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교사능력의 중요도와 준비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Title
교사능력의 중요도와 준비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level of Teacher's Competences
Authors
신혜선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teacher's competences and their competence level in order to point out problems in the current teacher-fostering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fostering education and teacher's expertise. The study addresses two issue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ir teaching competence and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their teaching competence? The study carries out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gions. The study finds out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found to perceive such items as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the most important and the competence to handle administrative operations less important. In terms of their competence level, they perceive that their competence level is the highest in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the class but low in assessment and comprehension of curriculum contents. The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mpetences of importance as perceived by them and the competence level that they achieved was the largest in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competence to organize teaching and competence to utilize teaching methods. When looking into perceptu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aching years, newly appointed teachers have larger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mpetences of importance as perceived by them and the competence level that they achieved than experienced teachers. Second, li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ary school teachers also perceive that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are the most important among teacher's competences and put less importance on the competence to handle administrative operations. In terms of their competence level, they perceive that their competence level is the highest in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but low in assessment and the attitude to participate in administrative operations. The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mpetences of importance as perceived by them and the competence level that they achieved was the biggest in the competence to utilize teaching methods, curriculum knowledge and the competence to organize teaching. When looking into perceptu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aching years, newly appointed teachers have larger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mpetences of importance as perceived by them and the competence level that they achieved than experienced teachers. By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what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school is knowledge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eachers are competent enough and teacher-fostering education is relatively well provided. Secon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ompetence for assessment is important but also perceived that their competence level for assessment is low. Therefore, in-service training is necessary for them to obtain the competence for assessment applicable in the field.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their competence to comprehend curriculum contents is low. It seems because they have to teach all subjects by the natur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ortion of teachers exclusively teaching a specific subject and seek ways for teachers to reorganize the volume and depth of curriculum contents properly. Fourth, newly appointed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have a low level of competence for administrative operations. As shown in the item of the usefulness of teacher-fostering education, it indicates that pre-service training to cultivate the competence for administrative operations in school is nonexistent and newly appointed teachers are not given with sufficient pre-service training. Fifth, in most competence items, the perception of competence level was higher in experienced teachers than in newly appointed teachers. The current teaching practice system of teacher-fosteri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complemented and reinforced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obtaining competences as well as a sense of alienation from the field. In regard to this, it should b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perception of compete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o practice teaching three times in total is lower than tha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do practice teaching only once.;본 연구는 교사 능력의 중요도와 준비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해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앞으로의 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의 전문성 개발의 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능력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 능력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의 수행을 위해 서울ㆍ경기지역 초ㆍ중ㆍ고등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교사 능력의 중요도에 대하여 교과내용과 수업 지도에 관련된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행정 관련 능력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능력의 준비도에 대해서는 수업 중 학생과의 상호작용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인식이 가장 높았고, 평가 관련 항목과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항목의 준비도 인식이 낮았다.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 능력과 현재 갖추어져 있는 능력 사이의 인식 차이는 교과지식, 수업 조직 능력, 교수방법 활용 능력 등의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준비도 인식 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신임교사가 경력교사보다 중요도와 준비도 인식 간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교사는 교사 능력의 중요도에 대하여 초등교사와 마찬가지로 교과내용과 수업 지도에 관련된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행정 관련 능력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능력의 준비도에 대해서는 교과지식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인식이 가장 높았고, 평가 관련 항목과 행정업무 참여태도에 대한 항목의 준비도 인식이 낮았다. 교사들이 중요하고 생각하는 교사 능력과 현재 갖추어져 있는 능력 사이의 인식 차이는 교수방법 활용 능력, 교과지식, 수업 조직 능력 등의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준비도 인식 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신임교사가 경력교사보다 중요도와 준비도 인식 간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지식 교육이고, 이에 대한 교사의 능력은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준비도와 중요도 인식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능력도 교과 지식과 수업에 관련된 능력임을 볼 때,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초등과 중등 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평가에 관련된 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준비도 인식은 낮은 편에 속한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에 대한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현직 연수가 필요하다. 셋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이해 능력에 대한 준비도 인식이 낮았다. 이는 한 명의 교사가 거의 모든 과목을 담당하는 초등학교 교육의 특성상 나타난 결과로 보여진다. 초등학교 교육에서 과목 전담 교사의 비중을 늘리고, 교사가 교육과정의 양과 폭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현장에 맞게 재구성하는 방법 등이 필요하다. 넷째, 신임교사의 행정 업무에 관한 준비도가 낮게 인식되고 있다. 이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도 나타나듯이 학교에서의 행정 업무 관련 능력에 대한 직전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처음 임용된 교사에게 충분한 사전 연수 또한 이루어지지 않아 곤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대부분의 능력에 대해 경력교사가 신임교사보다 준비도에 대한 인식이 높다. 능력 습득의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고 신임교사의 현장과의 괴리를 좁혀줄 수 있도록 현재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교육실습을 보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교원양성교육과정 중 총 3회의 교육실습을 실시하는 초등교사의 신임교사와 경력교사 간 준비도 인식 차이가 1회의 교육실습만을 실시하는 중등교사의 인식 차이보다 낮은 것과도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