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creat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3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nd institutionalize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schools by examining how middle-school teachers perceive various models differently. The methodology of survey is as follows.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two different cities, Seoul and An-yang, and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 models: school-based model, connec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model, and No-shcool welfare model. The total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three middle schools in each city. It is of note that only 189 sheets were subject to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tilized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intergroup vari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service area based on the school location, 86(45.5%) teachers worked in Seoul, and 103 (55.5%) in Anyang. By school social welfare model, 57 teachers (30.2%) worked in the school where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is offered, and 71 teachers (37.6%) in schools where school social welfare connec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is provided. The rest 61 teachers (32.2%) worked in the place with no school social welfare. As for the past experience of using school social welfare services, 49 teachers (26.2%) had certain degree of experience, while the other 138 teachers (73.8%) had not. Secondly, as for their percep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34 teachers (18.1%) have well aware of it, and 103 teachers (54.8%) have heard about it before. The remaining 51 teachers (27.1%) had no idea about school social welfare. As for their interest levels,125 teachers (67.6%) were interested, while 60 teachers (32.4%) were not. regarding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 they believed that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play moderately active roles. Thirdly, as for the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perception ofschool social workers'roles and their service experi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t is worthwhile to mention that their perceptions of school social welfa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s, careers, and experiences of using services. By ages, those in their 50s or up had a higher opinion about school social welfare, and by careers, the teachers with 20-year or more experiences took a better perception of it. Their interests in school social welfare vari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ith their experiences of using the services only, as those who had ever experienced services showed higher interests. Lastly, as for the impact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models on their outlook, the school social welfare models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perceptions of school social worker roles, and only the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mode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experiences of using the services, their perceptions and interes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described below : First of all,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under investigation thought that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play average roles, and the school social welfare models exercised little influences to their position. A few teachers whose schools provided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and whose school social welfare were connec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believed that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play active roles. Therefore this finding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perceptions on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Secondly, their perceptions of school social welfare and their inter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rvice experience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better service, social welfare worker should educate school teachers about school social welfare. Thirdly, as for the influences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models, the teachers experiencing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differ from others. For this reason,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model should be highly recommended.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ptions of school social welfare were influenced by the teachers' ages and careers. For higher effectiveness in consultation with students, more studies should be done on younger teachers, because they are able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more effectively.;본 연구는 교사들의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사회복지의 발전과 제도화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안양 지역의 중학교 중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라 상주형, 연계형, 미실시형의 3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지역에 따라 각각 3개교씩 총 6개교를 표집하여 6개교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총 250부의 설문지를 학교에 직접 배포 · 회수하였다. 196부가 회수되었으나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하고 18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적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set, 일원적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근무처는 지역에 따라 서울이 86명(45.5%), 안양이 103명(55.5%)이었으며,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라서는 상주형이 57명(30.2%), 연계형이 71명(37.6%), 미실시형은 61명(32.2%)이었다.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에 대해서는 있다가 49명(26.2%), 없다가 138명(73.8%)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교사회복지에 대해서 과반수 이상이 잘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 있다고 답했다.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다가 125명(67.6%), 관심이 없다가 60명(32.4%)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 정도를 보통과 적극적이어야 한다의 중간으로 응답하였다.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9가지 하위척도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인식차이는 4가지로 분류하여 학교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 차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 차이와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연령, 경력, 이용경험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50대 이상의 교사가 학교사회복지 인식이 높았음을 알 수 있고, 경력에 따라서는 경력 20년 이상의 교사가 학교사회복지 인식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 차이는 이용경험에 따라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주형, 연계형, 미실시형의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인식차이는 4가지로 분류하여 학교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 차이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먼저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교사들의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 인식 차이, 관심 차이는 상주형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상주형 학교 교사들이 연계형이나 미실시형 교사들에 비해 학교사회복지를 많이 이용하고, 인식과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은 평균 3.56으로 보통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9가지 하위역할별로 보았을 때에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상주형이나 연계형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매우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응답은 비교적 적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식과 관심 및 이용경험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이고도,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 등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복지계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에는 상주형만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용경험, 인식,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사회복지사가 상주하는 학교의 교사들이 보다 쉽게 학교사회복지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사가 상주하는 형태의 학교사회복지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상주형 학교의 경우 한시적이라는 제약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범기간을 늘리고, 연계학교를 늘려가는 방법이 강구되어져야 하며 무엇보다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연령과 경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주로 학생상담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인식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학생상담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학생들과 공감대 형성이 쉬운 젊은 교사들에 대한 접근과 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 6 1. 학교사회복지의 정의 및 목적 = 6 2.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 10 3.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 11 B. 학교사회복지 모델 = 17 1. 상주형 학교사회복지 = 17 2. 지역사회복지관 연계형 학교사회복지 = 18 C. 학교사회복지에 관한 선행연구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설계 = 25 1. 연구질문 = 25 B. 연구방법 = 26 1. 연구대상 = 26 2. 설문지 구성 및 조사도구 = 28 3. 분석방법 = 30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31 A. 조사대상자의 기술적 분석 = 31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31 2.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 37 B.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 = 47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사 역할 인식차이 = 47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 = 48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인식 차이 = 48 4.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관심 차이 = 50 C.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인식 차이 = 51 1.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 차이 = 51 2.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 = 52 3.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인식 차이 = 52 4.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관심 차이 = 53 Ⅴ. 결론 = 54 A. 연구결과 요약 = 54 B. 함의 = 58 C. 제언 = 61 참고문헌 = 62 부록 1. 설문지 = 65 부록 2. 상주형 학교사회복지 시범학교 운영 현황 = 73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14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Different School Social Welfare Model-
dc.creator.othernameLee, Soo Jin-
dc.format.pageⅷ,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