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니-
dc.creator김혜니-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47-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lucidate the semantic structure in the system on spatial, by regarding as a text all the poems included in the complete works of Mok Wol and investigating its entire system of spatial signs. The kinds of semiotic approach and its methods of application are considerably various. Therefore the main concerns of this study lie in exploring the poetics of Mok Wol which makes up the new semantic network through the binary oppositions of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space remarkable shown in his poems and through the functions of mediation working in the binary oppositions. Based on this research methodology, the contents and procedure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Chapter Ⅰis the general survey of the history of the precedent studies on Park, Mok Wol’s poetry, in which an attempt is made to examine briefly the existing studies. More than one hundred studies on the poems of Mok Wol could be found, and their common type of argument was to classify those poems according to the published years of the collection of his poems and to inquire into the process of spiritual or inner transformation in relation to nature, in the order of each anthology. (2)Chapter Ⅱ makes an attempt to apply to a poem, “yun-sa-wol- a spatial semiotic and analysis which is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As a result, while the vertical space is found to compose the trichotomies structure of above(sky), middle(mountain, tree), an below(house), the torizontal space is divided into inside(the interior of the house), border (the side posts of a gate), and outside (the exterior of the house). The spatial sign system of this poem is at once the construction of the total space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and the deconstruction in which the space breaks up, extends and is nullified by a pine pollen and a oriole, the symbols of spatial expansion. Therefore the spatial sign of the poem “Yun-Sa-Wol’, which deconstructs all the boundaries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and expands into the whole cosmic space, yields the semantic movement such as sacredness, ideal, nature, activity, dialogue, communication, freedom, tranquility, vivacity, and delight. (3)Chapter Ⅲ intends to investigate the spatial sign system of the trichotimies structure and cultural mediation, after dividing it into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space. The semantic movement of the vertical mediations in the textual space of “Yun-Sa-Wol” ? stairs, ladder, rope, airplane- aspires for the positive above space, between the binary opposite spaces such as ideal and reality, spirit and material, soul and body, heaven and earth, finally accepts and transcends the negative below space. Succeeds in completing its aspiration, and ultimately comes to reach at the space in which above(sky)and below(earth)are united. The horizontal mediatins such as door, house, window, room are the border ones separating inside from outside, and shoes and buses are the migratory mediations representing here and there, starting and arrival. All of them constitute the sign system of the binary opposition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communication and interception, light and darkness, activity and suspension, objection and subject, order and chaos, and ideal and reality. Thus, being distinguished between positive item and negative one, the binary opposition system of which media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maintains the relationship of mutual tension. In this system, however, it is possible to fine the semantic movement of the harmony of the poet’s sincere life who tries to reconcile the two poles such as within and without, here and there, starting and arrival, and to make for the new dimension. (4)In Chapter Ⅳ an attempt is made to examine the spatial sign system of the vertical axis and thr horizontal axis in nature mediations and trichotimies. ‘Tree’ as the vertical mediation, in the conflicts of the binary oppositions such as spirit and material, ideal and reality, aspires the space of spirit and ideal, and finally shows the semantic movement of the cosmic tree in which the sky and the earth becomes one and all. ‘River’ and ‘road’, the horizontal mediations,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passage like continuity, stop, and change. ‘River’ is the space where the poet stares at himself, by means of which the