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윤경-
dc.creator조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0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56-
dc.description.abstract유아에게 있어서 또래와의 사회성 능력의 습득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부분의 유아들은 또래와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술을 취학전인 영유아기에 습득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장애유아들은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상호작용 기술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유아들이 보이는 또래 상호작용과는 그 질적인 면과 양적인 면에서 다른 형태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영유아기에 또래와의 사회적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통합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분리나 거부 속에서 계속 생활하게 되는 경우, 성인이 되었을 때 직업이나 지역사회 생활에서 적응 문제를 보이거나 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또래와의 사회성 능력은 유아기의 다른 발달 영역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운 학습 기회를 제공해주며, 특히 또래와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인지, 언어와 의사소통, 좀더 발달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통합 상황에서 가능하면 빠른 시기에 장애유아에게 또래와의 사회성 중재를 실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한 본 연구는 중재 처음부터 서너 명의 또래 중재자를 훈련해서, 중재 시작 시기부터 훈련받은 또래들이 간식 및 두 가지의 자유 선택 활동을 포함하는 세 가지 활동들로 분산해서 장애유아와 상호작용 하도록 하는 복수또래 중재를 통합 학급에 있는 장애유아들에게 실시함으로써, 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중재 효과의 다른 활동으로의 일반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재가 시행되지 않는 통제 상황인 미술 활동에 대한 자료도 처음부터 수집하였다. 중재 성과의 측정 면에서, 장애유아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는 것 외에도 또래 측정이나 교사 평정 등의 정보를 통합하여 측정의 객관화와 사회적 타당도를 높인 복합적인 측정인 사회성 능력에 대한 수행중심평가(PASC)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 기초선 설계로 통합 학급에서 10명의 또래 중재자가 장애유아 3명에게 약 16주에 걸쳐서 하루 일과 중에 세 가지로 분산된 활동들을 통한 복수 또래 중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 대상 장애유아들이 속한 학급의 일반유아 44명과 짝지어진 통제 집단의 일반유아 44명 총 88명에 대해 복수또래 중재에 따른 수용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측정을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마찬가지로 교사도 실험과 통제 집단으로 각각 15명씩 총 30명이 복수 또래 중재에 따른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에 대한 사전과 사후 평정척도를 시행하였다. 분산된 활동을 통한 복수 또래 중재를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학급에서 서너 명의 또래를 훈련하고 세 가지 활동으로 분산해서 사회적 시작행동을 하도록 또래들을 촉진하는 복수 또래 중재는 장애유아와 또래유아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발생 및 그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재 시작 시기부터 유지 시기까지 중재가 시행되지 않는 통제 상황인 일반화 활동에서 행동 관찰을 시행 한 결과, 본 중재를 통해서 습득된 기술이 다른 상황으로 적게나마 일반화되고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다. 셋째, 본 중재를 통해서 초기에 변동적이고 다소 낮았던 장애유아의 학급 활동 참여율은 안정적인 경향을 보이면서 증진되었다. 넷째, 본 중재는 장애유아의 행동에서의 적절성과 기능 수준의 향상으로 일반유아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도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본 중재는 교사들의 평정에서도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앞으로는 본 연구에서 다룬 사회적 상호작용과 활동 참여에서 더 나아가서 좀더 포괄적인 성과와 활동을 포함하는 중재의 개발과 유아의 사회성 능력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식적인 평가 체계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The acquisition of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is very important task for children in their early development. Most children learn the skills to interact with peers positively in preschool years. But the handicapped children were turned out not to have the basic interaction skills to participate in positive peer interaction, and to show the difference in peer interaction types qualitively and quantitively with the their peers. If the handicapped children didn t have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social skills from their peers in early developmental years, and even though integrated, if they were to live in the socially separate and refused settings, they were reported to have the adaptive problems in the vocation and the community living in adult years. And peer-related social skills influenced the other developmental areas, and gave the opportunity of natural learning, especially the active and positive peer interaction proved to affect cognition, language and communication, and more advanced social interaction skills. Therefore, the early social interaction interventions supporting the handicapped child in the integrated settings were considered very important. Based on these importances, this study was planned and implemented. The first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the intervention which could be more intensive and effective in initiating social behaviors of peer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iginating the social interaction, producing the higher rates of the generalization and the maintenance, and making the children participating the ongoing class activitie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multiple peers-mediated intervention dispersed into