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지-
dc.creator김민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2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218-
dc.description.abstract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문화의 세계화와 단일화 속에서 민족적 · 문화적 정체성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 지금은 문화적 가치가 상품의 가치를 좌우하는 시대로서 세계인의 기호에 맞게 전통을 재창조하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전통(傳統)은 우리의 정체성과 연관되어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문화(文化)는 우리들 속에 살아 숨쉬는 생명력을 가지고 있고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을 담아내어 계승(繼承)되어가야 한다. 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삶의 곳곳에 의미를 부여하고 정성이 깃든 삶을 살고자 하였으며, 인간 중심의 자연 친화적이고 자연 순응적인 문화적 특성과 미(美)를 지녀왔다. 한국의 전통문화(傳統文化)는 민족 정서를 토대로 우리 문화이미지를 발전시키는 정신적 바탕이므로 우리의 정체성을 찾고 발전시켜나가기 위해서는 독창적인 전통문화(傳統文化)의 특징(特徵)과 개성(個性), 아름다움을 재조명(再照明)하고 이를 현대인의 기호(嗜好)에 맞게 개발(開發)할 필요가 있다. 가장 한국적인 것으로 가장 세계적인 것을 만들어내려는 노력이 예술가에게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과 더불어 살며 신으로 우리와 함께 호흡해 온 전통 조형물인 장승의 모습은 본 연구자로 하여금 현대적 조형성으로 창조(創造)하고자하는 동기를 유발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족의 정서와 문화가 응집된 미의식을 바탕으로 제작된 장승의 조형성과 그 상징적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보고, 장승의 사실을 넘어선 과장된 표현, 단순함과 파격적인 형태 구조와 독특한 표면 질감을 바탕으로 전통적 미의식(美意識)을 주관적 감성을 통해 현대적인 도자 조형물로 형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전통(傳統)의 개념(槪念)과 한국 미의식(美意識)에 대해 문헌으로 이론을 정립하였다. 작품의 주제인 장승의 역사와 의미를 문헌 자료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장승에 표현된 조형성과 전통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장승의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다른 작가들의 작품 사례를 연구하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장승 이미지의 외형적 답습(踏襲)을 벗어나 내면의 정신성을 현대의 새로운 이미지로 표현하려 하였다. 작품의 제작 방법으로는 장승의 모습을 부분적으로 단순화, 극대화시키고 한국 색채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자연스러움과 소박함, 자유분방하고 유연한 선의 흐름이 현대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조형화하였다. 태토는 색화장토의 발색이 좋은 청토와 제작이 용이하고 목장승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세인토를, 점력에 비해 발색이 좋은 산백토를 사용하였다. 성형은 자유로운 질감을 살리고 형태를 표현하기 위해 코일링 기법을, 반복적 효과에 흙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가압기법을, 단순화되고 정돈된 느낌을 주기 위해 판성형 기법을 사용해서 다양하게 시도하였다. 유약은 전체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장승의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황색유, 녹색유, 갈색유 계열을 주로 사용하고, 부분적인 강조를 위해 청색유, 적색유의 광택유와 무광택유를 함께 사용하였다. <작품 2,4,5,6,7,9>은 유약의 색감 차이를 주기 위해서 성형 후 부분적으로 화장토를 발라 주었고, <작품 3>은 색화장토를 이용해서 전체적인 장식을 하였다. 나무의 질감이나 색감 표현을 하기 위해서 산화제이철()과 이산화망간()을 직접 바른 후 닦아내기도 하였다. 시유 방법은 작품 분위기와 태토에 따라 붓으로 바르거나 분무시유하였다. 소성은 <작품 2,3,4,5,7,9,10>은 1.5㎥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마침 온도 900℃로 8시간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은 마침온도 1250℃로 10시간 산화염 소성하였다. <작품 1,6,8>은 1.5㎥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마침 온도 900℃로 8시간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은 마침온도 1250℃로 10시간 환원염 소성하였다. <작품 10>은 토속적 자연 조형물인 장승의 재질과 색감 표현을 위해 야적 소성을 해주었다. 제작 과정을 통해 장승에 담겨 있는 한국 고유의 전통미와 조형적 감각이 무한한 창조의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 할 수 있었고, 다양한 조형적 변화를 통해 친근한 장승 이미지를 연출하여 전통성이 현대인에게 쉽게 다가설 수 있는 도자 예술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10점의 작품 제작과 연구를 통해 전통의 가치와 문화 재정립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고, 흙의 물성과 잠재력에서 목장승의 질감 표현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민족 고유의 전통 요소들이 여러 작가들에 의해 이 시대의 감각에 맞는 표현으로 새롭게 도자 조형화되길 기대해 본다.; Art is a cultural mirror projecting the life style of its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n artist to observe what affects art simultaneously as exploring the ideology and the sensibility of its era. From such environments, an artist is inspired to analyze and interpret issues as the basis for creative work. Today one of the key factors that attracts our attention is the rapid progression to become global in order to unify cultures along with the movement to search for cultural and national identities. We are living in a time where cultural values determine the quality of a product and because of this, the interest in inherent cultures of different nations is ever larger than before, as there is a rapid need for re-creating tradition that coincides with the standard required by the world. Tradition is important not because it is ancient nor for the fact that it belongs to different cultures, but because it is a linkage to our identity and consequently it is the generative force in creating a new culture. Furthermore, culture has a life of its own rooted within ourselves to portray our current lifestyles and also to conform to our present desires. The Korean people, traditionally believed in different symbolic significances associated with daily life. As a result different habits and living methods relate to different meanings. Such customs are found everywhere in a Korean household and often it is about devotion to life. Moreover Koreans, as human beings, believe in following and harmonizing with the laws