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현석경-
dc.creator현석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년 여성들의 폐경지식, 폐경관리 및 폐경증상 정도를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폐경관리에 필요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서울특별시내 E대학교 부속의료원에 방문한 서울에 거주하는 40-60세 여성 201명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Polit와 Larocco(1980)의 폐경지식 및 태도를 중심으로 송인숙(1984)에 의해 개발된 폐경지식 척도를 송애리(1997)가 수정 보완한 폐경지식 도구와, 송애리(1997)에 의해 개발된 폐경관리 도구를 수정 보완한 폐경관리 도구, Neugarten(1965)에 의해 개발된 폐경증상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 정확검정법과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9.6세였으며, 기혼 88.6%이었고, 고졸이 44.3%로 가장 많았으며 월수입은 300만원 이상이 38.7%로 많았고, 71.5%는 종교를 가지고 있었으며, 62.2%는 직업이 없었다. 2. 대상자의 폐경 평균연령은 49.3세였으며 79.9%는 폐경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으며, 90.8%는 폐경에 대한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상자 중 대부분이 폐경치료에 대한 정보를 가족, 동료, 친구로부터 얻고 있었으며, 37.1%는 호르몬치료의 경험이 있었고, 35.2%만이 호르몬치료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3. 연구 대상자의 폐경지식 평균 점수는 17점 만점에 9.0점으로 지식이 낮았다. 정답률이 낮은 문항으로는 폐경의 정의, 심혈관 질환에 걸릴 가능성에 대한 것이었고, 최종학력(p=.00)과 가족평균 월수입(p=.0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호르몬치료의 경험이 있는 대상자와(p=.01), 호르몬치료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인 대상자가(p=.00) 폐경지식이 높았으며, 호르몬치료에 대한 정보를 의료인이나 의학서적에서 얻는 경우에 폐경지식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연구 대상자의 폐경관리 정도는 최대 평점 4점에 대한 평균 점수는 2.58점이었고, 범주별로 가장 잘 관리되고 있는 것은 자가조절 관리였으며 전문적 건강관리와 성생활 관리는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폐경관리 정도는 호르몬치료에 대한 경험 유·무에 따라(p=.01), 폐경치료에 대한 정보를 어디서 얻느냐에 따라(p=.03)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호르몬치료의 경험이 있는 대상자와 폐경치료에 대한 정보를 의료인, 의학서적으로부터 얻는 대상자가 폐경관리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구 대상자의 폐경증상 점수는 3점 만점에 1.74점으로 높지 않았으며, 범주별로는 정신·신체적 증상, 신체적 증상, 심리적 증상 순 이었다.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 보다 폐경증상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3). 6. 폐경지식과 폐경관리는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의하였다(r=.173, p=.045). 즉 폐경지식이 높을수록 폐경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폐경지식과 폐경증상과는(r=-.03, p=.70)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폐경관리 수행 정도와 폐경증상 간의 범주별 상관관계는 활동과 운동, 식생활 관리, 성생활 관리, 자가조절 관리와 신체적 증상, 정신·신체적 증상, 심리적 증상과는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적 건강 관리는 신체적(r=.24, p=.00), 정신·신체적(r=.23, p=.00), 심리적 증상(r=.16, p=.00)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폐경 증상이 있은 후에 폐경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중년여성들의 폐경지식은 낮고 전문적 건강관리와 성생활 관리영역에서 폐경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폐경지식과 폐경관리와는 순상관 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중년 여성의 폐경지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폐경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폐경관리 실천 요인 중 전문적 건강관리와 성생활 관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이에 초점이 맞추어진, 대상자의 수준과 형편에 맞는 중년여성을 위한 프로그램과 간호중재가 개발되어야 하며 간호사는 성상담자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호흡, 명상, 이완, 운동, 식이요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폐경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그 효과를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는 대상자와 비교 검증할 필요가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aged women s level of knowledge and management on menopause and climacteric symptoms and their relationship, and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needed to manage menopause for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1 middle-aged women living in Seoul, 40 to 60 years old, visited E women 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4th October to 31th October 2002.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under the menopause knowledge and related attitudes by Polit and Larocco(1980), were the Song s (1984) menopause knowledge tool revised by Song (1997), the revised menopause management originally developed by Song(1997), and the measurement tool for climacteric symptoms developed by Neugarten(1965).