the class activities was implemented as followed: First, three to four peer-mediators were trained at the beginning of intervention. Second, each peer-mediator interacted with target handicapped child in three intervention activities successively from the first time. Third, not only for the three activities(snack, free-choice 1 and 2), but also for control activity(art and manipulation) to know the generalization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e frequency of social behaviors was measured during the intervention and the maintenance phase. Additionally the rate of participation which meant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 and environment, and the appropriate inclusion to ongoing activities in the integrated class was measured to ensure the effect of intervention.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child s social behaviors objectively, and to test the social validity of the changes by the important social agents affected by the child. So the performance-based social competence(PASC) was measured which included the peer acceptance and teacher rating of social interaction. The multiple peers-mediated intervention dispersed into the class activities was implemented with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the 3 participants by 10 peer-mediators, for 16 weeks in the integrated community-based child center. And the pre and the post sociometrics to know the peer acceptance were tested for 88 participants, 44 peers-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arget subjects peers, and for 44 peers matched control group. The pre and the post teacher rating of social interaction were done by 30 teachers, the 15 teachers of experimental group and the 15 teachers matched control group.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ed: 1. The multiple peers-mediated intervention demonstrated the effects in social behaviors, especially social interaction between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peers, which trained and prompted the multiple peers to initiate social interaction in the various dispersed activities. 2. The intervention had an effect on the generalization setting (control activity) from the beginning to the maintenance phase. 3. The intervention increased the rate of participation to the ongoing-class activities. 4. The intervention influence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eer acceptance of the handicapped children by the target children s improvement in the appropriateness and the functional level. 5. The intervention made the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interaction rating of teachers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not only the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 and the participation to class activities, but also intervention included with the more comprehensive outcomes and activities, and the more objective assessment system must be developed in the fute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8 C. 용어 정의 -------------------------------------------------------------- 9 Ⅱ. 이론적 배경 ------------------------------------------------------------- 12 A. 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성 능력에 관한 개관 -------------------------------- 12 1. 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성 능력에 관한 개념들과 그 측정 ------------------ 12 1) 사회적 행동 면에서의 사회성 능력 ----------------------------------- 13 2) 사회적 과제의 습득 면에서의 사회성 능력 ---------------------------- 16 3) 사회적 지위 면에서의 사회성 능력 ----------------------------------- 17 4) 수행 중심 평가 면에서의 사회성 능력 -------------------------------- 19 2. 또래와의 사회성 능력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 중요성 --------- 21 1) 사회성 능력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 21 2) 또래와의 사회성 능력과 다른 발달 영역과의 관련성 ------------------- 22 3. 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 --------------------------- 24 B. 장애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성 능력 지원을 위한 중재 ----------------------- 26 1. 환경 구조화(environment arrangement) 중재 전략 ---------------------- 28 2. 교사-주도의 장애유아 중심(child-specific) 중재 전략 ----------------- 31 3. 또래-주도(peer-mediated) 중재 전략 ---------------------------------- 32 C. 통합학급에서의 분산된 활동을 통한 복수 또래 중재 ----------------------- 35 1. 통합 상황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 35 2. 복수 또래 중재 ------------------------------------------------------ 37 3. 분산된 활동을 통한 중재 --------------------------------------------- 40 4. 중재에서의 교사를 포함하는 성인의 역할 ------------------------------ 42 D. 사회성 능력에 대한 수행 중심 평가(PASC) -------------------------------- 46 1. 대상유아 행동 관찰 -------------------------------------------------- 48 2. 또래 수용도와 그 측정 ----------------------------------------------- 50 3. 교사의 평정 척도 ---------------------------------------------------- 57 4. 