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2 Download: 0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Title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cognition about the Role of Social Workers in the Hospice Service
Authors
허유래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It was in 1982 when a hospice team involving a medical social worker was organiz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nation. Since then, social workers working on hospice teams steadily increased, and the scope of their activities has been also expanded. In most of hospice teams, however, social workers, who are realistically the important members, seldom independently perform their unique functions and roles, and have conflicts with other members due to overlap or ambiguity of roles. These things are responsible for degradation of team efficacy, and low quality of services to the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hospice social worker's roles are recognized in the hospice teams, and there is any difference in role recognition depending on team member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nd interaction within the teams, and from it, to clarify social worker's roles in the hospice team, and seek for ways social workers can perform their roles as a more professional social worker. 231 social workers on hospice teams in domestic 39 hospice organizations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naire. 168 copies or 72.7% of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 were gathered. Excluding 6 inadequate copies, 162 copi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Major findings from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Status of utilization of hospice service 71.8% of the members of hospice teams had an experience of requesting social service. Requested matters were, common to the members, mostly economic matters, intervention for psycho-social matters, and the link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2. Recognition on hospice social worker's roles By areas, average score of recognition on the social worker's roles was over 3 points in all areas, indicating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in agreement with social worker's roles. Indirect intervention works marked an average of 3.1753 points, to the highest. By items, among the indirect intervention works, team activities marke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By sub items, individual counseling marke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3.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social worker's roles among hospice team members Between social workers and other team members,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the social worker's major roles. Social workers on hospice teams thought their major roles to be the direct intervention related works for patients and the families, while other members indirect and extended works. 4.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the social worker's roles by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organization types and operation types didn't produce large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social worker's roles. The recognition was better as social workers are performing services, and are in exclusive charge of hospice works. 5.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social worker's roles depending on interaction within a team persons who have ever requested social welfare services had higher recognition on the social worker's roles. Depending on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service, those who had les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had more clear recognition. Depending on cohesion within a team, more cohesive teams had higher recognition on the social worker's rol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in a team, more cooperative teams had higher recognition on social worker's ro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as found that social workers and other team members have different recognition on the social worker' roles, there should be more active performance of direct intervention works which is low in recognition in team members, further activation of direct intervention works through sharing and transferring of information with team members about performance output, and more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econd, social workers' real performing the services, and social worker's employment type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role recognition in team members. Besides, the enactment of hospice is now on drive. Accordingly, it is important and required to secure social worker manpower so that social worker's roles within hospice teams could be more clearly established and more vitalized. Third, as found that recognition on social worker's roles can be more clarified when there are stronger cohesion and better coop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between social workers and other members, it needs to put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between social workers and team members. As for social workers, they should give much efforts to seek for communication method for better information sharing and discussion with team members, and form a sense of unification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우리나라에서 의료사회복지사가 포함된 호스피스 팀이 처음으로 구성되어 활동을 시작한 1982년 이래 호스피스 팀 내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수는 꾸준히 늘어났고, 그 활동영역도 보다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호스피스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중요한 팀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독립적으로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드물고, 타 팀원과의 역할중복 및 모호로 인한 갈등이 생기기도 하며, 이러한 문제점은 팀 전체의 효과성을 저해하고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에게 질적으로 낮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호스피스 팀 내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팀 구성원별, 기관 특성별, 팀 상호작용에 따른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호스피스 팀 내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짓고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팀 구성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39개 호스피스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팀 구성원 231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중 72.7%인 168부를 회수하였고, 부적합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162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스피스 서비스 활용실태 호스피스 팀 구성원의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의뢰경험은 전체의 71.8%가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뢰내용은 팀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경제적 문제,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개입 및 지역사회 자원연계에 대한 의뢰 경험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호스피스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영역별 구분에 있어서 모든 영역의 평균점수가 3점 이상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응답자가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동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그중에서 간접적 개입 관련 업무에 대한 평균점수가 3.175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목별 구분에 있어서는 간접적 개입 관련 업무 중 팀 활동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정도를 나타내었고, 하위항목별로는 개별상담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 호스피스 팀 구성원별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팀 구성원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사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직접적 개입관련 업무에 대한 인식이 높은 반면 타 팀 구성원들은 간접적, 확대업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호스피스 팀 구성원 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4. 기관특성 별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 기관특성 중 설립형태 및 운영형태별 인식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사의 활동유무에 따른 인식은 사회복지사가 활동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의 근무형태에 따른 인식은 사회복지사가 호스피스 업무를 전담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팀 상호작용에 따른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은 사회복지 서비스 의뢰 경험이 있는 경우에 더 높은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역할인식은 서비스에 불만족한다는 응답자의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팀 응집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팀 응집력이 강할수록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호스피스 팀 협력정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팀 협력이 잘 될수록 인식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사회복지사와 타 팀 구성원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타 팀원의 역할 인식이 낮은 직접적 개입관련 업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수행과 수행결과에 대한 타 팀원과의 정보공유 및 전달을 통해 직접적 개입관련 업무를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환자와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호스피스 팀 내에서 사회복지사의 활동여부와 근무형태는 팀 구성원의 역할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호스피스의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서 호스피스 팀 내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보다 명확히 정립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사 인력의 확보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사회복지사와 타 팀원들 간에 응집력이 강하게 형성되고, 의사소통과 협의 등을 통한 협력관계가 잘 형성될수록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보다 명확해 질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호스피스 팀 내 사회복지사와 타 팀원들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호스피스 팀 내에서 타 팀원들과의 보다 원활한 정보공유와 협의를 위한 의사소통 방법을 모색하고, 팀원 간 일체감과 협력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