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0 Download: 0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과 교육 방향 탐색

Title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과 교육 방향 탐색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Sport for All Leader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ir Education
Authors
안혜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rofessional competence fa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sport for all leaders as required in the field of their activities and propose possible directions to improve their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ataloged factors of professional competence required of sport for all leaders in the field of sport and leisure for all. Drawing on the sport for all leaders' educational experience, it also explored ways to make their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more effective and systemized to help improve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is author selected 20 sport for all leaders who are active in the field of sport and leisure for the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further supported by documentary research, in-depth interviews,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competence is the total sum of the factors of learning, practicing, exercising, and accumulating experience. There can be widely different profess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rofessions. Professions requiring professional expertise are commonly construed to include more theoretical and systematic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management abilities than other, ordinary jobs. Therefore, professional competence of sport for all leaders is defined as particular capabilities for playing a required role in the field of sport and leisure for all. The competence can be said to be accumulated by learning and practising through education and experience from the days when they are would-be sport for all leaders. In this study, competence factors required of sport for all leaders in their instruction and job performance are classified into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management abilities. Second,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theories that sport for all leaders learn at college and practices in the field. The education of sport for all leaders for developing professional competence consist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sport for all leaders in the field have found that inadequate pre-service education of would-be sport for all leaders has caused many problems in the field. Those problems include a problem involving identity building of sport for all leaders who have been employed without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field, college education that fails to adequately meet what is required in the field, education overly focused on basic practical skills, on-the-job training that is poorly prepared and managed, and lack of proper occupational education for would-be sport for all leaders. By identify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pre-service educat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quired jobs of the leaders and brought to the fore the need to closely-coordinated interaction between college education and the field. Many sport for all leaders currently at work in the field recognize that in-service education provided for them has lost much of its meaning as re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have many problems, including insufficient support for the progr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with the recognition tha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rough educating field instructors has directly connected with efficiency of the job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it is needed to develop expertise of sport for all leaders as life-long workers by introducing differentiated programs for reeducating them. Third, the improvement should be made with fundamental measures in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education of sport for all leaders focusing on the field with a view to presenting fundamental measures in a long-term perspective. The pre-servic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field and the application throughout the educational program, from the selection of would-be leaders with special talents and skills to improvement of college curricula, to enhancement of on-the-job training in a more systematic and organized manner, and to career guidance. The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the basis of changed perceptions of individual leaders and organizations. Specifically, goal-orient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both content and method, depending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educ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such a way to ensure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ommunication is possible among leaders and differentiated programs for different groups of leader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These programs should be enhanced by stage in order to help leaders of sport and leasure for all develop a proper identity through close cooperation between college and the field. Proposals made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sport for all leaders are presented with the connection between work and lear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attempting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professional competence fa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 required of sport for all leaders in the field and explore possible ways of impro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ied by analyzing professional competence of sport for all leaders for adequate job performance, could be used as indicators for improving college curricula in terms of educating professionals and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a and systems within an organization in terms of developing human resources. The professional competence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also could be used as a criteria for measuring expertise of sport for all leaders, recruiting new leaders, and rewarding them.;본 연구는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 요인과 교육경험을 밝혀 사회체육지도자의 교육에 대한 개선방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사회체육현장에서 요구되는 지도자의 전문능력 요인을 밝혀내고, 그들의 교육경험을 통해 전문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체육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지도자 2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은 문헌조사,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문서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은 배우고 익혀서 실천하며 쌓아가는 요인들의 총합이다. 전문능력은 직업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전문성을 갖고 있는 전문직은 일반 직업에 비해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지식, 기술, 태도 및 관리능력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은 사회체육현장에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의 능력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예비지도자시기부터 교육과 경험을 통하여 배우고 익혀서 실천하며 쌓아가는 전문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을 지도 및 업무수행과정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종합적으로 구분하고, 이를 지식, 기능, 태도 및 관리능력으로 하였다. 둘째, 사회체육지도자의 교육경험은 이론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은 것이었다. 전문능력 신장을 위한 사회체육지도자의 교육은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현장의 사회체육지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직전교육의 경험은 사회체육현장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채용된 지도자들의 정체성 구축에 관련된 문제점, 현장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교육 내용, 실기기초기능 습득 위주의 교육, 준비되지 않고 관리되지 못한 현장실습, 예비지도자에 대한 직업교육 부재 등으로 인해 실제로 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지도자 업무와 인식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직전교육의 개선방안 탐색과 대학과 현장간의 지속적이고 유기적인 상호작용 의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현직교육에 대한 사회체육지도자들의 경험은 지도자 재교육으로의 의미가 퇴색된 채 시행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실질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현직교육을 통한 인적자원개발은 곧 조직성과의 유효성과 관련된다는 인식의 전환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실행해야 하며, 기관 내 지도자 재교육과정의 급별 차등화 제도가 도입되어 평생직으로의 사회체육지도자에 대한 전문성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사회체육지도자 교육의 개선 방향은 敎子採薪(교자채신)의 변화이다. 사회체육전문지도자 교육을 위한 방안 탐색은 장기적인 안목을 바탕으로 한 근본적인 처방을 목적으로 현장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직전교육에서는 특기가 반영된 예비지도자의 선발에서부터 대학교육과정의 개선,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현장실습 강화, 직업진로교육까지 지속적으로 연계되는 현장과 학습의 적용에 중점을 둔 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현직교육에서는 지도자 개인과 기관의 조직 차원에서 인식 전환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내용과 방법을 목표지향적으로 구축하고, 수직적ㆍ수평적 지도자간 교육으로 구조화시키고, 인성교육과 제도적 차원의 지도자별 차등화를 도입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대학과 현장간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통해 사회체육전문지도자의 정체성이 확립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 요인과 교육경험의 해석과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내용들은 일과 학습의 연계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회체육지도자의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능력요인과 교육경험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개선 방향을 탐색한 점을 본 연구의 의의로 삼을 수 있다. 직무수행에 필요한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분석은 전문인력 양성측면에서는 대학교육과정 개선을,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는 기관 내의 교육과정이나 교육체계 개발의 기틀을 마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능력 요인을 기준으로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성 기준, 새로운 인력채용 및 보상제도의 체제를 확립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