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웹 기반 학습자료의 글자체와 강조 방법이 가독성, 선호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웹 기반 학습자료의 글자체와 강조 방법이 가독성, 선호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Font Type and Methods of Emphasis on Legibility, Learner Preference, and Achievement of Online Learning Materials.
Authors
목정윤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봉미미
Abstract
본 연구는 웹 기반 학습자료의 글자체와 강조방법이 가독성과 선호도 및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습 화면에서 타이포그라피의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은 글자체에 따라 가독성과 선호도,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 실험 2에서는 강조방법에 따라 가독성과 선호도,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글자체와 관련된 연구문제 (실험 1)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글자체에 따라 가독성에 차이가 있는가? 2.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글자체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글자체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동일한 학습내용을 대상으로 글자체 비교를 위한 두 가지 타입의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동일한 학습수준을 가진 각각 30명으로 구성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집단은 굴림체로 개발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고, 두 번째 실험집단은 바탕체로 개발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이 때 가독성 측정을 위해 총 학습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학습이 끝난 후에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학습내용을 대상으로 개발된 총 10개의 평가문항에 대한 점수를 가지고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글자체가 가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실험집단에 각각 굴림체와 바탕체로 개발된 학습 자료를 제공한 후 학습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결과 굴림체가 바탕체에 비해 가독성이 높다고 나타났다. 둘째,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글자체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 본 결과 굴림체가 바탕체 보다 선호도가 높다고 나타났다. 셋째,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글자체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굴림체를 사용한 학습자료와 바탕체를 사용한 학습자료의 학습효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강조방법과 관련된 연구문제 (실험 2)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강조방법에 따라 가독성에 차이가 있는가? 2.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강조방법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강조방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동일한 학습내용을 대상으로 강조방법 비교를 위한 세 가지 타입의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동일한 학습수준을 가진 각각 20명씩으로 구성된 세 집단에게 학습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집단은 중요한 학습내용이 볼드로만 강조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고, 두 번째 실험집단은 중요한 학습내용이 색으로만 강조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로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세 번째 실험집단은 중요한 학습내용이 볼드와 색을 모두 이용하여 강조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실험 1과 동일한 절차를 가지고 가독성과 선호도,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자체의 강조방법에 따라 가독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볼드보다는 색을 사용한 집단이, 색보다는 볼드와 색을 모두 사용한 집단이 보다 짧은 학습시간을 기록하였으나 분석결과,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글자체의 강조방법에 따른 가독성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글자체의 강조방법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볼드보다는 색을 사용한 집단이, 색보다는 볼드와 색을 모두 사용한 집단이 보다 높은 선호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자체의 강조방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색보다는 볼드를 사용한 집단이, 볼드보다는 볼드와 색을 모두 사용한 집단이 보다 높은 학업성취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석결과,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글자체의 강조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 1과 실험 2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글자체는 가독성과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웹 기반 학습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할 때는 글자체를 선택할 때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글자체를 선택하기 위한 연구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글자체를 사용하는 경우 학습자는 학습에 대한 호감을 가질 수 있다. 둘째,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주요 내용에 대한 강조방법에 따라 학습자의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웹 기반 학습자료에서 다양한 학습내용의 강조방법을 사용할 때는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강조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습내용을 설계하여야 한다.;This thesis is verifying how the font and emphasis methods of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have effecting readability, preference, and students’ achievement. Also, the thesis is affirming the important of typography on the learning screen. For the purpose, there are performing two types of test. Test 1 is verifying differences of legibility, preference, and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fonts. Test 2 is verifying differences of legibility, preference, and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emphasis methods. Fist of all, there ar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connected with the font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legibility according to fonts on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preference according to fonts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3.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a student’ achievement according to fonts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For these subjects of study, it is made the two types of software to compare the fonts. The subjects of study are 30 students who have the same level of learning. First group studied the learning software which is developed by the font of “Gullim”. Second group studied the learning software which is developed by the font of “Battang”. During the test, it is taken a measurement of the time required of the studying for the legibility. After studying, students answered a questionnaire of preference. The survey is constituted 10 questions, and the result of survey is as a student’s achievement. Secondly, there ar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connected with the emphasis method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legibility according to emphasis methods on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preference according to emphasis methods on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3.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emphasis methods on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For these subjects of study, it is made the three types of software to compare the emphasis methods. The subjects of study are 20 students who have the same level of learning. First group studied the learning software which is developed by emphasizing only bold words of the lecture. Second group studied the learning software which is developed by emphasizing only color words of the lecture. Third group studied the learning software which is developed by emphasizing both bold & color words of the lecture. This test is same evaluation for legibility, preference, and students’ achievement as Test 1. The result of Test 1 & 2 can be proposed as following sentences. 1. Fonts are effecting on legibility, preference, and students’ achievement of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Thus, when an instructor develops the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he/she must go through the process of inquiry that is selecting the correct fonts of students’ character. In case of using the correct fonts of students’ character, students have a favorable impression of learning and the environment of learning will be better because of reducing fatigue of eyes. 2. Emphasis methods are effecting on legibility, preference, and students’ achievement of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Thus, when an instructor apply a variety of emphasis methods on the learning material base on web, he/she must go through the process of inquiry that is the correct emphasis methods. When the instructor designs the lecture, this result of research must be conside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