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7 Download: 0

프로농구경기에서의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에 대한 연구

Title
프로농구경기에서의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Flow in the Professional Basketball
Authors
박현애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프로농구경기를 중심으로 선수와 관전자가 경험하는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그를 바탕으로 스포츠의 예술적인 측면인 미적체험과 몰입경험 즉, 선수와 관전자에게 주는 내재적 가치로서의 미적가치를 철학적 논의와 비판을 통해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5년 여자프로농구 6개 팀과 남자프로농구 4개 팀 선수 총 112명, 관전자는 경기가 있는 체육관을 방문하여 의도적 무선표집한 총 211명을 표집 하였다. 프로농구선수와 관전자의 미적체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구성은 경기에서 미적체험이 가능한 기술 및 기능 등에 관한 문항을 6개의 하위요인으로 나눈 총 38개의 문항, 몰입경험은 선수용과 관전자용으로 구분하여 선수용 몰입경험의 측정은 한국어판 경험 설문지(KFSS)를 추출하여 9개의 하위요인 총 22문항으로 구성하고, 관전자용 몰입경험의 측정은 몰입경험 척도(FES) 4개의 하위요인 총 4문항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한 주요 통계기법은 단순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에 따른 사후검증으로 Scheffe-test를, 상관관계 분석으로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농구선수의 미적체험 하위요인에 대한 빈도는 기본기술이 가장 높았으며, 공격, 수비, 전략, 응용기술, 개인기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몰입경험의 하위요인에 대한 빈도는 명확한 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기 목적적 경험, 과제에 대한 완전한 집중, 시간의 변형, 행동과 지각의 일치, 도전과 기술의 평형, 통제감각, 자아의식의 상실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농구선수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의 차이는 성별과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여자선수보다 남자선수가, 20-25세보다는 26-30세의 선수들이 미적체험 및 몰입경험을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농구선수의 미적체험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를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식과 중요도 모두 매우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식에 비해 중요도는 낮은 빈도를 보여, 미적체험을 인식을 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기 중 미적체험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농구선수의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관전자의 미적체험 하위요인에 대한 빈도는 공격이 가장 높았으며, 기본기술, 수비, 개인기량, 전략, 응용기술의 순으로 나타났다. 몰입경험의 하위요인에 대한 빈도는 자기 목적적 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제에 대한 완전한 집중, 시간의 변형, 행동과 지각의 일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의 차이는 성별, 연령 및 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관전자도 선수와 마찬가지로 여자보다 남자가 농구경기를 보며 더 많은 미적체험 및 몰입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10대와 20대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0대가 20대보다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을 많이 하는 편이다. 또한 학력에 있어서는 대학재학 중이 중고재학, 고등학교 졸업, 대학졸업, 대학원 이상보다 적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관전자의 미적체험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를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식과 중요도 모두 매우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여덟째, 관전자의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의 상관관계는 선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스포츠 세계는 현실적인 삶과는 구분된 또 하나의 영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포츠가 감동을 주지 못하는 형태로 존재한다면 스포츠는 더 이상 존재가치나 이유가 없는 것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연구 결과와 같이 기능적으로 숙련된 선수들이 다양한 기술을 발휘하고 그 안에서 창의적으로 자신의 스타일을 계발할 때 선수와 관전자 모두가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에 이를 수 있음 알 수 있었다.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은 우연히 일어나서 얻어지는 감성의 경험이 아니다. 스포츠 경기 안에서 예술성을 추구할 때 신체와 감성에 주어지는 감동이다. 결론적으로 스포츠에서의 미적체험과 몰입경험은 내재적인 가치로의 지향이며, 스포츠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flow(peak experience) in the professional basketball and to discuss philosophic critics and view points about aesthetics of sports. Two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first was aesthetic experience questionnaire of the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and the spectators deal with aesthetic skills and technic made by researcher. The second was the "Flow State scale(FSS)” which was developed by Jackson & Marsh(1996) and reversed by Shon Young-Soo with the Korean version(2002). The sample was drawn from the basketball stadium located on the Seoul area. Using the purposed random sampling, a total of one hundred twelve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and two hundred eleven spectator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were employed to characterize the sampl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statistically identify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Also the Pearson correlation method was used to notify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and flow. Based on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as made. Sports world is another world different from the real world. Therefore, if sports cannot touch the deepest part of people`s hearts, sports lose their meaning to exist. As shown in this study, when highly trained players develop their own skills and present them in a passionate way, spectators as well as players can reach the point where they lose themselves i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flow of sports. This aesthetic experience and Flow cannot be acquired by accident. This can be achieved only when players and spectators all together pursue the artistic values in the sports. In conclusion, we should pursue the experience of beauty and flow in sports as internal values and the final destination of spo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