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혜경-
dc.creator한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1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7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기존논의의 편향적 성향을 지양하고 텍스트의 미학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을 아우르는 방향에서 채만식 소설의 언술적 특성을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법은 서술자의 존재와 태도에 따른 위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먼저 서술자가 드러나는 정도에 따른 언술양상과 서술자가 이야기를 표현 전달하는 방식이 채만식 소설들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II장에서 밝혔다. 서술자가 거의 드러나지 않는 모방적 언술은 인물들의 대화와 장면화의 구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인물들의 대화를 통해서 인물들의 성격은 물론 상호관계 사건의 진행과정등을 드러내며 극적 전략이나 해학적 효과를 의도한 경우들도 나타난다. 특히 인물간의 갈등과 대립적 관계제시에 효과적인데 상호간의 지각배경과 맥락이 어긋나는 것에서 기인하고 있으며 개인적 관심과 사회적 관심이 대립되어 나타난다. 장면화는 인물의 시각에 비친 장면을 통해 작중인물의 상황을 암시하거나 식민지 현실의 단면을 드러내는데 효과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숨은 서술자에 의한 간접적 언술은 장면화나 인물의 이야기에 서술자의 목소리가 섞여 나타나는 텍스트들에서 살펴 보았다. 인물의 시각에 서술자의 시각이 덧붙여지면서 다층적 의미를 형성하고 있으며 서술자 부재의 장면과 서술자에 의한 요약적 언술이 교체되면서 중첩구조를 이루고 있다. 서술자의 생각이 나타나지 않는 장면적 언술만으로는 간단한 이야기에 서술자의 의미부여가 부가됨으로서 복합적 의미구축에 기여한다. 드러난 서술자의 서사적 언술의 경우,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텍스트와 시공간적으로 넓은 범위에 걸친 이야기를 요약한 것, 그리고 논평적 언술에서 접할 수 있다. 실제로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을 요약해서 들려주는 경우와 특정한 작중인물없이 상황 전체를 텍스트 세계 밖에서 조망하고 있는 경우, 그리고 논평적 개입은 역사와 현실에 대한 작가의 목소리를 강하게 드러낸다. III장은 서술자와 서술대상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논의로서 서술자가 서술대상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가, 서술대상에 대한 정보전달의 양상과 서술속도의 관계는 어떠한가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서술대상 곧 허구적 인물과 사건에 대한 서술자의 태도는 대상과의 거리와 연관되므로 거리의 원근법에 따라 공감적 태도와 중립적 태도, 그리고 비공감적 태도로 구분하여 살폈다. 공감적 태도의 언술은 인물보다 우위에 있으면서 동정적 어조로 서술된 경우, 인물과 비슷한 수준에서 공감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공감과 비공감적 태도가 섞여서 나타나는 경우들을 볼 수 있는데 순수하고 건강한 인물들에 대한 작가의 긍정적 입장이 드러난다. 중립적 태도에 의한 텍스트들은 기왕의 논의들이 논평적 언술에 중점을 둔 결과 관심의 대상에서 제외되던 것들이다. 경험자아의 상황에 몰입하지 않고 관찰하는 중도적 시각下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그 결과 자신이 처한 상황의 의미를 조망함으로서 현실자체보다 의미나 인식론적 문제를 더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비공감적 태도는 비판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 것과 희화화되고 있는 것으로 구분하여 살폈다. 표면적으로 긍정적 인물들의 실상이 사실은 허위와 위선에 싸여 있음과 가치와 실상이 전도된 상황을 비판하고 있으며, 희화화를 통해 비판의 정도를 완화시키며 희극적 하강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 서술자의 태도는 정보전달과 서술속도와도 관련되어 아이러니적 상황과 지연의 구조를 산출시킨다. 긍정적 인물에게 정보전달이 제한될 경우 독자의 연민이 증대되며 부정적 인물에게 정보가 제한될 경우 풍자적 웃음을 유발시킨다. 의도적으로 느리게 진행되는 서술양상은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시키며 서술자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삽입시키는 장치로 이용된다. II장과 III장이 텍스트내적 현실에 대한 서술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논의라고 한다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텍스트외적 현실에 대한 서술자의 자세의 양상을 IV장에서 살폈다. 식민지 시대의 억압적 상황에서는 직접적 형상화 대신 비유나 함축적 표현에 의거하고 있으며 인물층위와 서술자 층위, 표면의 이야기와 이면의 이야기가 복합된 이중구조를 창출하고 있다. 해방후의 서술양상은 보다 직접적인 언표들로 이루어지는데 혼란한 외적 현실에 대한 서술자의 비판적 시각이 강력하게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고찰을 통하여 채만식 소설텍스트들은 작가적 관심과 서술자의 기법이 통합된 구조체로 존재함을 밝혔다. 텍스트외적 현실에 대한 작가의 자세가 소설텍스트내에서 다양한 서술양상으로 표출됨으로서 탁월한 소설 형상화 방법의 예를 부여 주었으며 이로서 채만식은 1930년대부터 해방후 소설사의 중요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 This thesis intend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total understanding of Chae, Man shik’s works by illuminating their structures of discourse and their meaning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ocus on investigating different modalities of narrator and thereby clarifying the author’s recognition of reality and world-view. Non-narrated stories by the mimetic discourse can be found in the dialogues and the construction of scenes. Through dialogues between characters are revealed the process of interrelated events as well as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furthermore dramatic strategies or humorous effects are intended to provide. Especially the dialogues come to be found out to be effective in presenting the conflicts and antag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which stem from the fact that there is a wide gap between their apperceptive backgrounds and contexts. Examinations on the construction of scenes reveal that in some cases scenes are presented merely as a background and in other cases they play a crucial role as a device which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e colonized reality. The indirect discourse led by the covert narrator is to be seen in texts in which the narrator’s voice is audible in scenes or characters’ stories. In these texts the alternating process of non-narrated scenes and the summary by narrator comes to organize the structure whose meanings are overlapped, or the multi-layered meanings are formed by adding the narrator’s point of view to the character’s view. On the contrary, the overt narrator is to be found in such texts as sum up the stories spanning the wide range of time and space. In these degetic texts without any specific character, the narrator views the whole situations with a distance outside the text or he tells a brief summary of the actual historical events. And these texts are characterized by that the fictional aspects of the novel are