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수필 교육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 연구

Title
수필 교육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ading-Writing Integrated Method for Teaching Essays
Authors
이혜인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의 성격을 ‘한국인의 삶이 배어 있는 국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정보화 사회에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국어 생활을 영위하고, 미래 지향적인 민족 의식과 건전한 국민 정서를 함양하며, 국어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뜻을 세우게 하기 위한 교과’로 규정하고 있다. 국어과는 국어 사용 양상과 내용을 정확하고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사상과 정서를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는 교과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향상’을 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국어과 교육의 핵심 과제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언어, 문학의 여섯 영역을 총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국어 교육의 목표에 유기적으로 통합되도록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제6차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는 국어과 교육의 하위 목표가 언어기능, 언어, 문학의 세 영역별로 제시되었던 것에 반해,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각 영역별로 지식, 기능, 태도의 내용 범주를 제시하여 국어과의 각 영역이 독립적이지 않고 내용상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을 보여준다. 즉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국어 교과는 각 영역을 통합한 교과이며 ‘총제적 언어 교육’을 지향하는 교과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수필 교육을 위한 수필 읽기-쓰기 통합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필의 특징과 효과적인 문학 창작의 제재로 수필이 적합함을 살펴보고, 수필 창작을 위해서는 수필 쓰기 교육만을 실시하는 것보다는 수필 읽기와 연계하여 수필의 장르적 특징을 익히는 것이 수필 창작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수필 교육을 위한 수필 읽기-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구안하고자 한다. 국어 교육에서의 창작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는 창작의 즐거움과 성취감을 누리게 하고 표현의 욕구를 충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작품 속의 삶과 자신의 삶을 관련지어 봄으로써, 심미적 상상력과 건전한 심성을 계발하고 바람직한 인생관과 세계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수필 장르가 어떤 장르인지 그 특성을 밝히고 문헌 연구를 통하여 수필 창작을 위한 수필의 읽기와 쓰기 통합 교수 학습 방안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밝히고자 한다. 그런 후에 수필의 창작을 위한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수 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 장에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수필의 읽기-쓰기 통합 교수 학습의 이론적 타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체적 언어 교육관의 관점에서 읽기와 쓰기는 비슷한 인지 과정과 스키마를 가진 활동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필이 문학 창작의 소재로 적합함을 밝히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수필의 창작을 위한 읽기-쓰기 교수 학습의 모형을 구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현재의 교과서에서는 수필을 어떤 교육 제재로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수필 읽기와 쓰기의 모형을 제시한다. 수필 읽기는 수필만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읽기 전략의 활용이 중시되며 수필 쓰기 활동은 수필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장르 중심 쓰기 이론과 쓰기의 과정을 중시하는 과정 중심 쓰기 이론의 통합으로 행해져야 한다고 보고 통합 모형을 구안한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각각 구안한 수필 읽기와 쓰기 모형을 수필 교육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모형으로 통합 하여 실제 교과서 내의 한 수필 작품을 가져와 학생들에게 실제로 적용해 본다. 이를 통하여 이 모형이 수필 지도에 적합한지 알아보고 Ⅴ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제언을 하고 있다.;The 7th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the subject which helps us to use Korean accurately and effectively in this society, to foster prospective national consciousness and healthy mind, and to fulfill the idea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evelopment by cultivating the ability and attitude to utilize Korean in a creative way". Korean language curriculum clarifies that the focus should be o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aspects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use accurately and critically as well as to express their feelings effectively and creatively. It also points out that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learners' improvement on using Korean language in a creative way" and actually it is the core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fulfill this purpose, the curriculum is designed to fit into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six categorie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literature) as a whole. Unlike the 6th, the 7th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shows that integrating the each s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much desirable than separating them each other presenting the content category of knowledge, fuction, and attitude. Thus,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ursues "whole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method for teaching essays. To accomplish it, characteristics of essays and appropriateness of essays for effective literature material were scrutinized. Also, the fact that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essays with essay reading can improve the quality of essay writing were clarified. On the basis of these,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method for essay teaching was designed. Creative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ds learners to enjoy their fullfilment and satisfy their needs for expression. Also, when learners are involved in the work, they can develop their aesthetic imagination and healthy mind and set the positive attitude on their life and this world. In this study, features of essays and validity of reading-writing integrated method for essay writing were ver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fter that, design of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method for essay teaching was followed. What this study deals with are as belows: In chapter Ⅱ, theoretical validity of reading-writ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essay writing were clarified. In order to do that, the fact that reading and writing have a lot in common cognitive process and schema in a whole language education was verified. Consequently, the fact that essays are suitable for the material of creative writing was revealed. In chapter Ⅲ,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essay writing were designed. To accomplish it, the way that current text books utilized the essays was examined, and the model of reading and writing essays was presented. Application of reading strategies is essential for essay reading. Also, genre-centered and process-centered writing theory should be combined. Therefore,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model was designed from this point of view. In chapter Ⅳ, on the basis of chapter III, reading-writing integrated model of essay writing was applicated to students with the essay in the text book. Thus, suitability of this model for teaching essays was figured out. In chapter Ⅴ, on the basis of above-mentioned findings, some suggestions for teaching essays were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