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6 Download: 0

장애인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자존감,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Title
장애인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자존감,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Physical Self- Efficacy and Obesity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Authors
정복자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포츠활동참여가 그들의 자존감, 신체적 자아효능감과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자 279명(스포츠활동참여자: 155명, 비참여자: 124명)을 선정하였다. 2004년 5월 현재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19세이상의 장애인(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배경변인을 포함한 스포츠활동설문지에 관한 항목 13개 문항, 자존감 검사항목 25개 문항, 신체적 자아효능감 22개 문항 등 총 6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비만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체전기저항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을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방법은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T검증(paired samples t-test), 상관관계,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본 연구의 스포츠활동참여 장애인집단의 스포츠활동 빈도는 주 1-2회, 12개월 이상, 1회 스포츠활동 시간은 60분이상을 주로 스포츠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스포츠활동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간의 자존감을 분석한 결과 스포츠활동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자존감의 하위영역인 자기비하영역, 지도력과 인기영역, 자기주장과 불안영역에서도 스포츠활동참여집단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1). 장애인 유형별 스포츠활동 참여집단의 자존감변인을 분석한 결과 타인과의 관계영역에서 지체장애인이 시각장애인인과 청각장애인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3. 신체적 자아효능감에 있어서 스포츠활동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신체적 자아효능감 하위변인인 신체능력 효능감영역에서 스포츠활동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 .001). 스포츠활동참여집단의 신체적 자아효능감을 장애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신체능력 효능감영역에서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이 지체장애인인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1). 자아표현 효능감영역에서는 시각장애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4. 스포츠활동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비만도를 분석한 결과 체질량지수 수치에 있어서 스포츠활동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0.82 높은 수치를 보였고, 체지방율에서도 스포츠활동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1.74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체지방율에서 지체장애인 스포츠활동참여집단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시각장애인 스포츠활동참여집단, 청각장애인 스포츠활동참여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1). 5. 스포츠활동 참여빈도와 기간에 따라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 하위변인인 자기주장과 불안영역점수의 변화량을 예측할 수 있는 설명변수는 스포츠활동 참여기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과의 관계영역점수의 변화량을 예측할 수 있는 설명변수는 스포츠활동 참여빈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력과 인기영역에서는 스포츠활동 참여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p< .05). 6. 스포츠활동 참여기간에 따라 신체적 자아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아효능감 하위변인인 신체능력 효능감영역점수의 변화량을 예측할 수 있는 설명변수는 스포츠활동 참여기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표현능력영역 점수의 변화량을 예측 할 수 있는 설명변수는 스포츠활동 참여기간인 것으로 나타났다(p< .05). 7. 체질량지수 수치의 변화량을 예측할 수 있는 설명변수는 스포츠활동 참여기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율 수치의 변화량을 예측 할 수 있는 설명변수는 스포츠활동 참여빈도와 기간인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ports activities on self-esteem, physical self-efficacy and obes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two hundred seventy nine peoples with two groups(participating sports group: 155, non-participating sports group : 124) in this study. The test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questionnaire for self-esteem(α= .89), physical self-efficacy(α= .83) and the obesity measured by BIA(osram, Japa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ere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udy indicated that among the subject of participating sports group, seventy three people participated 1-2 times for week, forty eight people 3-5 times for week, thirty four people more than 5 times for week. As to the duration of sport activities, thirty five people are of within 3months, fourteen people of 3-6months, eleven people of 6-12months, ninety five people of more than 12months. Seventeen people engaged in sports activities for less than 30 minutes per session. thirty nine people engaged between 30 and 60minutes per session. ninety nine people engaged for greater than 60 minutes per session. 2. The study indicated that participating sports group showed higher score than non-participating sports group in self-esteem, self-abasement, leadership, popularity, self-claim and anxiety with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study indicated that participating sports group showed higher score than non-participating sports group in physical self-efficacy with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perception of physical ability, physical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were affected by the duration (3, 6, 12month) and time(30, 60min, more than one hour) of participation of sport activities in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e perception of physical abilities was affected by the duration and time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5.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self-efficacy was affected by the duration and time of sport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