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2 Download: 0

전통 산수화의 현대적 변용

Title
전통 산수화의 현대적 변용
Other Titles
Modern Adapt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uthors
황효실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ontemporary culture shows big gap with that of agricultural society in the past. Values and perspectives have changed with evolution of history; however, tradition should not be considered to be obsolete or to be improved just because it is old. Tradition not only reflects its time but also suggests future. It forms culture and emotion of the people that should be actively received, and its reaction with our time can renew the culture of the people as driving force for creation. Therefore, rediscovery of the past, tradition, should reflect this co-relation between tradition and the present time. Traditionally in Asian countries landscape painting has risen as a method to demonstrate adaptation and unity to nature. Landscape is described in specific form of nature, that is mountains and water, but since it also carries ideology of philosophers, it is an expression on which the ideas on the nature and the world are projected. Modern landscape painting, on the other hand, seeks forms in esthetical point of view, by the change of the time and values that expanded the territory of modern art. The new perspective on nature as esthetical object made the change inevitable for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s well . Therefore, instead of looking for new methods, I have employed traditional methods called "Jun," and my subjective perspective is expressed in plane dimensional expression using repetition and overlaps in formative aspects. For theoretical study, I provided brief explanation on the meaning of landscape i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nd its changes with evolution of time. As for study of traditional methods, I showed the birth of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 and its influence on traditional Asian landscape painting. Then I convey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Jun, explained techniques to describe mountain and rock and tree and leaf in landscape painting, and illustrat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line in traditional Asian brush paintings in order to prove how these are adopted in my works. I expressed landscape in diagram of repeated and overlapped mountain and rock and tree and leaf. Line-drawing is a method that goes well plane dimensional expression and I explained this method used to simplify the objects in my works in order to create new type of formative painting. Simplifying objects in the nature into conceptual and subjective form of the mental world was an opportunity to seek a new direction for landscape painting, and I hope it will be helpful to confirm theoretical base of my work.;오늘날 우리의 문화는 농경사회의 사상과 삶을 반영했던 예전의 상황과는 큰 차이가 있다. 현실적 상황이 바뀜에 따라 가치관 역시 변화 되었지만, 전통이 단지 옛것이기 때문에 고루한 것, 혹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일방적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전통은 각 시대를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민족 특유의 문화와 정서가 형성이 되며 현실과 전통의 상호 끊임없는 반영을 통해서 생명력으로 키워나갈 수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전통 혹은 지나온 것들에 대한 재발견 재조명이란 이러한 반영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양에서는 오래전부터 자연에 순응하고 그것에 융화하려는 일체감을 표현하는 한 방법으로서 산수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산수화는 자연이 갖는 구체적 형상인 산과 물의 표현이자 문인들을 비롯한 철학 사상가들의 이념과 사상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동양의 산수화는 단지 하나의 산과, 물이 아니라 그들의 자연관 및 세계관을 실제 자연에 투영 시킨 후의 심상표출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산수화는 세대와 가치관의 변화에 의해 현대 미술의 범주가 넓어지게 되면서 관념화적 사의적인 개념의 중요성 보다는 화면상의 조형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또한 조형적 대상으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게 됨으로써 전통산수화의 변화 역시 불가피 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은 새롭거나 혁신적인 표현방법을 통해서가 아닌 전통 산수화에 뿌리를 두고 전통적 준법의 운용방식을 빌어 반복과 중첩을 통해 주관적 관점의 조형적 해석으로 평면적인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연구에는 전통산수화의 고찰에 있어서 산수화의 의미와 전통산수화의 변천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간단한 서술을 하였다. 전통기법을 연구하는 방면에서는 芥子園 畵譜의 발생과 畵譜가 전통산수화에 끼친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다음으로 준의 의미와 성격을 살펴보고 산수화에서 표현된 山石과 樹葉 표현법과 전통 산수화에 있어서의 線의 의미와 성격을 이론적으로 파악해 봄으로써 본인의 작품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적인 연구에서는 山石과 樹葉표현을 반복과 중첩을 통하여 도식화 시키는 방법으로 산수자연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線描를 사용하여 대상을 단순화하고 평면성과 어울려지는 효과로 새로운 조형성을 추구하는 본인의 작품 표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인은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산수화에서 자연 대상의 특징적 표현을 개념적이고 주관적 조형의식으로 단순화시킨 방법적 시도를 가지고 전통산수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는데 도움을 받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