측정 --------------------------------------------------- 8 4. Von Kossa staining 후 광화된 골결절 밀도 측정 ------------------------ 9 5. 염기성 인산 분해 효소 활성도 검사 ------------------------------------ 9 6. IL-1β 활성도 검사 --------------------------------------------------- 10 7. 자료의 분석 ---------------------------------------------------------- 10 III. 결과 ------------------------------------------------------------------- 11 A. 카페인이 골모세포에 일으키는 독성 분석 --------------------------------- 11 B. 세포 수 변화 분석 ------------------------------------------------------ 14 C. 광화된 골결절의 밀도 분석 ---------------------------------------------- 16 D. 염기성 인산 분해 효소의 활성도 변화 분석 ------------------------------- 18 E. IL-1β 활성도 변화 분석 ------------------------------------------------ 26 IV. 고안 -------------------------------------------------------------------- 31 V. 결론 --------------------------------------------------------------------- 40 참고문헌 -------------------------------------------------------------------- 42 영문초록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05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카페인과 칼슘이 마우스의 골모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affeine and calcium on the activities of the mouse osteoblastic cell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