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재한 조선족여성의 생활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Title
재한 조선족여성의 생활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Life and Problem of Korean-Chinese Woman Residing in Korea -Focused on Seoul Area-
Authors
림화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숙재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 체류하며 일하고 있는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 생활 영역별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생활에서 겪는 가정생활 문제점을 파악하므로 재한 조선족 여성들이 안정적인 가정생활을 영위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과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동포사회 여성의 삶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우선 2004년 2월부터 4월까지 서울에서 일하고 있는 조선족 여성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백분율, 평균,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다음 2004년 11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서울에서 일하고 있는 기혼 조선족 여성 14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과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조선족 여성들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대다수가 중년층이고 동북 3성 및 농촌 출신이며 부부동반으로 한국에 평균 4년 이상 체류하고 있으며, 중졸의 학력에 무종교이며 신분상으로는 불법체류자이다. 이들은 중국에 있을 당시 가족을 형성하고 있지만 한국 내에서 다시 동거를 하여 새로운 가정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있었다. 이들의 입국동기를 살펴보면, 한국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호기심, 교육비 등의 증가로 인한 생활고, 이혼 등 가족관계 파괴로 인한 현실도피 등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브로커를 통한 위조 비자로 입국하였고 체류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비용 증대로 인한 경제난과 한국정부의 일관적이지 못한 출입국 정책으로 장기 불법체류자로 전락하고 있었다. 둘째, 재한 조선족 여성들의 생활 실태를 보면, 재한 조선족 여성들은 평균 4벌 정도의 외출복을 보유하고 있고, 월평균 의복 구입비는 3만 5천원으로 분포를 보면 0~5만원이 75.8%로 가장 많았다. 식생활의 경우 주로 직장에서 세끼 식사를 해결하고 있었고 식시간이 고르지 않았다. 주생활의 경우 현재 살고 있는 주거형태는 월세가 56.2%로 가장 많았고 방 1개당 거주인원은 2명(60.8%)이 가장 많았다. 여가생활의 경우, 하루 여유시간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도 32.7%였고 여가행태를 보면 수면/휴식(77.1%), TV시청(7.8%), 목욕(7.2%)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경제생활을 보면 이들의 월평균수입은 124만원으로 높은 편이었고 월평균생활비는 23.8만원, 월평균저축액은 75.8만원, 중국으로의 송금액은 23.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가족관계를 보면, 가족수는 평균 4.6명이었고 중국에 남겨진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은 친정부모(26.1%)와 시부모(23.5%)였으며 중국가족과 정기적으로 연락(37.9%)하고 중국내 가족들에게 생활비(58.8%), 옷 등 물품(26.1%)를 지원하고 있었다. 이들은 현재 한국에서 부부동반으로 거주하고 있는 경우가 44.4%로 나타났고 한국 현지에서 새롭게 배우자를 사귀어 생활하는 경우(3.9%)도 있었다. 둘째, 재한 조선족 여성의 생활만족도 수준은 평균 2.86(5점 만점)으로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체류기간(p<.05), 월평균소득(p<.05)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한 조선족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월수입, 한국에서 참여단체 유무, 빚정도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한 조선족 여성들은 한국에서의 생활상에서 불안정한 체류신분이 제일 큰 애로사항이었고 그 외 경제적인 빈곤, 자녀에 대한 그리움, 여유가 없는 생활, 빚, 무시와 차별, 가족에 대한 념려, 의료, 일상생활 문제 등의 순으로 애로사항을 호소했다. 재한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 체류가 장기화 되어 감에 따라 새로 발생하는 문제점은 부부갈등 문제, 동족 차별 문제, 출산, 임신, 자녀양육에 따른 가정경제문제, 건강문제, 고립과 정보부족의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재한 조선족 여성의 체류가 장기화되어 감에 따라 가족이주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러한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부부관계 등 가정생활내용을 좀 더 깊이 있게 연구하여 이들의 가정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재한 조선족 여성의 연령, 직업, 거주행태 등 특성에 따른 가정상담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조선족 관련 단체들이 여성 및 가정과 관련된 전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재한 조선족 여성들을 위한 귀국지원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중국 국내 조선족 여성관련 단체와의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고 공동연구과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This study was aimed at presenting basic data to help Korean Chinese women living in Korea lead a stable home life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life of Korean female residents in China to prepare for a unification era by investigating the life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their influencing factors and home life problems of Korean Chinese women staying and working in Korea. Therefo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for this study.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153 Korean Chinese women working in Seoul from February to April of 2004. To analyze survey research data, percentage, average,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were used. 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were conducted on randomly selected 14 married Korean Chinese women working in Seoul from November 2004 to April 2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women staying in Korea are examined, the majority of them are middle-aged, from rural districts such as 3 Northeastern provinces, staying more than 4 years in Korea with their husband in average, and they have middle school graduation education background, no religion and are illegal immigrants. Most of them were forming a family in China but some formed a new family in Korea. Their reasons of coming to Korea were shown as unclear longing and curiosity for Korea, hardships of life by an increase in education expenses and escapism by demolition in family relationship caused by divorce, and most of them entered Korea with a forged visa through brokers and they were degenerated into long-term illegal immigrants by economic hardships of expense increase according to extension in staying period and Korean government’s inconsistent immigration policies. Second, when the living status of Korean Chinese women staying in Korea is examined, they have 4 street dresses in average and spent 35,000 won a month to purchase clothes - 0~50,000 won accounted for 75.8%. In case of their dietary life, most of them had 3 times of meal at their working place and their mealtime was irregular. In case of their housing life, monthly rent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56.2% and mostly 2 persons shared a room(60.8%). In case of leisure life, 32.7% of them didn’t have any spare time, and their leisure life was shown in the order of sleeping/rest(77.1%), TV watching(7.8%) and bath(7.2%). When it comes to their economic life, their average monthly income was considerably high as 1.24 million won, monthly living expenses 0.238 million won, monthly average saving 0.758 million won and the amount of remittance to China was 0.235 million won. When their family structure is examined, the number of average family members was 4.6, and rearers of their children in China were shown as their parents(26.1%) and husband’s parents(23.5%), and they were regularly keeping touch with family members in China(37.9%) and were supporting living expenses(58.8%) and clothes and other items(26.1%) for their family in China. 44.4 of them were staying in Korea with their husband but 3.9% of them newly met a new spouse in Korea. Second, Korean Chinese women staying in Korea showed a little low level of living satisfaction as 2.86 in average out of 5, and staying period(p<.05) and monthly average income(p<.05) were shown as meaningful factors. Third, age, monthly income, participation groups in Korea and debt were shown as factors influencing the living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Chinese women staying in Korea. Fourth, the biggest difficulty experienced by Korean Chinese women staying in Korea was unstable staying status and then, economic hardships, longing for their children, tight life, debt, discrimination, concerns about family members, medical services and daily life were followed. As newly generated problems by Korean Chinese women’s long stay in Korea, conflicts between husband and wife,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Chinese, childbirth, pregnancy, home economic problems by children rearing, health, alienation and information shortages appeared. The above study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s Korean Chinese women’s long stay shows a tendency of family immigration, plans to improve their family life satisfaction level should be considered by more deeply studying their family life such as husband and wife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such a change. Second, the development of home consult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women such as their age, job and residence type is needed. Third, policy support for groups related to Korean Chinese people to provide special consulting services related to women and home problems is needed. Fourth, the development of homecoming support programs is needed for Korean Chinese women staying in Korea. Fifth, it is also needed to exp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Korean Chinese women related groups in China and develop joint research subjects with them.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