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0 Download: 0

정몽주의 정치활동 연구

Title
정몽주의 정치활동 연구
Authors
유경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이성계 세력의 조선 건국에 반대하여 끝까지 저항한 鄭夢周와 그 동조 세력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鄭夢周연구는 그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졌고 그 결과 성리학 사상의 義理精神을 몸소 실천한 한국 성리학의 원조로 추앙되었다. 그러나 사실 그가 어떠한 정치 이념을 바탕으로 어떠한 정치 활동을 통해 이성계 세력과 대항하여 고려를 유지하려고 했는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麗末鮮初 정치세력의 동향을 조명하는 한 방법으로 왕조 교체라는 정치적 변혁기에 활동한 정몽주와 그를 추종하여 고려 왕조를 유지하고자 그 동조 세력에 대해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정몽주는 한미한 가문 출신의 인물로 뛰어난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즉 학문적 능력에 의해 恭愍王代에는 일정한 정치적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禑王代에는 親元外交 반대 운동에 앞장서다가 李仁任 등 權臣들에 의해 배척되어 對明使行과 對日外交를 주로 담당하면서 外職을 떠돌아야 했다. 이 기간에 倭寇등의 침략으로 황폐해진 백성의 생활을 목격하면서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인임 세력을 제거한 崔瑩, 李成桂 등과 함께 田民辨正都監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그러나 또 다시 백성을 전쟁의 구렁텅이로 몰고 갈 崔瑩과 禑王의 遼東征伐정책보다는 대외적인 안정을 바탕으로 內政 改革을 이룰 수 있는 이성계의 威化島回軍을 지지하게 되었다. 그래서 田制 改革과 恭讓王을 추대하는 일에 대해 이성계 세력에 동조하였다. 한편 이 시기에 지금까지 교류해 온 자신의 교우 중 일부가 禑·昌왕이 살해되는 상황을 이미 고려의 멸망으로 간주하여 棄官落鄕하기도 하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정몽주의 사상의 핵심은 春秋의 大義名分을 바탕으로 한 역사관과 親明事大 實利 외교관, 그리고 성리학적 실천 윤리를 장려하여 불교적인 사회 습속을 개혁하려는 것이었다. 그리고 정몽주의 교우 중에는 혁명 세력에 가담하여 조선건국을 주도한 인물도 있으나 오히려 易姓革命에 반대했던 인물들이 많았다. 그러므로 恭讓王代 고려 왕조 옹호 세력의 중심으로서의 그의 위치가 바로 공민왕대·우왕대의 그의 정치 활동과 교우관계 그리고 그 사상에서 연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威化島 回軍 이후 이성계 세력이 추진한 田制 개혁과 禑·昌王의 폐위, 그리고 恭讓王의 등장 등은 전제의 문란을 해결하여 백성을 잘 살게 한다는 목적과 無能한 君主를 추방하고 새로운 정치 질서를 추구한다는 의미가 컸으므로 정몽주를 비롯한 많은 士大夫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정몽주의 交友 중의 한 부류 즉 李穡, 李崇仁 등은 전제 개혁에 반대하고 禑·昌王의 정통성을 인정하면서 回軍 이전의 정치질서로 복귀하고자 했다. 이들과 정치성향은 다르나 邊安烈을 중심으로 한 일군의 武裝세력도 우왕을 복위시켜 전제 개혁을 막아내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이성계 세력에 의해 「우창당」으로 지목되어 많은 인물들이 숙청된다. 「禑昌黨」에는 공민왕대, 우왕대 정몽주와 함께 활동한 그의 교우들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李穡, 李崇仁, 權近, 河崙 등) 그 밖의 다른 인물들은 유교적 소양과 관계없이 행오에서 출발하여 禑王代 富와 權力을 독점하면서 정치적 폐단을 야기시킨 경력을 가진 인물들이었기 때문에 정몽주는 이들의 처벌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만큼 정몽주의 개혁 의지가 확고했음을 암시하는 것이며 사태의 추이를 더 지켜보겠다는 의도로도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이성계 세력은 전제 개혁과 공양왕의 추대에 만족하지 않고 앞서 이미 숙청한 「禑昌黨」을 포함하여 소위 「5罪」를 만들어서 「彛初黨」, 「宗衍黨」, 「湧奇黨」등 그들의 건국 활동에 방해가 되는 인물들을 무자비하게 처벌하고 나섰다. 이렇게 사태가 확대되자 정몽주도 이성계 세력의 궁극적인 목표가 무엇인지를 알아차리게 되고 본격적인 동조 세력의 규합에 나서게 된다. 그 동조 세력의 핵심은 정몽주와 같이 전제 개혁에 참여하고 공양왕을 추대하여 새로운 정치 질서를 수립하고자 했던 인물들이다. 이들은 尹彛·李初사건을 전후한 시기에 이성계 세력의 혹독한 반대파 처리에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鄭夢周는 바로 이런 인물들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鄭夢周는 우선 자기 세력을 확대하기 위해 공양왕과 연대를 꾀하고 동왕 3년말경에는 5죄와 관련된 인물들의 사면 복권을 추진하여 앞서 「禑昌黨」으로 유배되었던 인물들 ―전제 개혁이나 공양왕 추대에서 鄭夢周와 입장을 달리했던―을 포함하여 그 동조 집단을 확대하게 되었다. 그리고 자기 세력내의 臺諫을 동원하여 이성계 세력과 합법적인 정치 대결을 벌인다. 그 결과 공양왕 4년에는 일시적으로 이성계의 수족인 조준, 정도전 등을 유배시키는 성과를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왕의 우유부단함으로 인해 이들을 재빠르게 처벌하지 못했고 군사 기반이 전무한 상태에서 李芳遠의 무단적인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고 鄭夢周라는 구심점을 잃자 그 세력은 와해되고 만다. 고려를 유지하고자 한 鄭夢周 동조 세력에는 고려 후기 명문세족으로 성장한 가문출신도 있었으나 그 세력내 신진사대부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고 그들은 鮮初에도 重刑에 처해졌다. 그리고 비록 세족 출신이라 하더라도 그 先代의 행적을 살펴본 결과 麗末에 각종 사회·경제적 폐단을 자아내면서 왕권을 약화시키며 자신들의 개인적 이익을 앞세워 왔다는 의미의 권문 세족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오히려 反元的 개혁 정치에 참여했고 性理學의 수용에 적극적이었고 科擧를 통해 출사했다. 