apt to be relatively reduced. The narrator in the works of Chae, Man Shik can be examined also in terms of what kind of attitude the narrator takes toward characters and actions. In chapter III, concrete analyse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can be found several kinds of narrator’s attitude such as the sympathetic attitude of narrator toward fictional characters and actions, his unsympathetic attitude, and his maintenance of neutral attitude. Firstly , different kinds of attitude can be pointed out in the sympathetic narrator. The narrator narrates condescendingly with a sympathetic tone, or he shows a compassion toward characters but on equal terms with them, or the sympathetic attitude of narrator and his unsympathetic one are mixed. In these texts an emphasis is put on mainly the characters and their values whom the author considers to be affirmative. Secondly, the neutral narrator tries to view objectively his situation without engaging himself in the world of experiencing ‘I’ and finally succeeds in keeping an aesthetic distance. In consequence, it is possible for him to think over what his situation signifies, which shows that he gives more emphasis on the problem of meaning or the epistemological problem than reality itself. Thirdly, the unsympathetic attitude of the narrator is to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ses. The narrator sometimes discloses that the seemingly affirmative characters are actually disguised by falsehood and hypocrisy and criticizes the reality in which all the values are upside down. Or he occasionally caricatures characters by making it clear that all these stories are nothing but fictional. And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and the pacing of narration, as a result it creates the structure of irony and delay. Chapter IV intends to investigate the narrator’s stance to the reality which helps it to clarify the profound meanings of text. Chae, Man Shik lived in one of the most dark and confusing historical periods. And his deep concerns about his chaotic days are embodied in texts founded upon the historical facts. Under the situation of the colonization by Japan, the narration tends to be ambiguous, implicated and symbolized. After the 1945 Liberation, on the contrary, the expressions changed to be more direct. These studies show that the texts of Chae, Man Shik have both social and aesthetic meanings. It comes to be revealed that the author’s use of aesthetic strategies enables him to present varying modalities of narrator. And the close reading on the author’s view of realit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lthough he is excellent in recognizing reality and raising a really important question, he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in his ability to cope with the problem and present an ultimate vision. In this sense, the limitation of Chae, Man Shik lies in his failure in reconciling the idealistic values and reality, which results from his attitude to observe reality always with a distance without any effort to committing himself wholly to the given situation. Nevertheless, it should be highly appreciated that he sharply represents the contradictions and fallacies of his days through his remarkably objective perception of them. And this enables him to be evaluat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novelists in the tradition of Korean novel from 1930’s to the post-Liberation peri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I.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및 기존연구 검토 ------------------------------------- 1 B. 연구 방법과 방향 ------------------------------------------------- 1 II. 서술자의 존재와 서술양상 ----------------------------------------- 10 A. 서술자 부재와 모방적 언술 ---------------------------------------- 13 1. 대화와 개인/사회적 관심의 갈등: 「痴叔」,「少妄」, 대화소설 ----- 13 2. 장면화와 식민지 현실의 조응:「童話」,「明日」-------------------- 32 B. 숨은 서술자와 간접적 언술 ---------------------------------------- 40 1. 인물/ 서술자 시각의 교차:「정자나무 있는 揷話」------------------ 40 2. 장면/ 요약의 중첩:「 龍洞宅」,「레디메이드 人生」---------------- 46 C. 드러난 서술자와 서사적 언술 -------------------------------------- 58 1. 역사적 기록의 허구적 재현: 「아시아의 運命」,「歷史」------------ 58 2. 스토리外적 상황에서의 시공간적 요약: 「貨物資動車」-------------- 64 3. 풍자적 시각의 논평과 해석: 「濁流」, 「摸索」-------------------- 67 III. 서술자의 태도와 서술대상 ---------------------------------------- 73 A. 서술자의 태도와 대상과의 거리 ------------------------------------ 75 1. 공감적 서술태도와 긍정적 가치: 「病이 낫거든」「敗北者의 무덤」-- 75 2. 중립적 서술태도와 中道의 시각: 「近日」,「집」------------------- 86 3. 비공감적 서술태도와 전도된 가치: 「孟巡査」,「貧-제1장제2과」---- 92 B. 서술자의 정보량과 서술속도 ---------------------------------------116 1. 정보전달과 아이러니 구조: 「얼어죽은 모나리자」------------------116 2. 서술속도와 지연의 효과: 「興甫氏」, 「天下太平春」---------------119 IV. 서술자와 텍스트외적 현실의 관계 ----------------------------------129 A. 억압적 상황과 서술의 전략 ----------------------------------------130 B. 이념의 갈등과 냉소적 서술자 --------------------------------------133 V. 결론 --------------------------------------------------------------141 참고문헌 -------------------------------------------------------------145 ABSTRACT -------------------------------------------------------------1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099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채만식 소설의 언술구조 연구 : 서술자의 존재양상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