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조선후기 목공가구의 일연구 : 면구성비를 중심으로

Title
조선후기 목공가구의 일연구 : 면구성비를 중심으로
Authors
배만실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장식미술과
Degree
Doctor
Abstract
韓國美術史에서 朝鮮시대 木工芸의 比重은 陶磁器와 마찬가지로 막중하게 言及되고 있다. 그러나 木工芸에 대한 硏究는 이제까지 매우 부진한 편이어서 그 아름다움을 말함에 있어 막연하게 構造美·堅實美·自然美등 觀念的인 表現으로 지적되고 있을 뿐이다. 그 갈이 다분히 審美的이고 抽象的인 表現을 再檢討하고 혹은 뒷받침하기 위하여 구체적이고 合理的인 美의 基本尺度로서 木工芸品을 분석해보자는데 本稿의 目的이 있으며 이에 木工芸가 본디 지닌 實用品으로서의 工芸性을 감안하면서 黃金分割의 比例分析方法을 적용시켜본 것이다. 하지만 木工芸라 하면 그 範圍가 넓고 잡다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木工芸를 代表하는 것으로 지목되는 木工家具에 제한하였고 그중에서도 비교적 形體가 커서 그 特性이 대담하고 솔직하게 표현된다고 인정되는 欌籠類 반다지類 書欌類 및 四方卓子와 文匣類를 우선 샘플삼아 擇하되 그것을 內室用 衣服收藏具와 사랑用의 文房收藏具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물론 工芸라 하면 材料·技術·意匠의 세 條件이 합치함으로써 성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外形上의 美的 構成을 밝히자는데 意圖가 있으므로 材料와 技術面을 차지하고 意匠중심으로 하였으며 또 材質·色感·기타 裝飾에 대해서까지 다음 기회에 미룸으로써 形 그 자체에 중점을 두고 比例分析을 검출하였다. 그리고 그들 木工家具를 직접 實測하는데 있어 여러모로 現存遺物의 制限을 받기 때문에 不得已 朝鮮시대 後期라는 다소 막연한 時代性을 부여하지 않을 수 없고 또 그들 물건의 性格으로 보아 中流이상 上流層에서 쓰던 것이라 線을 그어 본 것이다. 面分割上 나타나게 되는 여러가지 構成要素로서는 그 複合的 要素로서 몸체比·正面輪廓比·層比·平面比 重要構成比·體高를 기준한 다리높이 등을 살폈고 세부적인 單一要素로서 문짝·서랍·쥐벽칸·머름칸에 대해서도 따로 比例數値를 산출하였다. 그러한 分析은 家具 개개별로 검출할 뿐 아니라 種別로 집계하기도 하고 家具間의 橫的關係 및 실용상의 機能과 室內空間과의 유기적 상황도 分析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그들 木工家具는 하나도 같은게 없다고 할만큼 實測値에서 우선 千態萬別을 보이고 있음에도 거기 內在된 比例에 있어서는 상당히 整然한 秩序를 밝혀주었다. 즉 美學上 가장 調和있게 均衡을 이루었다고 하는 黃金比를 비롯하여 안정된 形態로서의 規範으로 지적되는 일련의 矩形比가 역시 유사하게 적용되면서 가장 높은 頻度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과거 韓國人들이 黃金比에 대한 知識을 갖지 않았지만 타고난 美的 性品과 體驗을 통하여 이미 東西古今에 상통되는 面分割의 比例美를 體得하고 있었음을 입증한다. 그것은 또한 當時(英祖朝 1725~1776) 社會規範의 確立과 歷史的 再定立을 불러 이르킨 西歐文物의 傳來·實學의 成長·科學·芸術의 發達과 더부러 擴大된 自我的 思考와 思想의 일대 轉換의 所産이었을지도 모른다. 이른바 그 時代의 獨自的이고도 實際的인 美意識은 바로 調和된 文化를 가춘 朝鮮時代 後期의 社會를 이룩하였을거라고 할 수 있다. ; It is well-known that the study of proportional beauty in crafts and architecture has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In the present century, there have been studies of ancient Korean art by several scholars, and also, there are some actual results. However, it is regretable that those studies are limited only to a description of works as they appear historically. These studies merely describe the shape of pattern or details of structure in a few fields like pottery, ancient architecture and stone towers, etc. Consequently, strong bases for the general studies of these art fields is not firmly established yet. Taking this into account, this thesis is intended to establish the norm in the furniture of the Yi-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portional beauty, so that the true nature of Korean artistic beauty can be revealed. Given the above purpose and significance, this thesis is developed with the following outline. Ⅰ. For studying the beauty of the furniture of the Yi-dynasty, the ideological expression of their beauty of structure, solidity, and nature, are pointed out, and their esthetic and abstract expression are re-examined. Also, as a definite and reasonable measure of the beauty, the method of the proportional beauty with the golden division is applied. Ⅱ. In the surface formation and single proportional analysis, it is studied that what sort of basic measure is used by calculation proportional numerical value of various kinds of furniture vertically. Ⅲ. In the compound proportional analysis, various kinds of furniture are examined individually by laying emphasis horizontally among furnitur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and inner space is analyzed in detail. The collected data shows, through the process of proportional calculation that proportion can be characterized by the Golden Mean 1:1.618, Root 1:2, 1:3. The proportional numerical value, which is similar to perfect square was frequently used in ancient Korean furniture. It is hardly believable that people of Yi-dynasty had knowledge of the Golden Mea and Root which is geometrical proportional numerical value. However, their esthetic sense which was created through their inborn artistic nature and experience, shows them to stand at the same plac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