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무용 작품에 나타난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 작품에 나타난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use of technologies in dance works
Authors
이지혜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각 시대에 따른 테크놀로지는 당대의 과학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무용과 테크놀로지의 결합은 고대에서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계속 발전되고 있는 가운데 오늘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21세기 첨단 과학인 디지털 기술은 사회 전반 각 영역에서 정보처리는 물론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활용을 보다 능률적이고 신속하게 하도록 하며 확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이 뒷받침되어 최근 예술 분야에서도 기존의 표현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이테크놀로지 기술들을 예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독특하고 새로운 예술형태를 창조하기에 이르렀고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방법론적 탐구와 시도를 통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무용과 테크놀로지와의 결합은 앞으로 무용예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그 기능의 효과를 최대화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기에 이러한 노력은 무용이 공연 예술로서 표현성의 극대화 및 다변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예술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처럼 오늘날 하루가 다르게 개발되고 있는 테크놀로지와 무용의 결합은 시대적 요청에 의한 필연적인 것으로, 이에 따른 연구들은 앞으로 21세기 무용예술의 발전을 위한 학문적 가치성을 가지고 그 위치를 확고히 하는데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무용 테크놀로지의 발전 과정과 종류 및 특성을 살펴봄과 동시에 작품에 나타난 무용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따른 효과를 시 · 공간적 측면과 공연자 · 감상자의 측면에서 고찰하여 테크놀로지가 무용공연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서는 문헌을 중심으로 인터넷, 비디오 자료 등을 참고하였고, 작품 「Voyage」, 「Birth-day」, 「Seine hohle Form..」,「D.A.V.E」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적 · 공간적 측면에서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함으로서 무대 및 장면의 빠른 전환을 통해 공연에 대한 연속성과 긴장감, 그리고 현장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었고, 활용공간의 범위 조절이 가능하게 됨을 볼 수 있었다. 「Voyage」에서는 프로젝션 스크린과 비디오 영상을 활용한 빠른 장면 전환으로 감상자들에게 순간적으로 공간 이동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었고, 움직이는 영상으로 인해 정지해 있는 무용수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무대 바닥을 프로젝션 스크린의 반사체로 활용하여 감상자들에게 2차원의 스크린 공간을 3차원으로 느끼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공간 개념이 확장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Birth-day」에서는 테크놀로지의 활용으로 인해 불혹의 나이를 넘긴 무용수들에게 의상을 갈아입고 체력을 재정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제공되었고, 여러 번의 장면 전환과 다양한 세트, 소품의 사용을 또 다른 공연 공간인 영상 안에서 실행함으로써 실제 무대에서 시간의 활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공간 개념이 확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D.A.V.E」에서는 「Voyage」에서 언급한 공간개념의 확장과는 반대로 프로젝션 스크린 활용의 극대화를 위해 공간을 무용수의 신체로 축소시켜 무용수 이미지의 확대, 변형을 통한 표현적 효과의 강조가 나타났다. 또한 「Seine hohle Form..」에서는 무용수의 움직임과 테크놀로지에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이 적용됨에 따라 시간적 개념의 변화가 나타나 공연의 현장감과 생동감을 더해주는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공연자·감상자 측면에서는 무용수가 테크놀로지를 직접 활용하거나 사운드를 생성해 내는 연주자 역할, 또는 프로젝션되는 영상을 받아내는 스크린의 역할로서의 변화를 이루었으며, 무대 밖에서나 가능한 사실적 묘사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품의 리얼리티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Birth-day」에서는 무용수가 극장 현장에서는 직접 시도할 수 없었던 행위들을 비디오 아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감상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사실적 묘사에 있어서 작품의 리얼리티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Seine hohle Form..」에서는 무용수가 테크노 매체를 직접 활용함으로써 무용수의 역할과 동시에 사운드를 생성해 내는 연주자의 역할을 하여 감상자들에게 공연진행의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게 해주고 이에 따른 흥미 유발을 하게 해 주는 효과가 나타났다. 「D.A.V.E」에서는 공연자가 비디오 영상을 받아내는 스크린의 역할을 함으로써 감상자들에게 무용수와 테크노 매체가 동등하게 중요시되도록 느끼게 해주었고 고정된 스크린이 아닌 무용수의 신체에 투영되는 비디오 영상을 통해 무용수와 테크노 매체를 하나로 묶어 감상자들의 시선이 무용수에 집중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테크놀로지의 활용으로 인해 시 · 공간적 측면과 공연자 · 감상자의 측면에서 그 효과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21세기의 무용 테크놀로지 분야는 무용인들에게 테크노 매체에 대한 관심을 높여 그것의 활용 방법을 습득하고 공연에서의 활용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도록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가 이루어질 때에 무용 공연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더욱 증대되고 이를 통한 감상자의 참여 및 무용의 대중화를 이룰 수 있으며, 테크노 매체의 활용으로 인한 무용 공연의 새로운 영역이 창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의 진행 과정 및 방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echnologies in each age reflect the level of scientific development in that age. The combination of dances and technologies has been passed on down from the ancient days to theses days and modern technologies are regarded as digital ones. Digital technologies are due to up-to-date science in the 21st century, when computer technologies are dispersed and utilized in overall spheres of the society so that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in a more efficient and rapid manner. In line with such a social trend of development, ever-improving high-grade technologies recently started to be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art field and artistic activities so a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expression of the existing art. As a result, original and new types of artistic works are created and future-oriented new artistic methods presented, considerabl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rt.