poet completes the pursuit of poet’s 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road’ has the semantic movement of the picture of life which are encounter, separation, longing, and so on. Especially ‘detour’ as the unique road space in the text of Mok Wol, is distinguished from the straight road, and creates the semantic movement of composure and rest, the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the spiritual meditation. (5)The semantic movement of above and below’s union in the vertical axis and that of inside and outside’s harmony in the horizontal axis lead to the central space ? sky, earth, east, west, south, north, middle ? in which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intersect. And this central space comes to be connected with a world-wide symbol, cross. In other words, mediations like body, pendulum, and stone, as the core in which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cross, create the world and the navel of the cosmos which gathers and gives out the power of the whole cosmic space. (6)Chapter Ⅴintends to examine the total spatial sign system. Among the celestial body signs of the upward space are starts and the moon : one is a kind of supreme being as an immutable object, located in the most upper place of the vertical, and the other symbolizes the great goddess situated in the vertical, above space. The rain, the natural phenomenon of the below space, having a negative quality, is shown as the material which revokes the extreme situations in time and space. Despite the poet’s desperate attempt to stop rain falling with an umbrella or a hat, the rain makes a pillow wet and ultimately encounters with water. Here, the poet comes to consider the irresistibility of the falling rain. When the rain transformed into the form of water arrives at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it stops its horizontal movement and renews vertically. In other words, water dissolves, purifies, and regenerates all kinds of being. The snow, the renewed from of water which is the origin of all creature’s lives, is the essence of life giving water and makes the earth luminous without being melted, and at last soars toward above. The downward spatial sign system of these natural phenomena forms both the cyclic structure system of descent and purification, purification and rebirth, rebirth and ascent, and the structure system of recuring to origin or source. Mist and wind, the deconstructive spatial signs of these natural phenomena, destroy, turn over, and go and come freely the boundary of the vertical space ? above, middle, below ? and of the horizontal space ? left and right, inside and outside ? and ultimately even nullify those spaces. In particular, mist as an ambiguous material, having both the negative and the affirmative, means interception, separation, loss, security, fixedness, harmony, and nullification, while wind is the sign which creates the semantic movement of communication, harmony, and security. In conclusion, the sign system of the poetic space in Park, Mok Wol’s poetry can be summed up in the following several semantic structure systems : the fusion or union of above(sky)and below(earth), the harmony or balance of inside and outside, the condensation and expansion of above and below, and of inside and outside, the cycle of descent, purification, regeneration, and ascend, and the recurrence to origin and source. In this sense, this semantic structure system can be considered to be both the poetics and total semantic network of Park, Mok Wol’s poetry.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木月 시집에 수록된 전 작품을 하나의 텍스트로 간주하고 그것의 전체적인 공간기호체계를 살펴 그 공간기호가 구성하는 체계 안에서의 의미론적 구조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런데 기호학의 종류와 그것의 적용방법은 상당히 다양하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朴木月 시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수직과 수평공간의 이항대립과 그 이항대립 속에서 작용하는 매개항의 기능을 통해 새로운 의미망을 구축하는 그의 시학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론을 적용하면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논의하였다. ① Ⅰ장은 朴木月 시에 관한 연구사 개관과 연구의 목적 방법 대상을 밝힌 章인데, 연구사 개관에서는 기존연구들의 실상을 간략하게 검토해 보았다. 