또래 소규준 --------------------------------------------------------- 59 Ⅲ. 연구 방법 --------------------------------------------------------------- 62 A. 연구문제 1: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활동 참여 --------------------- 63 1. 연구 대상자 --------------------------------------------------------- 63 1) 기관 선정 --------------------------------------------------------- 63 2) 교사와 관찰자 오리엔테이션 ---------------------------------------- 63 3) 대상자 선정을 위한 관찰자 훈련 ------------------------------------ 63 4) 대상자 선정을 위한 사전 관찰 -------------------------------------- 64 5) 연구 대상자 ------------------------------------------------------- 64 2. 실험 시기 및 시간 --------------------------------------------------- 67 3. 실험 장소 ----------------------------------------------------------- 68 4. 실험 설계 및 절차 --------------------------------------------------- 69 1) 실험 설계 --------------------------------------------------------- 69 2) 실험 조건 및 절차 ------------------------------------------------- 69 5. 관찰 및 측정 방법 --------------------------------------------------- 73 1) 관찰 범주 --------------------------------------------------------- 73 2) 관찰 방법 --------------------------------------------------------- 74 3) 관찰 활동 --------------------------------------------------------- 74 4) 자료 수집 --------------------------------------------------------- 75 5) 관찰자 훈련 ------------------------------------------------------- 79 6. 관찰자간 신뢰도 ----------------------------------------------------- 79 B. 연구문제 2: 또래유아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도 ------------------------ 80 1. 연구 대상자 ---------------------------------------------------------- 80 2. 실험 기간 및 시간 ---------------------------------------------------- 82 3. 실험 장소 ------------------------------------------------------------ 82 4. 연구 도구 ------------------------------------------------------------ 83 5. 실험 설계 및 절차 ---------------------------------------------------- 83 1) 실험 설계 ---------------------------------------------------------- 83 2) 실험 절차 ---------------------------------------------------------- 84 6. 자료 처리 및 분석 ---------------------------------------------------- 84 C. 연구문제 3: 교사들의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변화 -------- 85 1. 연구 대상자 ---------------------------------------------------------- 85 2. 장소 및 시간 --------------------------------------------------------- 85 3. 연구 도구 ------------------------------------------------------------ 85 4. 실험 설계 및 절차 ---------------------------------------------------- 86 1) 실험 설계 ---------------------------------------------------------- 86 2) 실험 절차 ---------------------------------------------------------- 86 5. 자료 처리 및 분석 ---------------------------------------------------- 87 Ⅳ. 연구 결과 --------------------------------------------------------------- 88 A.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활동 참여 --------------------------------- 88 1. 장애유아와 또래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 88 1) 중재 활동들에서 장애유아와 또래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 88 2) 장애유아와 또래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일반화 효과 ---------------- 92 2. 장애유아의 활동 참여 ------------------------------------------------- 96 B.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도 -------------------------------------- 99 C. 장애유아에 대한 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100 Ⅴ. 논의 --------------------------------------------------------------------102 A. 논의 -------------------------------------------------------------------102 1.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102 1) 또래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 -----------------------------------------104 2) 장애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 -----------------------------------------106 3)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교사의 개입 -----------------------------------107 4) 장애유아 상호작용의 비교 기준으로서 또래 소규준 --------------------108 5)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유지 및 일반화 ------------------------109 2. 장애유아의 활동 참여 -------------------------------------------------111 3. 행동 관찰, 또래 측정, 교사 평정을 포함하는 사회성 능력에 대한 수행 중심 평가(PASC) -----------------------------113 B. 연구의 제한점 ----------------------------------------------------------116 C. 제언 -------------------------------------------------------------------118 참고문헌 --------------------------------------------------------------------121 부 록 -----------------------------------------------------------------------140 Abstract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96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분산된 활동을 통한 복수 또래 중재가 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multiple peer-mediated intervention dispersed into activities o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integrated clas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