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combination of dances and technologies will play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dance art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more efforts shall be made so that dances may be expanded into the performance art sphere and new art spheres where dances may maximize and diversify their expression. Thus, the needs of the times have facilitated the combination of dances and computers which are a product of ultramodern technologies. Researches shall be necessarily and continuously made into the said combination so as to academically develop dance art in the 21st century. At this juncture,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into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dance technologies and into the effects of the technologies. To do that, dance technologies were divided into two sectors of interactional dance ones and non-interactional ones. Two works were chosen from each of the sectors and investigations were made into the temporal and spatial aspects of the works and into changes in the roles of performers and appreciators of the works, with a view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utilization of dance technologies. To conduct the investigations, considerations were taken into and analyses were made of relevant documents and internet and video materials. The findings are listed below. First, techno media were utilized to ensure the rapid conversion of the stages and scenes so that appreciators might feel more graphically the continuity, suspense and realism of the performance. And performers could use a wider space since techno media displaced a large stage set or a number of stage curtains. For example, appreciators might feel as if scenes were quickly moved in a space when the scenes were rapidly changed using the projection screen while dancers were performing 「Voyage」 choreographed by Dump Type. Furthermore, appreciators might feel as if the stage was not two-dimensional but three-dimensional when the stage floor was employed as a reflector of the projection screen while dancers were performing 「Voyage」 choreographed by Dump Type. In contrast, the space was limited to where appreciators could see responses when dancers were engaged in interactionally performing 「D.A.V.E」 choreographed by Chris Haring and Klaus Obermaier; the positive effect of this method is that it maximized the expressiveness of video projection. Second, dancers personally utilize techno media to produce the appropriate sound when they perform 「Seine hohle Form..」 choreographed by Palindrome. Moreover, the reality of works was maximized when video art indirectly provided appreciators with the actions which dancers could not personally perform on a real theater stage while acting out 「Birthday」 choreographed by NDT Ⅲ.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nvestigations, it is concluded that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were demonstrated more in non-interactional performance than in interactional performance and changes in the role of performers was attested more in interactional performance than in performance non-interactional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hat, in the dance technology field, dancers should be more interested in techno media, learn how to utilize them for their performance and fully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ut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When techno media are used for dance performance, technologies will be more utilized for dance performance, more people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dances as their appreciators, a new sphere of dance performance will be created, and diverse changes will be made in the process and methods of the performance of da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