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예술교육으로서의 중등 무용교육과정 모형 개발

Title
예술교육으로서의 중등 무용교육과정 모형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ment of a Model of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as Art Education
Authors
전주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Nowadays, the learning of scientific knowledge for production makes society change more plentifully and conveniently, forming educational climate oriented to scientific knowledge. Such climate makes human beings emotionally impoverished and fails to attain the true objective of education. Thus immanent potential shall be derived from art education to develop expression and creation, and access to historical inheritances of a variety of culture and art shall be made to provide rich and practical environment toward art education. For this,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the changing figures of dance as well as the dance as art to the present educational field. It is an educational task - what universal value shall be pursued by dance art education in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are being globally made.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an ideal model of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as art education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 objective, content and method of dance education. 1. The compositional direction of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is divided into four: first, to cultivate basic ability of leading the flow of social changes; second, to consider regional, schoo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under the government system; third, to be a broad educational form of improving learning ability both as art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and fourth, to connect with life-time education for healthy life under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s arts & cultural policy. 2.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aims at artistic, sociocultural and integrated education. So to speak,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intends to be art education that is focused on aesthetic experience, development of creativeness based on imagination and cultiv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a range of experience. Also, it intends to be sociocultural education to understand and face a variety of culture and society in connection with dance. Furthermore, it pursues improvement of interest and ability in creating and learning new ideas through integration with other curricula. 3. The objective of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is to develop an ability of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with nonverbal communication through danc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y of all-round education and to grow an aesthetic sense and value judgment through dance forms and technical learning. In addition, it makes students apply dance to actual life by development of creativeness, sociocultural value and education under curricular integration. 4.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consists of concept and inquiry method of “use movement” for motor skills, motor learning, and dance functions, “creation” generating dance knowledge, expression and creative thinking faculty, “aesthetic” looking into the meaning of dance on the basis of aesthetic perception, experience, thought and knowledge, “history” for understanding of culture under the history of dance, relation with communities and traditional education, “express” playing personal thinking and feeling, appreciation” cultivating the response, evaluation and critical thought of a work, and “analysis” of evaluating a dance work under the faculty of aesthetic analysis and a variety of learning knowledge. These contents are embodied through mutual integration in the course of learning. 5. The principle of teaching method for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is based on educational methods centered on concepts to sensitively cope with social changes, learners unde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cultiv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a range of creative experiences, the actual spot under both knowledge and function, and individuality under the powers latent within one. Teaching method adopts order, repetition, problem-solving, discovery, conversation, discussion and inquiry suitable for each educational method. 6. Evaluation method is divided into practical examination, observation, descriptive examination, essay examination, discussion, research report, self assessment, peer review and portfolio as method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se methods are complementary, attach importance to development of advanced thought such as creativeness or problem-solving ability as well as improvement of a teaching-learning course, and used for advice with directions and counsel through individual learning.