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석영-
dc.contributor.author이보람-
dc.creator이보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9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917-
dc.description.abstractHuman life and arts consist of ongoing search for and exploration of the nature and aspects of human beings. Artistic acts began along the existence of mankind and have been expressed originally based on the diverse form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through the flow of an artist's consciousness from the time immemorial. An artist makes a bridge between him or her and other social members by making a work of his or her primary experience. The artistic work affects others and exercises the power to stir or move them based on the emotional or ideological importance. In particular, a human body has been one of the most critical motives through which for humans to channel their creative desires both in the Orient and Occident. It has also been simplified or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s reflecting the psychological, social or transcendental aspects. There has been no break to the streak of artistic works depicting a human body in every artistic area, especially painting and sculpture. Recently the boundaries between sculpture and other artistic genres have been blurred due to the genre crossing in exploring formative trials across many different genres at a time. The human body expressions are expanding the scope by adopting new concepts and visual senses and shifting to the artist-oriented expression where subjectivity and personality are valued. As the society grows and our cultural life and living tandards become more sophisticated, our desire for emotional pleasure increase more.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nterest in formation arts of a human body, which was attempted as a means of spatial direction promoting human beings' coexistence through pure formative works and social interests. The investigator interpreted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human society from her own subjective viewpoints and focused on the diverse and lively expressions of a human body. The goal was to produce ceramic sculpture that revealed the feeling and properties of earth to the maximum. A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a human society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arts and society.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human body sculpture of each era were reviewed along with the diverse viewpoints of a human body as an artistic material. In examining human body expressions, objectivity was obtained as much as possible in explaining about the liveliness and movements of a human body based on the anatomical research. The formative principles were also examined for the diverse expressions, and the works of the existing artists were considered to add diversity and originality to the human expressions. In creating the intended works, the investigator used her own subjective mental images in transforming the developments of human society into formative works. In addition to the objective expressions, the focus was placed on the liveliness and fluid forms of a human body, body parts, and visual presentation of the body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rmative principles. The stoneware clay was mostly used to increase the plastic strength as well as prevent any crack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sculpture. The color development was promoted by using superwhite. The slip casting that's proper for repetitive forms was adopted along with the coiling for formative shapes and the slabbing for free changes to the shapes. After molding, engobe was applied to increase the whiteness of the works, and glaze of white, dark, and brown was usually used to attain the space and light effects in a three dimensional level. Firing went as follows; Work No. 4, 6, and 7 were fired in the dawn draft kiln of 0.5㎥ at finishing temperature of 900℃ for eight hours. After the primary firing, the second oxidizing firing was given at finishing temperature of 1,280℃ for ten hours. Work No. 1, 2, 3, 5, 8, and 10 were fired in the dawn draft kiln of 1.5㎥ at finishing temperature of 900℃ for eight hours. After the primary firing, the second oxidizing firing was given at finishing temperature of 1,280℃ for ten hours. Work No. 9 went through firing burning two times in the open . The eternal object of formative research, a human body is an artistic