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5 Download: 0

발레리의 시에 나타난 자아 탐구

Title
발레리의 시에 나타난 자아 탐구
Authors
함유선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폴 발레리 Paul Valery (1871-1945)는 프랑스의 가장 위대한 시인으로 추앙을 받는다. 그러나 발레리는 그의 시로써 라기보다 실천적인 그의 시학과 시대에 앞선 이론적 성찰로 인해서 여전히 우리의 위대한 동시대인으로 남아있다. 최근에 이르러 발레리는 그가 거의 평생을 써 온 까이에의 출판으로 그의 정신, 사상, 철학 뿐만이 아니라 시 작품에 대해서도 다양하고 새로운 평가를 받고 있다. 영혼 속에 스며있는 붙잡을 수 없는 것에 도전하는 언제나 무모한, 그리고 언제나 행복한 기도의 산물로써 나타난 발레리의 시 작품 속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은 자아 탐구이다. 발레리의 시에 나타난 일관된 흐름 또는 일관된 체계를 좀 더 가치 있는 의미체계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의 시에 나타난 주요 이미지를 살펴보는, 이미지 분석의 방법을 취하였다. 이미지는 시의 본질적 구성요소로서 시의 의미와 구조와 효과를 분석하는 중요한 단서로 쓰이기 때문이다. 발레리의 시에서 자아 탐구는 그의 존재의 두 극점을 이루고 있는 지성과 감성이라는 두 줄기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게 지성은 신적 성향으로, 감성은 인간적 성향으로 파악된다. 우선 발레리에게서 이 자아 탐구는 각기 그 세 권의 시집을 통해서 신의 이미지, 뱀의 이미지, 식물의 이미지로 나타난다고 본다. Ⅱ장에서는 그의 초기 시집「옛시 앨범」의 분석을 통해, 이상세계를 지향하는 시인의 의지가 신의 이미지로 나타나고, 또 시인의 지성과 감성이 혼재된 상태에서 그의 이상세계 추구가 시도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데「옛시 앨범」에서는 시인이, 자신이 그리고 있는 이상의 세계에 가까이 다가갈 수 없음을, 곧, 그의 시도가 좌절 당했음을 깨닫는다. 우리는 이를 통해서 하나의 닫힌 구조를 이룬다고 보았다. 하지만「옛시 앨범」은 자아 속으로의 몰입 형태를 통하여 정신의 구원을 추구하는 일종의〈열림〉을 예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이십 년 동안의 오랜 침묵 이후에 발표한「젊은 파르크」의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시인이 오랫동안 억눌러 왔던 감성, 곧 시인의 본능적 자아를 시인이 발견하고, 이를 뱀의 이미지로 형상화 시킴을 살펴보았다. 뱀의 이미지를 통하여 시인의 자아는 끊임없이 확장과 축소를 반복하며 순환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는 갈등구조를 이룬다고 보았다. Ⅳ장에서는「매혹」을 통하여 시인 발레리의 감성과 지성의 통합을 살펴보았고, 이 조화로운 결합의 이미지가 어떻게 식물의 이미지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곧, 시인의 명철한 지적 작업과 영감이, 분석과 황홀이 대립되기 보다는 결합되고 협력해야 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열린 구조를 이룬다고 보았다. 이렇듯 시인의 진정한 순수자아를 향한 끊임없는 작업은 언제나 열려있는 시간의 창출이며, 영원한 현재를 향한 작업인 것이다. 우리는 발레리에게서 자아 탐구가 진정한 자아의 추구이고, 예술은, 시는 무엇보다도 감성의 승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발레리의 시 작품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자아 탐구는 현실을 벗어난 이상세계를 향한 열망이 아니라, 현실과의 화해를 통해 삶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시인의 긍정적인 자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aul Valery est respecte comme l’un des plus grands poetes fracais. Mais Valery demeure un grand contemporian tres en avance sur son temps, grace a ses ecrits sur la pratique poetique et la reflexion theorique, plutot que grace a son oeuvre. La publication des Cahiers, que Paul Valery a ecrits pendant presque toute sa vie, commencee en 1957 et terminee en 1961, nous permet un renouvellement et un approfondissement incomparables pour la comprehension de son oeuvre. Ce que nous pouvons trouver constamment tout au long sa poesie, qui etait “le fruit d’une entreprise toujours temeraire et toujours heureuse, qui s’attaque a ce qui est en l’ame d’infus et d’insaisissable”, c’est la recherche de Moi. Cette recherche du Moi nous semble devoir constiture la ligne de force principale, le pivot central sur lequel s’articulent les diverses images de la recherche valeryenne. Et puis celle-ci s’articule en effet autour des deux poles de son etre: l’intelligence et la sensibilite. La poesie de Valery se represente le mouvement multiple de l’esprit. Valery a entrepris de figurer dans un ensemble de textes