of nature. Therefore their ideology in aestheticism is not about conquering nature but rather culturally and aesthetically they believe in adapting to the conditions laid by it. In these current tim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our cultural image with the foundations to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entality that represents the Korean sentiment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vise the unique Korean character and aestheticism as a means to develop our identity appropriate to the contemporary standards set today. In other words, we have reached a period where it is necessary and required from an artist to make the most inherent tradition of one nation, into a global identity. Taking the present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has researched on traditional Korean Jangseung which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Koreans in the ancient times. Sometimes, Jangseung were regarded as supernatural gods and at other times as amicable friends. For the study, Jangseung shapes have been re-interpreted with contemporary significances. The Jangseung characteristics have been examined as a formative inspiration in art by focusing on identity, symbolism and significances of Korean folk customs. Here, the Jangseung has been formatively represented by simplifying, exaggerating and incorporating distinct features found in a number of different Jangseung shapes. The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study i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onceptions and aestheticism.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different types of Jangseungs and their functions and significances. At the same time, the aesthetical aspects of the Jangseung was also studied. Along with this, the study also took into consideration the works of artists who have worked with Jangseungs in order to move away from direct interpretation of them and to portray the inner symbolic meaning embedded in their features using contemporary conceptions. The ceramic works for this study concentrated on simplifying and exaggerating the formative character of Jangseungs by using a variety of colors and also by understanding the linear qualities found in traditional Jangseung shapes. These aspects have been developed to fit the current tendencies in art and culture. For producing effective color clay the celadon clay body was used. In addition to this, a coarser brown body was used for creating surface texture and a white textured clay body (San white stoneware), mainly for color effects. The shapes were made by applying coiling, for more intricate and organic interpretations, slip-casting for repeatedly producing the same shapes and slab-building for more simplified forms. Jan-seungs, to emphasize the ordinary, are applied with colored glazes - yellow, green, brown in addition to blues and reds with matt and gloss surfaces. With <Works 2,4,5,6,7,9> for differences in color tones, white slip was partially brushed. Colored slips were used for <Work 3>, creating a decorative surface. For a woodlike texture Iron Oxide () and Manganese Oxide () were directly applied. Glazing was done by either spraying or brushing on to the ceramic objects. <Works 2,3,4,5,7,9,10> were fired in a 1.5㎥ gas kiln. The first firing was for a temperature of 900℃ and it prolonged for 8 hours. The glaze firing was completed at 1250℃ in 10 hours. The firing was conducted in an oxidation condition. <Works 1,6,8> were again fired in a 1.5㎥ gas kiln. The bisque firing reached 900℃ in 8 hours and the second firing was completed at 1250℃ in a reduction condition. The firing took 10 hours. <Work 10> was pit fired in a third firing. From the Jangseung shap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herent traditional aesthetics of Korea and that it can lead to infinitive create possibilities in art. The study has attempted to revise tradition to create forms that relate to contemporary ideology and life style. Through this a new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using Korean Jangseungs was encouraged. Consequently the study endeavors to contribute to many more studies on traditional Korean folk customs to be understood as a creative progression and a re-created expression in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II. 전통의 개념과 의미 = 5 A. 전통의 개념 = 5 B. 전통의 현대적 의미 = 6 Ⅲ. 장승의 의미와 조형성 = 8 A. 장승의 기원과 기능 = 8 B. 장승의 조형미와 전통미 = 16 Ⅳ. 장승의 이미지를 응용한 작품 사례 = 25 Ⅴ. 작품 제작 및 해석 = 35 A. 조형 과정 = 35 B. 제작 과정 = 49 C. 작품 해석 = 56 Ⅵ. 결론 = 75 참고 문헌 = 7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280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장승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 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Korean Jangseung Shapes : Understanding Korean Inherent Tradition in Contemporary Ceramics-
dc.creator.othernameKim, Min-Ji-
dc.format.pagei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