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38-
dc.description.abstractIn 2000, senior population in Korea was 3,384,000, which epresented 7.2% of the total population in Korea that year. As of 2005, however, the percentage rose 1.8% resulting in 9.0% of the total population, and it is forecasted that by year 2030, senior population will increase to 23.1% of the total population. Such an increase in senior population is viewed to be a result of the increase in average lifespan due to development in medical science.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governmental policy aimed at creating jobs and encouraging social participation for elders across all social spectrum and geography. The senior age─a stage in life in which one reflects upon his/her life and prepares for his/her ultimate passing─is a very important stage in one’s life. A majority of senior citizens still retain their health sufficient to continue to contribute to society, and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y have multiple talents. Senior citizens passionately seek to contribute their human resourcesto the society searching for one’s sense of purpose in life. At the same time, certain parts of the society have begun to take interest in the volunteer works of senior citizens in an effort to affirmatively utilize their untapped human resources thereby benefiting themselves and the society. The volunteer works of senior citizens alleviate the loneliness that often accompanies a person’s last stages in life and build a sense of pride that they suggesting role models for the rest of the society. It also instills in senior citizens the energy and purpose to carry on a hope-filled life. Accordingly, this thesis researches how volunteer work of elders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life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volunteer workers (i.e., volunteer works that require face-to-face interaction with people) and non-interactive volunteer workers (i.e., volunteer works that do not require face-to-face interaction with people). To conduct the research, carefully designed questions in the form of questionnaires were asked to senior citizen volunteer workers in welfare halls/centers for elders and senior citizen halls all located in Seoul. The result of the present research revealed that, regardless of whether volunteer was interactive or non-interactive, volunteerwork affects the quality of life in senior citizens. As briefly describe above, the differing characteristics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st groups were whether the volunteer work was interactive or non-interactive, job knowledge, and attitude.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life was generally higher for senior citizens who volunteered in interactive services compared to those who volunteered in non-interactive services. Such a difference was observed to be a result of experiencing and directly seeing how the senior citizen’s volunteer work affect the attitudes and lives of the people who benefit from the volunteer work. Such experiences in turn positively affect the senior citizen’s psyche. Moreover, volunteer worker’s personalities, educational background, knowledge, and attitude were observed to be meaningful factors that affected systematic training for their volunteer work and finding initiative of the same. The present research differs from previous researches in that research groups were divided by their volunteer characteristics─i.e., interactive versus non-interactive─and not by the field or type of their volunteer work. Thus, first, the present thesis can aid welfare workers and academics in understand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volunteer characteristics of senior citizens. Second, the present thesis, by identifying exemplaryinteractive volunteer work and non-interactive volunteer work, may aid in further identifying the types of volunteer works that need to be developed, understanding the reasons behind the decline of volunteerism in certain types volunteer work, and ultimately developing programs to address such reasons. Third, by survey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life among senior citizen volunteer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reof, the present thesis may aid in developing volunteer work programs that can maximize senior citizen volunteers’satisfaction in lif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hat talent(s) each senior citizen volunteers has and allocate different talent in fields where it can be utilized the most. This will maximize the senior volunteer’s happiness towards life and their wellbeing and, at the same time, benefit society as a whole. It is now high time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o achieve such results and the starting point should be educational programs. Fourth, the present thesis observes that, given the little training for, and discontinuous volunteerism in, non-interactive volunteer activities, it is important for senior citizen welfare centers, volunteer centers, local governments to provide continuous and regular training for senior volunteer workers.;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00년 3,384천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2%였으나, 현재 2005년 인구 비율을 보면 9.0%로 1.8% 증가 하였고, 2030년에는 23.1%까지 증가 하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 인구의 증가는 과학의 발달로 인한 평균 수명의 연장을 그 원인으로 보고 각 지역 층의 사회분포에 따라 노인들의 사회참여 및 노인들의 일자리 창출에 따른 많은 대안책을 만드는데 그 주안점을 두며 각종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노년기는 개인의 삶을 결론짓는 중요한 시기이다. 대다수의 노인들은 아직도 사회적 활동을 하기에 충분히 건강하며 다양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자신들의 인적 자원을 사회를 위하여 기여함으로써 삶의 보람을 찾으려는 열망을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회 일각에서도 노인의 유휴인력을 노인 자신과 사회발전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하나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런 자원봉사활동은 노인 생활의 고독감 등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사회의 어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생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람되고 희망찬 생활을 영위하도록 도와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통해 대면적 접촉을 갖는 자원봉사자와 비대면 접촉을 갖는 자원봉사자의 특성을 비교하여 자원봉사 참여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조사 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위해 사전 조사를 거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서울시내 노인종합복지관 및 경로당, 노인복지센타에 다니고 있고,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원봉사활동의 참여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으로 정한 변인은 대면적 자원봉사활동과 비대면적 자원봉사활동, 일반적인 특성, 지식, 태도 등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의 차이가 여성의 참여율이 남성의 참여율보다 높았으며 건강상태에 따라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비율이 차이가 있었다. 특성별로 살펴보면 대면적 자원봉사활동은 비대면적 자원봉사활동에 비해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의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면적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자원봉사를 함으로 도움을 받는 대상자의 변화에 따라 자신에게도 정신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대한 결과적 반응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봉사의 특성, 교육수준, 지식 및 태도에 있어서도 대면적 자원봉사활동은 비대면적 자원봉사에 비해 자원봉사활동의 태도수준 비율이 높았으며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본 연구가 가지는 복지적 의의는 첫째, 그 동안 자원봉사활동 분야를 나누었던 방식과 달리 참여특성에 따라 분야를 나눔으로써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원봉사활동의 참여 특성을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대면적 자원봉사활동의 대표적 분야와 비 대면적 자원봉사활동의 대표적 분야를 파악함으로 더욱 발전 시켜야 할 자원봉사활동의 분야와 저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자원봉사활동 특성을 연구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필요성을 모색할 수 있다. 셋째는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함으로 삶의 만족도의 긍정적인 결과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의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모색할 수 있다. 노인의 전문성을 지닌 자원봉사활동 봉사자를 찾아냄으로 노인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흥미를 느낄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꼭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다양한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비 대면적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교육 받는 횟수의 저조함과 짧은 자원봉사활동 때문에 노인종합복지관 및 자원봉사센타, 구청 및 동사무소에서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자원봉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노인의 삶의 만족도 = 5 1.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개념 = 5 2.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 B. 노인자원봉사활동 = 12 1. 자원봉사활동의 태도 및 지식 = 12 2. 자원봉사활동의 대면과 비대면의 특성 = 14 C. 노인자원봉사활동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16 Ⅲ.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0 A. 연구모형 및 연구 가정 = 20 B.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22 C. 척도 = 23 D. 분석방법 = 24 E. 연구의 제한점 = 25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26 A. 조사대상자의 특성 = 26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26 2. 자원봉사자의 특성 = 30 B. 자원봉사활동의 특성에 대한 분석 = 32 1. 대면적 자원봉사활동 특성 = 32 2. 비대면적 자원봉사활동 특성 = 35 3. 대면과 비대면의 자원봉사활동의 차이 = 38 C.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 41 Ⅴ. 결론 = 43 A. 연구결과 요약 = 43 B. 사회복지적 의의 = 46 참고문헌 = 48 부록 = 51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59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노인자원봉사활동 참여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Volunteer Characteristics in Senior Volunteer Workers on the Quality of Life-
dc.creator.othernameLee, eun joo-
dc.format.page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