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3 Download: 0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후설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Title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후설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Efficiency in Old Age Plan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Authors
조은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Along with social and economic transition, comes the rapid graying era, due to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various elderly problems are occurring. Economic problems of elderly and illness problems of weakening of physical condition and sense of alienation at elderly age and problem of losing their roles are causing maladjustment to the society of elderly and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physical, economical and psychological side. Also increase of the old age followed by magnification of desire and advancement of lifestyle called for preparation of solution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style and various plan to adjust soundly into the more extended part of life which is the old age. So to achieve development task of elderly, while adjustingto the transition into the old age and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elderly life style and to assist to plan and prepare for the living elderly him/herself, plan for elderly in overall side is in ne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look back at the life subject to elderly to more aggressively deal with changes in elderly life style in order to build self perception and positively accommodate life of old age and elderly him/herself becomes main body and organize the program through by and large field andespecially plan of the old age and focused on objects which accumulated knowledge and life time experience and potential capacities of the elderly and by strengthening activity realization ability, advance the adjustment ability and organize more systematic and coordinating way. In this research, after trial of the old age plan program on elderly,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put on the successful old age years such as sense of self coordination and living attitude in the old age and was operated for the process of 2 month program total of 15 sessions. among the elderly who uses educationalprogram in adult day health center, elderly in their 60s were subjects who is just entering the old age and relatively in higher priority of the old age plan. Program was composed of 2 main composition and the 1st step is 'plan self image' for positive old age image such as self understanding, self analyze and maintaining of self image part and 2nd step is 'old age living plan establishment and practice activity' which is part to cultivate attitude of proper old age life style and it is formed with health, finance, human relationship, employment, resident, leisure and old age vision plan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subject and establish practice plan and operated with contents to strengthen action realization ability on these plans. For the time 90 to 120 minutes per sessionwas used and in forms of lecture and discussion and planning and presentation of practice plan and on the scene experience were used as education methods and trier was controlled generally by the social worker and utilizedspecialist wh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in each field. As a result of the program it showed effective for successful old age of elderly and it appeared as a meaningful result by advancement of standardization of successful old age of elderly which is self coordination and old age living attitude compare to before the starting of the experiment. In other words the main content of this program which are 'plan of self image' and 'establishment of living plan and practice activity', and these were advancing the self coordination of the old age and the result showed by strengtheningpractice plan and activity realization ability of old age living it promotes proper old age attitude. Also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voluntary nature of program participating motivation and participating while clearly acknowledging program objection and contents, it was verified that their change of life style was effected after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Base on results of the research, a few proposals to be made for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Composition contents of the old age plan program needs to be systemized and each of subject programs should be connected wholly and continuously connect to up coming program according to program subject of each individual desire. Also to verify efficiencies on various subjects like retirement welfare elderly, low self coordination, deteriorated desire and clearly lack of activity ability therefore post research is in need and to approach program by age group in operating program for there will be difference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and desire depend on age of the elderly. Also like to indicate that development of diverse educational method that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elderly.;급속한 고령화 시대를 맞아 사회적, 경제적 변화와 함께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른 여러 가지 노인문제가 수반되고 있다. 노인의 경제적 문제 및 신체적 약화로 인한 질병문제와 노년기의 소외감 및 역할 상실의 문제는 노년기의 사회부적응 문제를 낳고 있으며 신체적, 경제적, 심리적인 면에서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또한 노년기 확대에 따른 노인 욕구의 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은 더 길어진 생애주기인 노년기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해결책의 마련에 관심이 모아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노인의 발달과업의 성취를 위하여 노년기 변화에 잘 적응하면서 노후생활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노인이 자신의 인생에 대해 스스로 계획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노후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년기 생활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노후의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며 노인 자신이 주체가 되어 노년의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노후생활을 설계하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노후설계 프로그램이 자아통합감과 노년기 생활태도의 향상 등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대상은 노인복지관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주로 이용하는 노인중 노년기에 막 진입하여 상대적으로 노후설계의 필요성이 더 높은 60대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5회기의 프로그램을 2개월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크게 두 가지 구조로 1단계는 긍정적인 노후인식을 위한 것으로 자기이해, 자기분석, 자기이미지 관리 등 ‘자기이미지 설계’부분이며 2단계는 바람직한 노후생활의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노년기 인생계획 수립 및 실천활동’ 부분으로 건강, 재정, 인간관계, 취업, 주거, 여가, 노년기 비젼설계 등으로 구성하여 각 분야에 대한 정보제공과 함께 실천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행동실천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실시방법에 있어, 시간은 1회기당 90분 또는 120분을 활용하였으며 교육방법은 강의와 토론의 형태 및 실천계획서 작성과 발표, 현장체험 등으로 하였고 실시자는 사회복지사가 총괄적으로 조정하고 각 분야별 노인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를 활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척도는 ‘자아통합감’과 ‘노년기 생활설계 진단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성공적인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자아통합감과 노년기 생활태도의 변화가 프로그램 시작전에 비해 긍정적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노후설계 프로그램이 노년기의 성공적 노후를 이루는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별면담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동기의 자발성 및 프로그램 목적과 내용을 정확히 인지한 가운데에서의 프로그램 참여가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위해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노후설계 프로그램은 내용구성을 보다 체계화하여 일회성이 아니라 각각의 프로그램의 주제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대상자의 개별 욕구에 따라 심화교육이나 기술교육 등 후속 프로그램으로 연속적으로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 보다 효과적인 접근방법을 활용하여야 하며, 프로그램 실시에 있어 노년기 연령층에 따라 신체·심리적인 변화와 욕구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연령층에 따른 프로그램의 접근과, 보다 다양한 노인층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상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노년기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성공적인 노후를 위한 노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