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Title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 of Parent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o Social Competence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적응능력인 사회적 능력이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및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과 사회적 능력 및 정서조절 능력의 기초가 유아기에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의 6개 유치원과 4개 어린이집에 다니는 남녀 유아 305명의 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화, 슬픔, 두려움, 불안, 호기심, 행복, 혐오감 수용태도의 7개 영역을 통해 측정하였다.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Saarni(1989)가 개발한 PACES(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를 번안하여 연구대상자의 연령에 맞도록 수정한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2002)가 개발한 정서조절 척도(Emotion Regulation Checklist)를 수정, 번안한 척도를 통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도현심(1994)이 개발한 유아용 사회적 능력 척도: (The Social Competence Questionnaire for Kindergarteners)를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화 · 혐오감과 같이 부정적이거나 슬픔 · 두려움 · 불안과 같이 독려, 위로가 필요한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통제적일 때와 호기심ㆍ행복과 같이 긍정적인 정서에 대한 부모의 수용태도가 수용적일 때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가 유아의 슬픔 · 두려움 · 불안 등의 정서표현에 대해 통제적일 때와, 호기심 · 행복에 대해 수용적일 때, 유아의 정서조절은 높고, 부모가 유아의 슬픔 · 두려움 · 불안에 대해 수용적일 때 불안정/부정적 정서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정서조절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적응성과 인기도/지도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인기도/지도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참여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슬픔 수용태도는 유아의 대인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정서조절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어머니의 호기심 수용태도는 유아의 인기도/지도력에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정서조절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완전 매개역할은 나타나지 않아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대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을 나누어 비교해 본 것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함께 고려해 본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5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fathers and mother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such as Saarni's (1989) 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Shields and Cicchetti's (2002) Emotion Regulation Checklists, and Doh's (1994) The Social Competence Questionnaire for Kindergartener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anger, disgust, distress or sadness, fear, and anxiety or nervous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lso parent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interest or curiosity, and happiness or pleasure were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parent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distress or sadness, fear, and anxiety or nervousness were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lability/negativity. Parent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distress or sadness, fear, and anxiety or nervous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interest or curiosity, and happiness or pleasure were negatively related to it. These findings implies that fathers' influences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eem to be differential from mothers'. Third, children's lability/negativ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opularity/ leadership, while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opularity/leadership. There, however,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Finally, Lability/negativity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fa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distress or sad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lso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for interest or curiosity and children's popularity/leader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