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유아의 기질 및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과 유아의 자기통제력간의 관계

Title
유아의 기질 및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과 유아의 자기통제력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modes of verbal control of parent, and child's self-control
Authors
정지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개인 내적 측면에서 유아의 기질과 환경적 측면에서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이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이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8개 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4-5세 유아들(남아100, 여아110명)과 그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유아의 기질은 천희영(1993)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통제력은 Kendall과 Wilcox(1979)가 유아의 자기통제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통제력 평정표(SCRS: Self-Control Rating Scale)를 번안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은 이경희(1993)가 제작한 아동용 척도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자기통제력간의 관계에서, 남아는 활동성만 자기통제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적응성, 생리적 규칙성, 반응성은 자기통제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여아의 경우는 적응성과 생리적 규칙성은 자기통제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활동성은 자기통제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적 통제유형이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는 자기통제력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났고, 지위적 통제유형과 인성적 통제유형은 자기통제력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는 어머니의 지위적 통제유형과 인성적 통제유형간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났고 명령적 통제유형은 여아의 자기통제력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셋째, 아버지의 언어적 통제유형이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남아의 경우 아버지의 인성적인 통제유형만 자기통제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여아의 자기통제력은 아버지의 언어적 통제유형 중 어떠한 것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이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남아는 유아의 기질 중 활동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어머니의 인성적 통제유형, 아버지의 인성적 통제유형 순으로 남아의 자기통제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아는 남아와 마찬가지로 활동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고, 그 다음으로 어머니의 인성적 통제유형, 적응성, 생리적 규칙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내적 특성인 기질과 외적 환경특성인 부모의 언어적 통제유형을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관련지어 살펴본 결과,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활동성으로 밝힘으로써 유아의 자기통제력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기질의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s temperament(adaptability, activity, rhythmicity, and reactivity), modes of verbal control of parent(imperative control, position-oriented, and person-oriented), and child's self-contro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0 parents of 5 year-old kindergarteners in Seoul and Keoung-k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such as Chun's (1993) Child's Temperament Scale, Kendall and Willcox's (1979) Self-Control Rating Scale, and Lee's (1993) Modes of Verbal Control of Parent Scal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 test, multi linear regression, and Cronbach's α.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boys, only activ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s self-control. For girls, however, adaptability and rhythmic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s self-control. Also, like boys, activ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s self-control. Second, for boys, mother's imperative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s self-control, but mother's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person-oriented control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s self-control. For girls, mother's imperative control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ild's self-control. Also, mother's position-oriented control and person-oriented control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s self-control. Third, for boys, only father's person-oriented cont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s self-control. For girls, whereas, all modes of verbal control of father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ild's self-control. Finally, regardless of gender, activity temperament worked played the most influential role to affect child's self-control.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imply the importance of activity temperament in child's self-contr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