그러므로 이들은 혁명 세력과 마찬가지로 당시 고려의 정치와 사회에 문제가 있음을 깨닫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을 易姓革命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하였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들의 정치 이념은 國王 中心의 强力한 집권체제를 세워서 權臣들의 발호를 막아 국가를 유지하는 것이었고 地方 土豪의 자의적인 民의 지배도 인정하지 않았다. 경제적으로는 전제 개혁을 통해 私田을 몰수하고 公田을 확대하는 것으로 거의 혁명 세력의 田制 改革案과 비견할 만한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 鄭夢周 동조 세력은 고려 국체를 유지하는 한에서의 정치 사회개혁을 지향했으므로 물론 그 개혁의 강도에 있어서는 혁명 세력보다 약하다고 할지라도 국방력의 강화와 경제 개혁을 통한 민생의 안정을 최고의 과제로 삼았고 정치적으로 강력한 왕권의 확립을 통해 그것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려 국의 유지에 있었으므로 전제개혁도 그 한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한계를 가지는 것이었다. 佛敎문제에 대해서도 정몽주보다도 강경한 斥佛論을 주장하는 인물도 있었으나 불교 문제가 정치와 결부되자 高麗 國體를 유지한다는 名分으로 斥佛論者를 탄압하기도 하였다. 정몽주는 비록 殉節했으나 조선 초에 그 동조 세력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의 선초의 동향은 크게 정몽주처럼 순절하거나 은둔하여 조선조에 출사하지 않고 생을 마친 인물과 조선조에서 다시 정치활동을 재개하는 인물로 나뉘어진다. 전자는 정몽주의 교우였으나 이미 고향에 은둔하여 후진을 양성하는 일에 힘쓰고 있던 길재나 孟希道, 金先致와 같은 부류인데 이들은 정몽주의 節義의 정신을 가장 잘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학문적 성격은 吉再의 學統을 이은 金宗直 등 士林派에게 傳授되었다. 그리고 그들에 의해 정몽주는 조선 성리학의 원조로 추존되기에 이른 것이다. 그런데 여말의 鄭夢周세력의 인물 중 많은 부분은 오히려 후자에 속하였다. 즉 이들은 麗末에 이루지 못한 자신들의 政治·社會改革 이념을―특히 강력한 王權 중심의 집권화된 통치 체제의 확립―조선 太宗朝 정권에 나아가서 실현함으로써 朝鮮王朝의 정치 체제의 확립에 기여하는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 This thesis aims to study Chong Mong-ju(鄭夢周) and his followers who obstinately struggled against Yi S ng-gye(李成桂) s founding of Choson dynasty(朝鮮). Previous studies of Chong Mong-ju(鄭夢周) focused mainly on Chong s individual or biographical aspects and established him as a typical pioneer of righteousness of Korean Neo-Confucianism(韓國性理學). We cannot read any detailed analysis of Ch ng s political ideology and activities in the realpolitik in these studies. This study tries to fill up this gap by thoroughly illuminating his political activites as a historical subject in the significant historical transition. Ch ng Mong-ju s family background is ignoble, and his ascendancy in political sphere can be said to be mainly due to his deep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sion. He experiences a sort of political ordeal in King U(禑王) because he refused to accept a pro-Yuan policy(親元外交). His political adversaries are Yi In-Im(李仁任) and his followers. During this period he is degraded to a sinecure dealing mainly with rather trivial diplomatic affiars concerning Ming(明) and Japan. This post enables him to see in person waegu(倭冠) s devastating influence upon Koryu peoples. As a result of this recognition he insists a serious reform in government policy in general should be promptly done. To realize this object he joins with Choe Yong(崔塋) and Yi song-gye and exerts some effort in Directorate for Reclassification of farmland and Farming Population(田民辨正都監). But King U(禑王) Ch oe Y nga s Riao-tung invasion(遼東征伐政策) which means another disaster on peoples makes him separate himself decidedly with them. He comes to stand for Yi S ng-gye s march back from Wihwu Island(威化島回軍), which he thinks will make it possible to establish the peaceful relationship with foreign power and concentrate on the domestic reform. He thinks Yi Song ju s favourable treatment of King-Kongyang(恭讓王) and the land reform(田制改革) acceptable. On the other hand, some of his followers consider King uchang(禑昌王) s death as the collapse of Koryu. Based on nominal status and role(名分) in Ch un ch iu(春秋學), Chong Mong-ju s political thought emphasizes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foreign policy toward Ming China(親明事大外交) and