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이미지-
dc.creator이미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2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22-
dc.description.abstract“A painting”,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filling something into empty space might the origin of this like an author stuffs with line on the white paper. What is the passion to make up plain spaces with something or anything? Human beings possess an instinct or an intuition to adorn with beautiful objects. We could call it as a sense of decoration which contains the sprit of human, especially artist. The adornment could be grouped as a sort of expression which represents individual’s aesthetic value. The nature of ornament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supreme expression for one’s artistic desire with naive motivation in light of transferring mental value into material feature. Pictorial works is a unique genre that can show a value of ornament as well as manifestation and reflection for author’s mentality symbolized by letters and words. In terms of ornamental value for painting, I would like to explain it by adapting objects observed easily in daily life. I took an advantage of finery and aristocratic objects, however, to maximize the effect of decorative nature of those. This concept might be compatible to antique frescos worthy of value for both naturalism and embellishment. Mural paintings have entranced audiences with distinctive aesthetic sense due to not only sprits but harmony between the defaced and the remaining parts. The painter named time has carved original works with perpetuity, expressing new artistic value from the same origins afterward. In my works, one of pivotal frames of painting, ornamentation, could be exhibited regarding images which mural arts have shown. Particularly, it could be deciphered in these works that the decorative effect of old murals might be projected into the still life that people usually feel it as familiar objects. To verify above, I retrospect relations between historical changes of meaning for ornaments arts history and paintings. In addition, the speculation of meaning for objects adapted in my works and the comparison still life in the eastern and western were described in this research. To express both originally aristocratic and naturally modified paintings such as the mural, various methodological and technical trails were essential. This dissert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by-product from this process. I hope that there will be a leap in future works.;회화의 시작은 흰 공책에 글씨를 쓰는 것처럼 비어 있는 공간에 무엇인가를 그리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모른다. 빈 공간에 무엇인가를 채워 넣고 그리려하는 욕구는 무엇일까? 작가의 정신성을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인간에게는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려는 장식본능이 분명히 내재하고 있을 것이다. 장식은 원래 인간의 원초적인 미적 욕구에서 시작하는 표현중의 하나이다. 장식의 본질은 한 사람의 예술적 의욕이 가장 순수하게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조형적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정신성의 물질적인 형태로의 발현이다. 회화는 인간의 언어화 될 수 없는 정신성의 표현이자 작가의 가치관이 투영되는 예술이기 이전에 한 공간을 차지하는 장식품으로서의 의미도 가질 수 있는 매우 독특한 형식의 예술이다. 본인은 많은 범위의 회화에서도 관람자와 작가에게 매우 친숙하게 여겨지는 정물을 소재로 채택함으로서 ‘회화의 장식성’에 관한 욕구를 풀어내고자 한다. 본인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흔히 볼 수 있는 정물이 아닌 화려하고 귀족적인 색채가 짙은 정물을 이용하는 것은 장식적인 화면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장식성 이외의 자연스러움, 즉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서 생겨나는 독특한 느낌을 위해 차용하게 된 것이 고대 벽화의 회화적인 아름다움이었다. 과거의 벽화들은 독특한 미감으로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켜 왔는데, 그 이유는 고대 벽화의 독특한 정신성에도 연유하겠지만, 무수한 시간의 흔적과 함께마모되어 없어진 부분과 남겨진 부분의 조화로움에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마치 이미 완성되어진 작품에 ‘시간’이라는 이름의 작가가 오랜 동안 벽화를 다듬어 새로운 아름다움을 발하는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나 다름없다. 본인은 고대 벽화가 현대인에게 주는 이러한 회화적 이미지를 정물화에 응용하여 오랜 시간 회화의 한 축을 이루었던 장식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오래된 벽화의 느낌을 빌려 그 느낌을 간직하면서 사람들이 끊임없이 원하였던 장식적 효과를, 관람자가 친숙하게 여기는 정물화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이 본인 작품의 목적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재에 이르기까지 장식에 관한 미의식(이하 ‘장식미론’이라 통칭)의 역사적 변화와 회화와의 관계, 본인 작품의 소재가 되는 정물의 의미와 동서양 정물화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시대와 장소에 따라 정물화는 각기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였지만, 이 연구에서는 특히 장식적인 측면으로 발현된 ‘일상적이지 않은 기물’과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오래된 벽화의 느낌을 재현하는 것이 주된 논의이다. 귀족적인 취향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기물을 그리고, 그 미적 매력을 배가시키기 위해 오래된 벽화의 박리 현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였다. 이 논문은 그러한 실험과 연구를 하는 과정 중에 전개되었으며, 이러한 기회를 통해 본인의 앞으로의 작업 세계에 한 단계 도약이 있기를 희망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 Ⅱ 본론 = 3 A. 이론적 배경 = 3 1. 장식성과 회화 = 3 a. 장식미론(裝飾美論) 변천 = 3 b. ‘장식성’과 회화 = 7 2. 장식성과 정물화 = 10 a. 동서양의 정물화 = 10 b. 장식성과 정물화 = 15 B. 조형적 방법 연구 = 18 1. 장식성으로 발현된 정물 = 18 a. ‘장식성’으로서의 정물 = 18 b. 정물의 조형적 표현 = 21 2. 벽화 이미지의 응용 = 22 a. 미적 요소로서의 벽화 이미지 = 23 b. 세부적 표현 = 24 Ⅲ 작품분석 = 27 Ⅴ 결론 = 49 참고문헌 = 51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825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벽화의 이미지를 응용한 장식적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Ornamental expression by adapting Mural Arts-
dc.creator.othernameLee, Mi Ji-
dc.format.pageⅵ,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