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吳龍吉-
dc.contributor.author김진영-
dc.creator김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4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473-
dc.description.abstract시대가 달라지면 문화의 내용도 달라지고 이를 담는 회화도 변하기 마련이다.‘전통이 없이는 독창성을 가늠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것은 예술가가 상상의 날개를 펴게 해주는 튼튼한 기반을 마련해준다’는 잰슨(H.W. Janson)의 말처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새로운 경향의 미술은 그것이 아무리 급진적으로 새로운 것이라 하더라도 항상 그 이전의 전통 미술이 어떠한 형태로든 뿌리를 내리고 있는 것임을 부인할 수 없다. 전통 산수화에 뿌리를 두고 자연의 미를 통하여 새로운 미를 창조하고자 하는 본인은 자연 속에 자신을 투영시켜 주관적이며 직관적 정신세계를 표현해보고 자연에서 조형질서를 배우고자 하였다. 전통 산수화는 인간의 사상이나 철학적 생각들을 산수자연을 통해 다양하게 작품에 담아왔을 뿐 아니라 그 시대를 반영하면서 동양인의 미의식을 나타내어왔다. 현대회화에서 조형적 대상의 하나로 자연을 바라보게 되면서 시대의 변모와 함께 산수화의 변화도 불가피 하게 되었고 수묵의 정신성과 화면상의 조형성을 추구하며 그 모습을 달리하고 있는데 이를 본 논문에서는 산수풍경이라 보았다. 본인의 연구는 점과 선에 의한 단순화 과정을 통한 산수풍경의 풍부한 표현 가능성을 추구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론적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것과 서구적인 것, 일본적인 것이 서로 맞서는 근대를 중심으로 전통산수화의 변화를 살펴보고 산수화의 조형적 특징을 서술하였다. 또한 전통 산수화의 계승과 재해석을 시도한 작가를 통해 산수풍경의 현대적 양상을 연구함으로 산수풍경의 새로운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풍경의 관찰 체험을 통해 받아들여진 감동과 주관적 인상을 내적 감정과 교합하여 조형성을 추구하는 본인의 작품 표현 및 제작경향을 살펴보았다. 작업들을 정리하고 돌아보면서 정체성의 문제를 확인하며 객관적인 입장에서 본인의 작품을 바라보고 앞으로 작업방향에 독자성을 확보한 작품으로의 발전적인 도움을 받고자 한다.;Culture changes with time, so does painting since it reflects culture. However, one can find the tradition in even the most radical and newest trend of art as H.W. Janson said that originality cannot be perceived without tradition because it provides a firm background for artists to spread wings of imagination. My study of traditional sansu painting(Asian landscape painting) aims at creation of a new beauty that comes from the beauty of the nature. Thus, I tried to project myself to the nature to learn the order of the formative art and express a world that is both subjective and intuitive. For traditional sansu painting, the nature was a medium to express the philosophy as well as esthetic point of view of the Asians of the time. However, change was inevitable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 painting which views nature as an object of painting and modern sansu painting now pursues spirits and formative beauty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I studied the potential of rich expressions that this modern sansu-landscape painting composed of simple dots and lines can create. Thus, for theoretical study, I explaine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ansu painting, covering the change made to traditional sansu painting especially during the modern times when traditional, western, and Japanese influences coexisted. At the same time, I demonstrated modern aspect of sansu-landscape painting through artists who tried to inherit but reinterpreted the tradition. Finally, I stated the expressions and trend of my paintings in which I pursued formative art by combining subjective impressions perceived from the nature with internal feelings. Through this thesis I inte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my paintings in order to view my works from subjective eyes, and finally find productive direction to origin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Ⅱ. 본론 = 3 A. 이론적 연구 = 3 1. 전통산수화의 변화 = 3 2. 산수화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 = 5 3. 산수풍경의 현대적 표현 = 9 B. 작품의 표현 및 제작 경향 = 17 1. 점/선을 토대로한 단순화 과정 = 17 2. 빛에 의한 표현 (먹색의 투명성/생략과 대비) = 19 3. 선과 구획된 평면 = 22 Ⅲ. 작품제작 과정 및 작품분석 = 24 Ⅳ. 결론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50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dc.title단순화 과정을 통한 산수풍경-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ansu-landscape painting composed of simple-
dc.creator.othernameKim, jin young-
dc.format.pageⅵ,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