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they are suitable as evaluation method of dance education. In conclusion, a model of secondary school dance curriculum by paradigmatic changes in art education as developed like the above mentioning shall be more systematized and diversified in terms of curriculum and program in a broader structure than the current dance curriculum with development of the whole of country-leading culture and art as a type of integrated education connected with all-round education. Moreover, cultivation of teachers who specialize in such education with the system is rising as a key point. Further curricular studies suitable for changes in art education shall be made in a ceaseless manner.;오늘날 생산을 위한 과학지식의 학습은 사회를 보다 풍부하고 편리하게 변화시키고 있으나, 교육적 풍토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정서를 메마르게 함으로서 교육의 진정한 목적을 이루지 못하게 한다. 이에 예술교육은 내면 깊이 감추어져 있는 잠재력을 이끌어 내어 표현력과 창의성을 개발 시키고, 다양한 문화와 예술의 역사적 유산에로의 접근을 꾀하는 실천적 예술 교육의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을 일선 교육현장에서 실현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전지구적(全地球的)으로 행해지고 있는 사회, 문화적 변혁의 상황 속에서 무용예술교육이 어떠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지에 관한 교육적 과제이기도 하다. 오늘날 세계 무용교육의 흐름은 ‘무용예술교육’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또한 ‘예술’과목은 핵심교과로 인정되고 있는 추세로, 문화예술을 통한 국민들의 창의력 함양과 국가 이미지 고양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시도라 볼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이미 선진 여러 나라에서 국가 중요 정책 목표가 되고 있는데,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문화 강대국에서는 이미 이 단계를 넘어 교육적인 차원에서 ‘예술’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프로그램들이 구체화되고 있고 학교와 공공기관 등에서 실행되고 있는 내용들도 많이 있다. 미국은 ‘국가 기준’(National Standards), 호주는 ‘교육과정 개념틀’(Curriculum Framework), 영국은 ‘국가 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 일본은 ‘학습지도요령’으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 해당되는 세계적인 변화와 함께 무용교육도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교육에 있어서 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의 교육적, 사회-문화적 요구와 필요에 따라 그 성격, 목표, 내용 및 방법을 규명하고 제시하여 예술교육으로서의 중등 무용교육과정의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각국의 문화예술정책과 예술교육의 흐름, 무용예술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각국의 중등 무용교육과정을 통한 기본 방향, 성격, 목표, 내용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중등 무용교육과정의 모형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의 내용 및 결과, 즉 각국의 예술정책과 무용교육, 무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도와 무용교육과정모형에 관한 의견조사를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이상의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토대로 예술교육으로서의 중등 무용교육과정의 모형을 개발하였고,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중등무용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첫째, 사회적 변화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기본 능력 육성의 무용교육과정, 둘째, 국가적 기본 체제 하에 지역별, 학교별,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는 무용교육과정, 셋째, 예술교육으로서 뿐만 아니라 통합교육으로서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광범위한 교육형태로서의 무용교육과정, 넷째, 문화예술정책으로서 학교 내, 외의 협조체제 하에 건강한 삶을 위한 평생교육으로의 연계성 있는 무용교육과정이다. 성격은 예술적, 사회-문화적, 통합적 교육을 지향하는데 있다. 즉 미적 경험 중심, 상상력을 기초로 하는 창의력 개발중심, 다양한 경험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육성하는 예술적 교육, 무용과 연관된 다양한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고 접하게 하는 사회-문화적 교육, 다른 교과와의 통합을 통해서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이다. 2. 목표는 전인적 교육의 이념을 바탕으로, 심동적 영역에는 기본 움직임과 기본기술에 대한 수행 능력 기르기와 무용을 통한 독창적인 생각과 표현을 통한 창의력 기르기가 있다. 인지적 영역에는 무용형식과 기술학습으로 미적 감각과 가치 판단력 기르기와 무용을 통한 감정표현 및 비언어적 형식의 의사소통으로 해석능력 기르기가 있다. 정의적 영역에는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을 통한 학습능력 향상과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 실생활에로의 응용력 기르기와 다양한 문화적 경험으로 전통에 대한 이해와 문화유산의 가치를 통해 정체성 인식능력 기르기에 있다. 내용영역은 무용 창작하기, 무용 탐구하기, 무용 공유하기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하위영역에 따른 내용은 움직임 기술과 원리를 익혀 활용하는 “움직임”, 무용지식과 표현력, 창의적 사고능력을 가져오게 하는 “창작”, 미적 지각과 경험, 사상, 지식으로 무용의 의미를 발견하게 하는 “미학”, 무용사를 통한 문화의 이해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전통교육을 위한 “역사”, 개인의 사상과 감정을 나타낸 작품을 타인에게 보여주는 “발표”, 작품에 대한 반응과 평가 및 비판적 사고를 기르게 하는 “감상”, 심미적 분석 능력과 다양한 학습지식에 의해 무용작품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해석” 등에 따른 개념내용과 탐구방법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내용은 학습과정 속에서 상호 통합되는 가운데 이루어진다. 3. 교수 방법의 원리는 사회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재 개념 중심 교육방법, 교사와 학생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되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 다양한 창작 경험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육성의 교육방법, 지식과 기능을 겸비한 현장중심의 교육방법, 잠재된 능력을 토대로 하는 개성중심의 교육방법 등을 기본 원리로 한다. 교수방법은 교육방법에 적합하게 명령식, 반복식, 문제해결식, 발견식, 대화식, 토론식, 탐구식을 적절히 사용한다. 평가는 수행평가의 방법 중 실기, 필기시험법, 관찰법, 토론법, 연구보고서법, 자기평가법 등으로 한다. 이러한 수행평가 방법은 상호보완적이며 창의성이나 문제해결력 등 고등 사고기능의 신장과 교수-학습과정의 개선을 중시하며, 개별학습을 통한 지도와 조언으로 충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무용교육내용에 대한 평가 방법으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개발되어진 예술교육으로서의 중등 무용교육과정 모형은 현행의 무용교육과정의 경우보다 더 광범위한 구조로 국가가 주도하는 문화예술 전반에 대한 개발과 함께 평생교육으로의 연계성을 지닌 통합적 교육형태로서 체계화되고 더욱 다양화되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교육을 위한 전문화 된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 양성 문제가 중요한 관건으로 대두되고 있기에 앞으로 예술교육의 변화에 알맞은 교육과정의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