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9 Download: 0

참여 중심 프로그램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효과 평가

Title
참여 중심 프로그램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효과 평가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participatory road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uthors
손주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불의의 사고(unintentional injury)는 어린이의 건강 수준을 위협하는 심각한 보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특히 교통사고의 경우 어린이의 사고로 인한 사망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그 심각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현행 교육 여건 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기존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대부분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높아, 어린이의 참여를 유도하는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교통안전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 중심 프로그램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교통안전교육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설계는 유사 실험 대조군 전후설계이며, 서울시내 일부 8개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2005년 9월 26일부터 2005년 11월 3일까지 이루어졌다. 이 기간 동안 연구대상자 중 실험군 224명에게는 주 1회 40분씩 총 6회에 걸쳐 참여 중심 프로그램의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였고, 대조군 232명에게는 어떠한 교육프로그램도 적용하지 않았으며, 교육 전ㆍ후에 걸쳐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서는 등하교 방법을 제외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이 동질집단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안전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실험군 92.9%, 대조군 89.2%, 교통사고 경험이 있는 경우가 실험군 22.9%, 대조군 23.3%로 조사되었다. 교통안전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학교에서, 그리고 담임선생님으로부터 가장 많이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족 중 교통사고 경험자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 2. 교통안전교육 실시 전, 교통안전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주거 형태(지식, p<0.001; 태도, p<0.05)’와 ‘기존 교통사고 경험 유무(p<0.05)’가 공통적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외에도 교통안전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 등하교 방법 및 시간, 기존 교통안전교육 경험 유무가 있었고(p<0.05), 교통안전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 가정 내 자가용 유무(p<0.01)가 있었다. 3. 참여 중심 프로그램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실시 전ㆍ후의 지식점수를 비교해 보면, 실험군과 대조군의 교육 전 지식점수의 평균은 각각 6.48점, 6.41점이었으나 교육 후 지식점수는 각각 8.38점, 6.51점으로 실험군의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1). 4. 참여 중심 프로그램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실시 전ㆍ후의 태도점수를 비교해보면, 실험군과 대조군의 교육 전 태도점수의 평균은 각각 19.67점, 19.63이었으나 교육 후 태도점수는 19.86점, 19.63점으로 실험군의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5. 참여 중심 프로그램의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통한 영역별 지식,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자동차 안전’ 영역에서 실험군의 지식점수가 가장 높아졌고(p<0.001), ‘횡단 안전’ 영역에서 실험군의 태도점수가 가장 높아졌다(p<0.001).;Road traffic accident is the top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children in Korea. Especially, the accident rate of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s approximately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upper grades. Moreover, Korea has the almost 2-3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Sweden or other Europea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a participatory road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afety educa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Activated Health Education (AHE) model. AHE model, a three-phase curricular model,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a sequential planned education, annotates research supporting its use, and cites potential implications for school health education. Study design was Compromise Experimental Group Pre-Post Design. Four hundred and fifty six students in the 8 elementary schools were nonrandomly assigned to the study group(n=224) or the control group(n=232).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is road traffic safety education, the students finished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about knowledge and attitude of road traffic safety before and after the safety education intervention which was provided to the study group students for six weeks, and an hour every week. Each class activities were developed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on each safety cla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2.0 version after coding in the spreadshee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experience about road safety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road traffic accid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xcept the way to go to school. 2. The common influential factor in the road traffic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before intervention was 'the residential state(knowledge, p<0.001; attitude, p<0.05) and 'the experience of road traffic accident(p<0.05)'. Additionally, in case of knowledge, there were 'the way to go to school', 'the time to go to school' and 'the experience about road safety education'(p<0.05). In case of attitude, there was 'the existence of private car in the home(p<0.01)'. 3. The knowledge analysis from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of the education intervention showed case group and control group scored average at 6.48 points and 6.41 points before the education intervention. However, after this intervention, case group scored 8.38 points and control group scored 6.51 points. The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the case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4. The attitude analysis from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of the education intervention showed case group and control group scored average at 19.67 points and 19.63 points before the education intervention. However, after this intervention, case group scored 19.86 points and control group scored 19.63 points. The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the case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5. The domain analysis of road traffic safety education's effective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s in the case of knowledge, 'safe walking in the road' domain(p<0.001), 'safe boarding in the car' domain(p<0.001), and 'safe bike-riding' domain(p<0.001). In the case of attitude, 'safe walking in the road' domain(p<0.05) and 'safe crossing the road' domain(p<0.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