외형으로는 100여편이 넘고 논의의 유형으로는 기존연구들 거의가 朴木月의 시를 시집이 출간된 순서에 따라 나누고, 각각 시집순에 의해 정신적 혹은 내면적 변모과정을 자연과 연계하여 탐색하고 있다. ② Ⅱ장에서는 시〈閏四月〉을 모델로 하여 본 논문의 연구방법론인 공간 기호론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수직공간은 ‘上(하늘)/中(산·나무)/下(집)’의 삼원구조 기호체계를 구축하고 있고 수평공간은 ‘內(집 안)/경계(문설주)/外(집 밖)’의 삼원구조 기초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시의 공간기호체계는 수직축과 수평축의 총체적 공간구축이며, 동시에 공간확산의 상징물인 松花가루, 꾀꼬리에 의해 공간의 해체, 확산, 無化의 탈구축으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수직축과 수평축의 모든 경계를 해체하고 전 우주공간으로 확산하는 시 〈閏四月〉의 공간기호는 聖, 이상, 자연, 활동, 대화, 소통, 자유, 평온, 생기, 기쁨 등의 의미작용을 생성하고 있다. ③ Ⅲ장에서는 문화 매개항과 삼원구조의 공간기호체계를 각각 수직공간과 수평공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木月 시 텍스트 공간의 수직축 매개항인 층층계, 사다리, 밧줄, 비행기 등의 의미작용은 ‘이상/현실’, ‘정신/물질’, ‘영혼/육체’, ‘천상/지상’의 이항대립적 중간(사이)공간에서 긍증적인 상방공간을 동경·지향하다가 마침내 부정적인 하방 공간을 포용으로 극복하고, 그 동경과 지향을 실현 완성시켜 上(하늘)과 下(땅)의 공간을 융합·통일시켜 하나가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수평축 매개항의 문·집·창·방 등은 ‘內(안)/外(밖)’을 가르는 경계적 매개항이고 신발·버스 등은 ‘이쪽/저쪽’, ‘출발/도착’의 이동적 매개항으로 이 매개항들은 열림/닫힘, 소통/차단, 밝음/어두움, 활동/정지, 객체/주체, 질서/혼돈, 이상/현실 등의 이항대립적 기호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매개항을 중간으로 한 이항대립체계는 각각 긍정항과 부정항으로 변별되어 상호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결국 內/外, 이쪽/저쪽, 출발/도착 등의 양극을 모두 융합하여 새로운 차원으로 나아가려는 시인의 성실하고 넉넉한 삶의 조화, 균형의 의미작용을 탐색해낼 수 있다. ④ Ⅳ장에서는 자연 매개항과 삼원구조의 수직축 수평축의 공간기호체계를 고찰해 보았다. 수직축 매개항 ‘나무’는 ‘정신/물질’ ‘이상/현실’의 이항대립적 갈등속에서 정신과 이상의 공간을 동경하고 지향하다가, 하늘과 땅이 하나가 되고 전부가 되는 우주수로의 의미작용을 보여준다. 수평축 매개항 ‘江’ ‘길’은 지속과 중단 그리고 변화라는 흐름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다. ‘江’은 시인의 자기응시 공간으로, 이를 통해 시인의식의 지향과 추구를 완성시킨다. ‘길’은 만남과 이별 그리고 그리움이라는 인생의 모습, 인생의 역정으로서의 의미작용을 지닌다. 특히 木月 텍스트 특유의 길공간인 ‘우회로’는 직선로와 변별되는 공간으로 여유와 휴식, 자연과의 교감, 그리고 정신적 사유의 의미작용을 생성하고 있다. ⑤ 이러한 수직축의 上/下의 합일, 수평축의 內/外의 조화, 균형의 의미작용은 天·地·e東·西·南·北·中央이라는 수직과 수평이 교차하는 총체적 중심공간에 이른다. 이 총체적 중심공간은 세계적 상징인 십자가와 연결된다. 즉 매개항 몸통, 돌은 수평과 수직이 교차하는 그 핵으로써 우주의 총체적인 공간의 힘을 한데 모으고(응축) 발산(확산)하는 세계의 중심, 우주의 배꼽이라는 의미작용을 생성하고 있다. ⑥ Ⅴ장에서는 총체적 공간기호체계를 고찰해 보았는데, 상방의 천체기호인 별은 수직 최상단에 위치하며 불변체로써 절대존재물이고 달은 수직상방에 위치하는 女神으로 상징되고 있다. 하방의 자연현상물인 비는 부정의 성격을 띠고 공간과 시간의 극한 상황을 환기시켜주는 질료로 등장한다. 시인은 우산 또는 모자로 그 상방에서 하방으로 추락하는 비를 차단하려는 극복의 의지를 보인다. 그러나 비는 베개를 적시고 계속 추락하여 물로 化한다. 시인은 추락하는 비를 거역할 수 없음을 사유하게 된다. 그 비는 물이 되어 지하 밑바닥으로 이르러 수평운동을 멈추고 수직적으로 재생한다. 즉, 물은 현상으로서 일어난 모든 존재를 용해, 정화하여 재생케 한다. 논은 모든 존재의 생명의 근원인 물이 재생하여 나타난 것으로 生命水의 결정이며 녹지 않고 지상을 빛으로 化하게 하여 상방으로 상승한다. 이러한 자연현상물의 하방공간기호체계는 하강과 정화, 정화와 재생, 재생과 상승의 순환 그리고 근원, 본래, 원초에로의 회귀라는 의미작용을 생성하고 있다. 또한 자연현상물의 해체공간기호인 안개와 바람은 木月 시 텍스트의 수직공간 ‘上/中/下’, 수평공간 ‘左/右’, ‘內/外’의 경계를 부수고, 뒤바꾸고, 넘나들며 공간을 無化시킨다. 그중 안개는 부정과 긍정의 양가성을 지닌 질료로써 차단, 분리, 상실 그리고 안정, 조화, 無化를 의미하고 바람은 소통, 조화, 안정의 의미작용을 생상하고 있는 기호이다. 이상 朴木月 시 공간의 기호체계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몇가지 의미론적 구조체계로 요약될 수 있다. 즉, 上(하늘)/下(땅)의 융합 ·합일, 內(안)/外(밖)의 조화·균형, 上(하늘)/下(땅) 그리고 內(안)/外(밖)의 응축·확산, 하강→정화→재생→상승의 순환, 근원·본래·원초에로의 회귀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의미론적 구조체계가 바로 朴木月 시의 미학이며 동시에 총체적 의미망이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사 개관 ------------------------------------------------------ 1 B. 문제의 제기와 연구 목적 ------------------------------------------ 9 C. 연구의 방법 ------------------------------------------------------ 11 Ⅱ. 시 〈閏四月〉의 공간기호론적 분석 -------------------------------- 16 A. 수직축과 이항대립체계 -------------------------------------------- 16 B. 수평축과 이항대립체계 -------------------------------------------- 20 C. 매개항과 공간기호의 의미 ----------------------------------------- 27 Ⅲ. 문화 매개항의 공간기호 ------------------------------------------- 42 A. 수직공간의 기호체계 ---------------------------------------------- 45 1. 이상과 현실의 사이공간-층층계 ----------------------------------- 45 2. 천상과 지상의 연결공간-사다리, 밧줄, 비행기 --------------------- 58 B. 수평공간의 기호체계 ---------------------------------------------- 74 1. 열림과 닫힘의 공간-문 ------------------------------------------- 74 2. 빛남과 어두움의 공간-집, 창, 방 --------------------------------- 84 3. 출발과 도착의 이동공간-신발, 버스 ------------------------------- 92 Ⅳ. 자연 매개항의 공간기호 -------------------------------------------108 A. 수직공간의 기호체계 ----------------------------------------------108 1. 상승지향의 공간-나무 --------------------------------------------108 2. 상승과 하강의 공간-우주수, 거꾸로 선 나무 -----------------------127 B. 수평공간의 기호체계 ----------------------------------------------134 1. 자기응시의 공간-강 ----------------------------------------------134 2. 만남과 이별, 그리움의 공간-길 -----------------------------------140 3. 휴식과 노동의 공간-우회로와 직선로 ------------------------------148 C. 수직과 수평의 중심 공간기호-몸통, 돌 -----------------------------153 Ⅴ. 총체적 공간기호 --------------------------------------------------163 1. 상방공간-별, 달 -------------------------------------------------163 2. 하방공간-비, 물, 눈 ---------------------------------------------182 3. 해체공간-안개, 바람 ---------------------------------------------203 Ⅵ. 결론 -------------------------------------------------------------225 참고문헌 -------------------------------------------------------------232 영문초록 -------------------------------------------------------------2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335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박목월 시 공간의 기호론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