motive of significance beyond the time and place limitations. The investigator produced ceramic works whose formative beauty of a human body was prominent by introducing the various formative elements of volume, rhythm, ratio, balance, and emphasis. In the process, she realized the beauty of a human body once again as the intrinsic beauty of a human body as part of nature was brought to her sens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t is also pointed out that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on ceramic works that emphasize the free expression and formative features of earth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rtistic materials. The potential of infinite formative creations of ceramic arts is essential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the artist's sense and capabilities in creating a fine piece of work. In the future more artists will keep investing more of their talents and research efforts in creating diverse ceramic formative works of a human body.;인간의 삶과 예술은 인간 본연의 모습에 대한 끊임없는 탐색과 본질의 탐구이다. 예술행위는 인간의 존재와 함께 그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고대(古代)에서 현대(現代)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이론을 배경으로 작가 내면의 의식 흐름을 통하여 독창적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예술가의 일차적 경험에 의한 작품은 언제나 예술가와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을 연결시키는 다리이며,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예술작품의 정서적 내지는 이데올로기(Ideology)적 중요성과 더불어 사람들을 동요하게 하거나 감동시키는 사회적 힘을 지니고 있다. 특히, 예술의 표현대상으로의 인체는 동서고금을 통하여 인간의 창작 의지를 표출시키는 가장 중요한 모티브로 존재해왔고, 심리적, 사회적, 형이상학적 측면을 포괄한 표현의도에 따라 단순, 변형의 방법을 통해 제시되어 왔다. 모든 미술 분야, 특히 회화나 조각에서는 인체를 소재로 예술작품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으며, 도자예술 역시 세계적인 미술추세를 따르고 있다. 즉 미술 각 장르간의 구분이 없어지고 상호 영역이 침투하는 탈장르 현상으로 조각과의 구분이 불분명한 순수한 조형적 탐구가 더욱 진전된 상황에 있다. 따라서 인체 표현에 있어서도 새로운 개념의 시각적 수용과 정착이 이루어져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주관적이고 개성이 중시되는 작가 중심적 표현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우리의 문화 생활과 생활의식이 향상되고 안정될수록 정신적 향유의 욕구가 늘어남에 따라, 현대인에게 인간과 더불어 사는 공간연출의 방법으로 순수한 조형작업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적 관점의 인체 조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인간사회의 발전과정에 대한 본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으로 다양하고 생동감 있는 인체 이미지 표현에 역점을 두며, 흙의 느낌과 물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도자 조형물을 제작함에 목적을 둔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예술과 사회의 관계 정립을 통한 인간 사회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며, 각 시대의 특징에 따른 예술의 특징과 인체조형물을 조사하여 예술소재로의 인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살펴보았다. 인체표현의 연구과정으로, 인체의 해부학적 연구를 통해서 인체의 동세와 움직임에 대한 객관적 설명에 충실하였다. 또한 표현방식의 다양성을 위하여 조형의 원리를 연구하고, 기존 작가들의 작품 사례를 통하여 인체표현의 다양성과 더불어 독창적 연구가 되도록 하였다. 작품의 조형 과정에서는 인간사회의 과정을 본 연구자의 주관적인 심상에 의해 조형화 하였다. 객관적 표현과 더불어 인체의 동세와 유동적인 형태, 부분적인 강조 외에 조형의 원리에 의한 시각으로의 인체이미지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작품 제작 시 작품의 성격에 따라 균열방지와 성형 강도를 높이고자 석기질 점토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발색의 효과를 높이는 슈퍼화이트를 사용하였다. 성형방법으로는 조형적 형상을 위한 코일링 기법과 자유로운 형태변형을 위한 판성형 기법 외에 반복적 형태에 적합한 이장주입성형을 병행하였다. 작품의 백색도를 높이기 위해서 성형 후 화장토를 발라주었으며, 백색, 흑색, 갈색계열의 유약을 주로 사용하여 3차원 공간과 빛의 효과를 도모하였다. 소성은 0.5m³ 도염식 가스 가마와 1.5m³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마침 온도 900℃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은 마침 온도 1,280℃ 로 10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하였다. 조형적 연구에 끊임없는 연구대상이 되어 온 인체는 시, 공을 초월한 의미 있는 예술소재이며, 이를 조형요소인 양감, 율동, 비례, 균형, 강조에 접목시켜 조형적인 인체미가 돋보이는 도자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존속되어지는 인체의 자연 본성적 아름다움을 접합시키면서 부각되는 인체의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깨달았으며, 특히 다른 미술 분야와의 차별성을 갖는 흙의 자유로운 표현성과 조형성을 강조하는 도예 작품의 연구는 계속 되어야 하며, 도자예술의 무한한 조형창작의 가능성과 작품에 발휘되는 작가의 감성과 역량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인체에 대한 여러 작가들의 역량과 연구의 노력이 다양한 인체 도자 조형작품을 통해 표현되기를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I.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인간사회와 조형예술 = 4 A. 예술과 사회 = 4 B. 인간 사회와 예술 = 5 C. 예술소재로서의 인체 = 7 Ⅲ. 인체의 미 = 12 A. 인체의 해부학적 연구 = 12 B. 인체의 조형적 연구 = 14 Ⅳ. 인체를 소재로 한 도자조형 작품 연구 = 16 Ⅴ. 작품 제작 및 해석 = 26 A. 조형 과정 = 26 B. 제작 과정 = 39 C. 작품 해석 = 46 Ⅵ. 결론 = 67 참고문헌 = 69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73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人體의 이미지를 통한 도자 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human Figure as an Expressive Subject in Ceramic Art-
dc.creator.othernameLee, Bo-ram-
dc.format.page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