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statistics package, including real, percent, t-test, ANOVA, Scheffe exact test, and Pearson cros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6 years old in average; 88.6% in marriage, 44.3% graduated from high school, 38.7% above 3 million won of monthly salary, 71.5% having religions, and 62.2% having no job. 2. The average menopause age of the subjects was 49.3 years, 79.9% of them having no menopause education, and 90.8% of them thought the education on menopause needed. Most of them obtained information about menopause treatment from their family, colleagues, and friends, and 37.1% of them had treatment experiences against menopause, and only 35.2 % of them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menopause treatment. 3. The average level on menopause knowledge was 9.0/17.0, which is low. The items with low probability of correctness are menopause definition and the possibility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graduate level and average family income appeared to be significant. The women with menopause experience in or positive attitudes to Horrmon therapy had high level in menopause knowledge, and the case of obtaining the information on menopause treatment from medical persons and book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4. The level of menopause management was 2.58 in average score for maximum 4.0, considered as low, and while self-control for menopause was well managed, the professional management for health and sex life was not well done. The result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having or not the experience in Horrmon therapy(p=0.01) or where the menopause information to be obtained(p=0.03). From the previous results, the women who had experiences in, or were informed about Horrmon therapy from medical person or medical texts, well managed the menopause. 5. The level of climacteric symptoms was 1.74 in average for maximum 3.0, in which the score is the highest in physical and psycho parts, and the score of physical part is higher than that of psycho part. The case with husbands was shown to be more significant than the case without husbands(p=0.03). 6. The management and knowledge of menopause were correlated and significant(r=0.174, p=0.045). The higher the menopause knowledge was, the more the women manage the menopause. But the menopause knowledge and climacteric symptoms were not correlated(r=-.03, p=.70). 7. Between menopause management and climacteric symptoms, there were no correlations in viewpoint of activity and exercise, diet management, sexual life management, self-control management and physical symptom, psycho and physical symptoms, and psycho symptom. But the professional health care was shown to be correlated with physical(r=.24, p=.00), psycho & physical(r=.23, p=0.00), and psycho(r=.16, p=.00) symptoms, which means menopause management after climacteric symptom are well done. From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It was shown that the menopause knowledge of middle-aged women is low and the menopause management are not done well, and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management of menopa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s for high menopause knowledge and proper management for middle-aged women. In particular, because, among factors of menopause management, professional health care and sexual life management showed the lowest levels, it is requir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and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to be met adequately. Also,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programs for menopause management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breath, meditation, relax, exercise, diet etc., and the effects need to be compared and identified with the women under hormone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II. 문헌고찰 = 5 A. 폐경지식 = 5 B. 폐경관리 = 7 C. 폐경증상 = 12 III. 연구방법 = 14 A. 연구설계 = 14 B. 연구대상 = 14 C. 연구도구 = 14 D. 자료수집 절차 = 15 E. 자료분석 방법 = 16 F. 연구자의 윤리적 측면 = 16 IV. 연구결과 및 논의 = 17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7 B. 연구 대상자의 폐경 관련 특성 = 18 C. 연구 대상자의 폐경지식 정도 = 21 D. 연구 대상자의 폐경관리 정도 = 23 E. 연구 대상자의 폐경증상 정도 = 27 F.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폐경지식, 폐경관리, 폐경증상 정도 = 30 G. 폐경관련 특성에 따른 폐경지식, 폐경관리, 폐경증상 정도 = 33 H. 폐경지식, 폐경관리와 폐경증상간의 상관관계 = 36 I. 폐경관리 수행 정도와 폐경증상간의 관계 = 37 J. 연구의 제한점 = 38 V. 결론 및 제언 = 39 A. 결론 = 39 B. 제언 = 41 참고문헌 = 43 부록 = 53 영문초록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99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중년여성의 폐경지식, 폐경관리와 폐경증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