Neo-Confucianistic practical ethics. It insists the necessity of reforming the Buddhist habits of Koryu society in general. From these aspects, we can easily surmise what his political standpoint on the (역성) Revolution will be. Ch ng mong-ju s follower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men from well-known families and men having raised themselves from bottom like Chon mong-ju. Chon mong ju can be said to be more deeply influenced by the former group. Among his followers there are many who refuse to accept the (역성) Revolution. His position as a central figure of anti-Yi S ng-gye in King-Kongyang period is a kind of natural offspring of his previous political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in King Kongmin(恭愍王) and King U period. Yi Song-ju s policy after march back from Wihwu Island(威化島回軍), such as the land reform, dethronement of King uchang(禑昌王), and helping King-Kongyang, can achieve widespread support among Sadaebu(士大夫). It is considered to be the efficient way to ensure people s well-being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regime. But Yi Song-gye crosses the acceptable border and begins to punish ruthlessly his policial rivals who will possibly stand in his way to (역성) Revolution. Stimulated by Yi s activity Chong Mong-ju organizes a political group with members supporting King-Kongyang(恭讓王) and makes a campaign against the establishment of new dynasty. Chong Mong-ju tries to unite with King-Kongyang and insists the remission of Yi Song-gye s victims. He challenges Yi Song-gye in the legislative realm by employing the censorial organs(Taegan, 臺諫) in his group. His activities achieve some fruits such as the exiling of Cho Chun(趙竣), Ch ng To-j n(鄭道傳), the most important followers of Yi Song-gye in 1392. But lacking in military power he cannot endure Yi Pang-w n(李芳遠) s attack and his followers are dispersed in the end. Both the revolutionary camp and Chong Mong-ju s followers recognize the devastated reality of the late of Koryu. But Chong Mong-ju tries to solve this problem by applying different prescription than Yi Song-gye s. Chong Mong-ju and his followers make it their primary object to strengthen the army force and ensure people s well-being through the land reform. According to them the political subject to achieve these ends must be the legitimate and powerful king. But their policy of the land reform itself which seeks to enlarge public land(Kong jon, 公田) by confiscating private land(saj n, 私田) i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revolutionaries. There are many among Chong s camp who are from well-known and powerful families. They cannot accept the radical reform which means the loss of their well-established privileges. So they want to make reform as moderate as possible and to maintain the existing dynasty. After Chong Mong-ju becomes the loyal martyr, his follow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o live as recluse and the other is to regain the political activities in the new regime. The members of the former group,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real followers of Chong Mong-ju, are Kil Chae(吉再), Maeng Hi-do(孟希道) and Kim Son-chi(金先致). Sarim(士林派) in Yi Cho(李朝) such as Kim Chong-jik(金宗直) inherit their academic tradition and it is them who establish Chong Mong-ju as the founding father of Korean Neo-Confucianism. The second group of Chong s followers supplies its ideal of political and social reform to the new regime and help to make it the centralised absolutist dy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