poetiques la situation de l’esprit humain, ses differents etats et son mouvement createur. Pour Valery, l’esprit est toujours un esprit qui se voit et s’atteste lui-meme. Pendant la creation poetique, il observe le Moi en face de son esprit. C’est l’acte de consience (c’est-a-dire la conscience de moi-meme pour elle-meme). Dans le chapitreⅡ, par l’analyse de son「Album de vers anciens」, nous avons vu que sa volonte vers l’Ideal se represente en image des dieux, et qu’il recherche l’Ideal dans l’ensemble de l’intelligence et de la sensibilite de l’acces a cet l’Ideal, donc l’echec de sa recherche. De la, nous avons trouve que「l’Album de vers anciens」formait un univers clos. Mais, bien que certains vers soient encore teintes de symbolisme(vers l’Ideal), nous avons remarque que ses premiers vers commencent a manifester discretement la nouvell tendanve a laquelle Valery devra se soumettre pour s’affranchir des precedents et realiser pleinement sa veritable originalite: la recherche du Moi. Surtout, il semble bien que le chef-d’oeuvre le plus parfait de ce recueil soit le morceau qui sous le titre: Narcisse parle, nous offre la premiere tentative de Valery pour traiter la premiere magnifique expression poetique de la recherche du vrai Valery: son gout de la connaissance de soi et de l’analyse delicate dans ce recueil. Dans le chapitreⅢ, en analysant「La Jeune Parque」publiee apres le long silence, nous avons vu que s’est accompli le retour de Valery a la poesie et que la creation de ce poeme a ete pour le porte un〈exercice〉qui s’est prolonge pendant pres de cinq annees. Il s’agit d’un exercice de creation consciente, au cours duquel le poete, qui est encore a ce moment le penseur de Frand Silence, complete la recherche du Moi connaissant par celle du Moi createur: en meme temps qu’il fait des vers, il recueille des observations〈laterales〉sur lui-meme. A partir de ce fait il a recherche la perfection continue de la forme et la purete de la ligne melodique. Et nous avons vu que le poete decouvrait la sensibilite longtemps opprimee, a savoir le moi instinctif du poete, et la figurait en image du serpent. De la, nous avons trouve que「La Jeune Parque」formait l’univers conflictuel: l’inelligence et la sensibilite, la vie et la mort, un moi et un autre moi. C’est dans le recueil de Charmes que la puissance poetique de Valery atteint sans doute son apotee, son point de perfection. Valery poete apparait das ce recueil entierment et completement lui-meme, il yrelise l’une des supremes ambitions de sa vie, celle d’etre unique dans le monde de l’esprit et de l’art(l’intelligence et la sensibilite). Dans le chapitreⅣ, a travers l’analyse des「Charms」, nous avons vu qu’enfin, la sensivilite et l’intelligence s’unifient en un mariage heureux, et que cette union harmoieuse se represente en image vegetale. De la, nous avons trouve que les「Charmes」formait un univers ouvert. Par consequent, nous avons verifie que la recherche de Moi est pour Valery celle du moi essentiel et que la poesie est avant tout le preduit de la sensibilite. Et nous avons pu aussi verifier que la recherche du Moi chez Paul Valery n’est pas une aspiration vers l’Ideal en dehors de la realite, mais une attitude optimiste du poete pour accepter positivement la vie reel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