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7 Download: 0

창작 교육을 위한 패러디 시 교육 연구

Title
창작 교육을 위한 패러디 시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RODY POEM COMPOSITION FOR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Authors
김윤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자
Abstract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삶과 동떨어진 기존의 문학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문학교육을 표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문학 이해와 감상에 치우친 문학 교육을 창작영역으로 확대함으로써 학습자의 창조적 수용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시 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창작교육은 ‘모방시’ ‘패러디 시’ 등 주로 원 텍스트에 대한 변용과 차용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창작’에 대하여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대다수 학습자들에게 ‘모방시’와 ‘패러디 시’ 쓰기는 비교적 쉽고 친근하게 여겨질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패러디’ 시를 활용한 창작교육은 입시 위주의 교육과 실제적 교수 방안의 부족 등으로 실제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의 목적은 시의 완전한 이해는 창작교육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생각을 전제로, ‘패러디 시를 활용한 창작교육의 실제적 교수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Ⅱ장에서는 먼저, 창작교육을 위해서 패러디 시를 활용하는 것은 어떤 의의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창작교육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더불어 창작교육에 ‘패러디 시’를 활용하는 이유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창작교육을 위해서는 패러디 시에 대해 학습해야 하는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학습 내용으로는 패러디 시의 유형, 패러디 시에 주로 쓰이는 기법 등을 알아 보았다. Ⅳ장에서는 창작교육을 위한 패러디 시의 실제적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실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200분의 수업을 통해서 패러디를 학습하고, 창작케 하였고, 설문을 통해 패러디 창작이 창작의 욕구를 고취 시켰는가 등을 알아보았다. Ⅴ장에서는 ‘패러디 시 교육을 통한 창작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교수방안 등을 실험하고 정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form adopted student-centered literature teaching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method of teaching literature, which has beenirrelevant to students’ learning style. In other words, students’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is more emphasized rather than the traditional method of teaching how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literature. The current creative writing pedagogy used in poem education is mostly through changing and borrowing from the original text because it is considered that most students who have fear of creative composition would feel relatively easier to write ‘imitation poem’ and ‘parody poem’. However, the current teaching method of creative writing through parody poem is not very effective in reality due to exam focused education and lack of practical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is paper looks for practical teaching methodsthrough using parody poem based on the premise that complete understanding of poem can be achieved by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In Chapter Ⅱ, the significance of using parody poem for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is examined. First, it evaluates how the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is being performed under the current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at the problems are, and purpose and problems of using parody poem. In chapter Ⅲ, the contents of parody poem learning for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are listed, which are patterns of parody poem and major writing styles used in parody poem writing, etc. In chapter Ⅳ, a practical teaching method of parody poem for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is introduced. It was examined through the subject of 20 high school sophomores whether they were inspired to write creatively by teaching them about parody poem first and having them compose on their own during actual 200 minute class period. In chapter Ⅴ, the possibility of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through parody poem is presented and the importance of experimenting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establishing them to achieve the goal of creative writing development in school is stre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