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교실 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 연구

Title
교실 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 role in Blended Learning that combines online community and traditional classroom
Authors
김서령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보 통신 기술의 혁신적인 발달과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활용이 확산되고 있는 사회의 변화는 교육 방식에 있어서도 커다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e-Learning은 교육방식에 새로운 변화를 제공하고 학습자 위주의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방안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도 이러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실제적인 교수-학습활동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최근 교육인적자원부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ICT 활용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하고, ICT 활용 수업을 모든 교과서에서 10% 이상을 실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ICT 활용 교육이 교육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교육 현장에서 단순히 교실 수업을 보조하는 차원에서만 사용되거나 교사의 일방적인 CD-ROM 및 웹 자료의 제시 등에 그치고 있어, ICT와 인터넷이 갖는 가장 큰 장점인 상호 작용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인 교실 수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웹 기반 협동학습 활동을 도입하여, 교실 수업의 유용성과 온라인 커뮤니티 학습의 장점을 혼합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전략을 실시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초등학교 단계에서 이러한 학습 전략을 도입하는 것은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였을 때,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새로운 대안적인 의미를 갖는 학습 전략을 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자리잡게 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를 실행하는 핵심 주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여전히 웹 기반 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 수행 전략 및 적용 등에 있어서 현장 교사들의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학습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학습자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등이 가장 핵심적인 열쇠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실 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광범위한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현장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하여 이들 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실행전략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는 연구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환경에서 필요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교실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 수행에 있어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실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실행전략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국×내외 문헌의 광범위한 연구를 통하여 교실 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의 개념과 필요성에 관해 고찰하고, 핵심 전략인 혼합형 학습과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이론적 배경 및 교육적 잠재력을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 1번에 해당하는 교사의 역할 규명을 위해서 구성주의적 교실에서의 교사의 역할,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사이버 튜터의 역할, 원격 교육 교수자의 역할 등에 관한 다양한 학자의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작성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설문지는 ‘교실 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역할의 중요도, 실행도 측정을 위한 설문지’라는 제목 아래,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묻는 7가지 문항과 교사 역할의 7개 영역에 관한 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 타당도 검증을 위해 교육공학자 3인과 초등교사 2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통해 검증받았다. 연구 문제 2번은 교실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의 역할에 관한 7개 영역과 50개 문항들이 중요도와 실행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영역별 실행도와 중요도의 평균차이 분석은 MANOVA test를 통해 분석하였고, 항목별 실행도와 중요도의 평균차이 분석에 있어서는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3번에서는 중요도-실행도 분석(IPA)를 통해 교실 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역할에 관한 우선 순위를 규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실천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수업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의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역할의 7개 영역의 실행도의 전체 평균이 3.43으로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의 전체 평균은 3.80으로 나타났다. 이 때, 7개의 모든 영역과 50개의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의 평균이 실행도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7개의 영역 중 4개의 영역, 50개의 항목 중에서 13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교사들이 혼합형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교사 역할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행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 역할의 영역별 ‘IPA(중요도-실행도 분석) 매트릭스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우선적으로 집중 지원해야 할 영역은 기술 지원자 영역, 교수 설계자 영역, 평가자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혼자서 온라인 학습활동에서 발생하는 모든 기술적 문제에 즉각 대처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면서, 이와 함께 온라인 활동에서 발생하는 모든 자료들을 일일이 모니터링하여 평가에 반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웹 기반 학습을 교실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교수 설계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역할에 있어서 항목별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가운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13개의 항목을 IPA 분석 매트릭스로 분석한 결과, 우선적으로 집중 지원해야 할 항목으로서 6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특히, 기술지원자 영역이 이러한 우선 집중지원인 4사분면에 3개의 항목이나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교사들이 온라인 학습을 수행할 때, 학습자들이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에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 능력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면서도 실제적인 실행은 미흡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The use of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expended by information revolution through Internet and Web. Although there is a positive aspect of ICT environment, this ICT-based learning has not been fully used its own capability and opportunities by teachers in a traditional classroom. Recently, a learning model that aims to develop community-based blended learning concept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studied. The integration of a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with a traditional elementary school classroom would ideally combine all of the benefits of both learning environment.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room imparts the social contact that children need to guide their learning while the online collaborative community environment offers interactivity and flexibility. While there is an obvious benefit in the access to Blend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the model is far from fully integrated into school curriculum or generally used by teachers in their classroom. Whether and how the Blended learning combines that online community and face-to-face approaches in elementary school depends mainly on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eachers. Therefore, it is crucial to look at teacher role in online community learning environment combined with traditional classroom. For above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teacher role that they recognize in Blended learning. The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stud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1. Analyzing the relevant theories and researches on a role of online tutor, instructor in distance learning, and teacher in constructivism. 2. Establishing teacher role’s factors driven from framework through available theories, case studies, and searching of related web sites. 3. Making a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and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teacher role. 4. Analyzing the survey’s results and finding the difference that mat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factors of teacher role in online community combined with traditional classroom consist of seven items: Instructor and content expert, Process counselor, Interaction facilitator, Social relationship organizer, Technical supporter, Instructional designer, and Assessor. 2. The total mean of the Performance of the seven teacher roles was 3.43, and the total mean of the Importance was 3.80, which showed the Performance is higher than Importance on all area of the seven teacher roles. 3. By using manova-test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ven item on teacher role, five teacher roles(Interaction facilitator, Social relationship organizer, Technical supporter, Instructional designer, and Assess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p<.05). 4. As a result of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trix, it was perceived that four teacher roles(Social relationship organizer, Technical supporter, Instructional designer, and Assessor) tend to need intensive support. Especially, a teacher role as a Technical supporter seems to have the highest necessit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1. For the successive online community learning combined with traditional classroom, the range of teacher role need to extend. Teacher role need to include the capability of technical support, facilitation on interactivity and soci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of online assessment, managerial and pedagogical knowledge. 2.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eem to have some difficulty to provide technical support for online community environment. Therefore, it must be done they have easy access to get support and continuous training whenever they want. For the further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s: To support teacher roles for successive online community environment combined with traditional classroom, the specific survey will be needed to acknowledge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and individual needs. And it will be needed to study on another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blend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uch as student variables, school facilities, policy of educational institution, et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