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5 Download: 0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삼재론적 공간특성 연구

Title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삼재론적 공간특성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Jeju Chilmeoridang Gut Chum from the SamJae Theoretical Perspective
Authors
강지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공간 분석을 통해 한민족 문화의 사상적 근간을 이루는 삼재론적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주도 칠머리당굿, 삼재론, 공간이론을 바탕으로 현지조사시 비디오로 촬영한 칠머리당굿 춤의 신청궤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모티프 라이팅 분석, 안무측정표 분석, 심층면담 분석이었으며, 칠머리당굿 춤의 의식공간과 무당의 개인공간 및 일반공간 등에서 보이는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의식공간은 제단을 향하여 무당과 신앙민이 앞·뒤로 위치하는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을 보였다. 이러한 의식공간에서 보이는 고정된 제단과 무당의 공간관계는 가깝고 거리감이 없이 자유롭고 친밀하며 활발한 시상적 공간특성을 보였고, 제단과 신앙민의 공간관계는 무당을 중간자로 하는 다소 먼 거리의 시상적 공간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평면상으로 단순히 앞과 뒤의 관계로 파악되지만 의미론적으로는 천·지·인 삼재의 수직구조로 해석할 수 있다. 무당의 개인공간은 신을 향하여 동·서·남·북, 앞·뒤·좌·우의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는 2차원의 시상면(Sagittal Plane)과 수직면(Vertical Plane)의 공간특성을 보였고, 횡단적 경로(Transverse Pathway)와 종단적 경로(Peripheral Pathway)를 사용하면서 중심적 긴장(Central Tension)이 보이는 공간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접신 상태에서의 도무(跳舞)와 회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하 수직적인 움직임과 신체축을 유지하면서 좌·우 방향을 번갈아 회전하는 공간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신이 하강하여 무당의 몸으로 입신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무당의 일반공간은 일정한 규칙을 가진 회전과 변형적 태극의 춤길을 그리는데, 이는 무당의 움직임 전반을 통해서 나타나는 음양 2수체계의 태극 형태로서 무한히 변화하면서 역동성을 가지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무당의 접신 상태에서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심리적 공간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는 무당이 움직일 때 보이는 긴장감에서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무당의 심리적 공간은 신과 무당과 신앙민이 함께 존재할 때 완성되는 신성한 공간으로서 칠머리당굿 춤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공간특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공간특성은 음양 2수체계의 우주적 공간, 3수체계의 수직 공간, 삼재론적인 천·지·인 합일사상의 제의적 공간, 그리고 4차원의 심리공간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은 신과 무당 그리고 신앙민이 ‘굿’이라는 공간 안에서 역동적인 관계를 가지고 합일을 이루어내는 제의적 공간과 상·하, 좌·우 움직임 형태의 반복을 통한 이분적 우주 공간 그리고 천·지·인 3수의 수직 공간 및 4차원의 무한 공간으로 무당과 신 그리고 신앙민 간의 초월적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공간은 삼재론의 천·지·인 사상을 기반으로 그 특징들이 파악되었다.;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meoridang Gut, a kind of Korean exorcism, of Jeju Island in terms of Samjae theory, or the theory of heaven, earth, and man by analyzing space. For this purpose, analyses were made in terms of three space categories : a Ceremonial space, a Personal space of shaman, and a General space of shaman according to each of its characteristics during a Sincheonggwe process of the exorcism in question. For this, the study analyzed video recordings, Motif Writings, Choreometric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are based on theories such as Samjae theory, Jeju Chilmeoridang Gut, the theory of space, and the theory of space analysis. The analysis of Ceremonial space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video recordings analysis. As a result, the relation between the altar, a shaman, and its followers turned out to be on sagittal dimension with two-dimensional sides, with a shaman and its followers located at the front toward the altar, which can be also explain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pirit of Yeongdeung of the sea in front of the altar. The altar is a fixed setting, allowing a shaman to have a free and intimate relation on sagittal dimension neither close nor apart, utilizing the space actively. Yet, the distance between followers and the altar was rather apart on sagittal dimension, requiring the mediation of the shaman. In other words, there is difference in distance according to each of its roles such as a shaman or followers. The relations between the altar, a shaman, and its followers is vertical relationship of heaven, earth and man when interpreted in terms of exorcism space, though it looks the back and the front the altar. That is, the altar is supposed to be above the head of a shaman because it is a sacred place to enshrine the spirit. It is, however, practically impossible that it is interpreted as vertical relationship. This study also analyzed shamans' movement space through in-depth interviews, Choreometrics, and Motif Writing documents by CMA, an expert on the analysis of Laban's movement theory. The result is that personal space of a shaman used both two-dimensional Sagittal Plane and Vertical Plane for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movements. There was full of combining movements of three dimensions. The movements were overall ambiguous, but an accurate direction is distinctive at the moment of the ritual. Central Tension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exorcism while both Traverse Pathway and Peripheral Pathway are used. In addition, Domu, a rampaging dance, being possessed by the spirit, is vertical movement, which signifies that the spirit is descending inside of the shaman. Hoemu is a dance spinning on the spot, and it must take the right and left turns one after the other more than three times. General Space of a shaman assumes consistent twirling and modified movement of Taegeuk or yin yang. In particular, the Taegeuk movement appearing in the overall movements of the shaman takes the form of both circles and modified circles. This is a differentiated form of yin and yang, adding dynamics.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haman, the state of possession is concluded as a mental stat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is could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s'ability, and the space for exorcism is completed when a shaman and followers attend together, being granted the significance as a sacred space. It is concluded that the space for Jeju Chilmeoridang Gut is represented a Four-Dimensional psychological space, a vertical space of 3 system, a universal space of the 2 system of yin and yang and a ritual space for the ideology of heaven, earth, and man. The spirit, a shaman, and followers coexist dynamically in the space of Gut, exorcism. It is explained in the transcending relationship between infinite space, the spirit and the shaman, a space dividing universe through repetition of up, down, right and left, and vertical space of heaven, earth and man in the Domu and Ceremonial space, and a ritual space for unification. As a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for Jeju Chilmeoridang Gut was identified, which is based on the ideology of heaven, earth and m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