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0 Download: 0

한국 노인의 혈당수준에 따른 영양상태가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한국 노인의 혈당수준에 따른 영양상태가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uthors
강남이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60세에서 87세까지의 노인 372명(남자 143명, 여자 229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혈당수준 및 연령의 변화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섭취실태, 신체계측치 및 혈압, 혈액성분분석, 건강상태, 우울증정도, 인지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과 인지능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정상군 및 당뇨군의 인지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로부터 인지기능을 예측하는 관계식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설정하였다. 노인들의 인지능력, 우울증, 체력, 건강상태등을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하였고, 식품섭취실태는 24시간 회상법에 의하여, 그리고 노인의 신체계측 및 혈압은 직접 측정하였으며, 혈액분석은 병원 및 보건소에서의 혈액수집을 한 다음 실험실에서 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양소 섭취상태를 보면 연령증가에 따라 열량소는 비교적 감소하는 경향이며 남자의 경우 당뇨군보다 정상군의 열량섭취가 더 높았고, 여자는 차이가 없었다. 성별, 당뇨여부에 관계없이 75세 이후 열량섭취가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2. 식품섭취실태를 보면 대체로 연령증가에 따라 총식품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정상군이 당뇨군보다 다소 많은 동물성식품을 섭취하였으며, 총식품섭취량에 대한 동물성식품 섭취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동물성식품은 남자의 경우 70세 이전은 당뇨군이 정상군보다 더 많이 섭취하였으나 70세 이후는 반대 경향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모든 연령층에서 당뇨군이 더 많이 섭취하였다. 식물성식품은 남녀 모두 당뇨군이 더 많이 섭취하였다. 3. 혈액성분 분석결과 공복혈당수준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수준이며 혈청cholesterol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당뇨군이 유의하게 높았고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았다. 혈청 Fe, 혈청 Ferritin은 남자에서 정상군과 당뇨군의 경향이 서로 달라서 남자 정상군은 연령증가에 따라 혈청 Fe가 혈청 Ferritin이 높은 반면 당뇨군은 혈청 Fe은 높으나 혈청 Ferritin은 낮은 경향이었다. HbA_1C(glycohemoglobin)는 당뇨군에서 남녀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 monoamine oxidase의 경우 80세 이후 여자 정상군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층에서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4. 체력변수는 사회활동에서 여자의 경우는 일정한 경향이 없으나 남자의 경우 정상군이 당뇨군보다 더 많은 사회활동을 하였다. 건강상태는 여자보다 남자가 좋았고 당뇨군보다 정상군이 유의적으로 좋았다. 체력변수 세부요인으로는 일상활동을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며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성은 없으나 체력변수 세부요인 점수가 높았고, 운동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를 제외하고는 당뇨병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5. 인지능력은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남자보다 여자의 인지능력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특히 계산능력에서 그 차이가 컸다. 남자의 경우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정상군보다 당뇨군의 인지능력점수가 낮았으나 전체 평균 점수는 당뇨군이 더 높았고, 여자의 경우 일정한 경향은 없으나 전체 평균점수는 당뇨군이 더 높았다. 6. 우울증정도는 여자의 경우 남자보다 더 높았으며 남자는 당뇨군, 여자는 정상군에서 우울증점수가 높았다. 7. 인지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전체 관계식에 의하면 열량, 비타민A, 칼슘 섭취가 높을수록, 어패류, 가금류, 우유의 식품섭취가 높을수록, 혈액내 혈색소(Hb)수준이 높고 백혈구(WBC)수준이 낮을수록, 운동을 많이 하고 기구를 이용한 활동을 잘 할수록, 감정적, 신체적인 우울증요인의 변화가 적을수록 인지능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ther relating factors by the blood glucose level of 372 elderly Koreans aged 60 through 87. Relating factors considered are the socio-economic status, nutrient and food intake, anthropometric indicators, biochemical measurements, physical strength, health status, social activities, and depression. To examine these aspect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143 males and 229 females living in Seoul. Nutrient and food intakes were measured by the 24 hour recall method. Blood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done at the hospital and public health center. First,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thropometric and blood pressure, blood analysis,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ge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he other factors were examined. Finally, the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state of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ly were estimated by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various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ognitive function was declining in the course of aging, especially rate of decline was greater in female cases. 2. In the blood analysis fasting blood glucose level was higher in female than male. Serum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abetes. 3.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nutrients, more intake of calcium, Vit A, and calorie resulted in the higher cognitive function. Degree of depression was higher in women, in men with diabetes, in normal women. 4. Total food intake decreased and percentage of animal food intake increased with age. Normal group consumed more animal food than diabetes. 5. According to regression equation model, the higher calorie, Ca, VA, Calorie intake(as well as fish, poultry and milk), blood Hb level was higher, the lower blood WBC level, cognitive function was good.(also good whose function had exercise a lot and not easily depre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