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경하-
dc.creator안경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41-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의 경제적, 정치적, 제도적으로 빠른 변화는 사회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인간에게 고도의 문명의 이기를 줌과 동시에 물질만능의 풍조를 가져왔다. 이러한 인간 문명의 발전은 개인이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필수 요소를 넘어 인간을 기계화되고 조직화된 사회의 한 부분으로 전락시키고 인간 개개의 존재와 개성을 뒷전으로 밀어놓게 하였다. 그 결과 자아정체성 상실로 생기는 위기감, 공포와 불안에 대한 답을 찾아보지만 물질 가치적인 현대사회에서 자신 내부의 목소리를 듣고 실천하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하고 소비적인 현대자본주의에서 정체성을 상실한 인간의 몰개성적이고 물질화된 모습을 마네킹과 마네킹의 틀을 소재로 하여 시각화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에서 자신 내부의 목소리를 잃고 사회의 틀에 끼워 맞춤으로 자신의 고유성을 잃어가는 현대인의 심리를 알아보고, 현대미술에서 나타난 인간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와 작품제작 및 분석을 병행하였다. 표현 내용은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자아를 상실하고 사회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획일화되고 사회의 부속품화 된 모습을 서술하였다. 표현 내용에 따른 방법으로는 마네킹과 틀이라는 소재의 특성과 재료와 방법적 특성이 주는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작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 제작의 방법에서 소비문화가 만들어낸 인체 모형물인 마네킹을 사용하고, 캐스팅을 통해 몰개성적이고 물질화된 인간으로 표현되었다. 작품의 재료로는 인체와 유사한 색과 연성이 있는 라텍스를 사용하여 유기체적인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라텍스로 캐스팅된 마네킹 이미지는 인간이 고깃덩어리처럼 표현되어 개인과 사회의 틀 안에서 물질화와 획일화가 가져오는 현대 인간의 자기 파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캐스팅된 마네킹을 사슬과 고리를 사용하여 천장에 걸어 늘어지게 표현하여 독립적이지 못한 인간의 불안한 심리 상태를 보여주는 효과를 갖는다.;Rapi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s economy, politics and order made the society more complex, gave a convenience of civilization, and brought materialism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development went beyond the mandatory factor for an individual to live in the society, degraded mankind to a part of a mechanized and systematic society, and neglected the existence and individuality of each human being. As a result, we search for a solution to the crisis, fear, and insecurity that had been raised by lost identity. However, it is not easy listen to the inner voice and live up to it in this materialistic modern society that demands standardiz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isualize a materialistic human being that lost one's characteristic and identity with a critical approach into an image of mannequins and casting frame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based on a mentality of a modern person who is trying to fit in to the society's stereotype and a comparison of this research project and other modern artists' work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researching records and sculpting analyzing the project. The expression of the research is to describe a standardized human being that lost one's ego in order to try to meet the society's demand. As for the method of the expression, the special effects of the material―mannequin and casting frame―and the methods were studied. The result of the final analysis of the work through this study shows as follows. An impersonalized and materialistic human being was expressed using mannequins that represent the idealistic body figure of an era as a method. As a material of the project, latex was used, for it is flexible and similar to skin color which made it possible to express organic human body. The image that was casted with a mannequin looks as human meat to show the self-destructive side of a modern person from a standardized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 1 C. 연구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현대사회와 인간의 심리적 특성 = 3 B. 현대미술에 나타난 인간의 모습 = 8 Ⅲ. 표현내용 및 방법 = 14 Ⅳ. 작품분석 = 17 Ⅴ. 결론 = 37 참고문헌 = 39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349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마네킹을 통한 자아를 상실한 현대인의 모습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ression of a Modern Mankind through Mannequin-
dc.creator.othernameAhn, Kyoung-Ha-
dc.format.pagevii,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