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1 Download: 0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윤유경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전생애의 발달적 관점 (life-span developmental approach)에서 주관적 연령의 지각 양상, 특징을 질문지와 면접법으로 10대에서 60대 까지 분석한 것이다. 주관적 연령이란 각 개인이 느끼는 나이로써 연령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phenomenological approach)을 의미한다. 실제로 같은 생활 연령(chronological age)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도 그들이 같은 주관적 연령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령의 지각 양상을 기술 하며,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0대로부터 60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층의, 총 308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관적 연령의 지각 양상은 10대의 경우 자신들을 실제 생활연령보다 더 나이 들게 지각하였으며, 성인기 이후 집단은 자신들을 생활 연령보다 더 젊게 지각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생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주관적 연령의 지각간의 불일치도가 증가하였다. 주관적 연령의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연령은 이상적 연령(ideal age)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생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노화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갖는 사람일수록 주관적 연령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노화에 대한 태도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이상적 연령이었다. 이는 이상적 연령이 노화에 대한 태도를 시사하는 변인임을 말해준다. 주관적 연령 지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심리적 기능의 분석결과, 선행연구들(Linn & Hunter, 1979: Barak & Stern, 1986) 과 다르게 내외 통제성은 주관적 연령지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자존감(self esteem)은 주관적 연령이 강력한 예언 요인이었으며, 특히 생활연령이 증가하면서 연령 정체감을 낮게 가지는 사람일수록 자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능력에 대한 분석결과, 어휘력은 주관적 연령으로 예측할 수 있었으나 추리력이나 도형지각 능력은 주관적 연령으로 예측하지 못했다. 이는 주관적 연령지각이 결정적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가상적 상황에서 연구 대상자들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연령동일시 양상이 변화하는지 그 형태를 분석하였다. 연령동일시 경향은 자신의 동일한 연령층과 가장 많은 동일시를 보였고, 주관적 연령의 지각양상은 상황적용에서 그 특성이 나타났다. 비 자존감 상황보다는 자존감 상황에서 연구 대상자들이 더 많은 동일시를 보였는데 이는 연령지각이 연령에 개입된 부적가치를 제거하려는 방어기제와 관련된다는 설명과 일치한다. 본 연구를 조합해 볼 때, 주관적 연령의 지각은 이상적 연령, 노화에 대한 태도와 관련되는 변인이다. 생활연령 증가와 함께 자신의 주관적 연령을 더 젊게 지각하는 것이 더 나은 심리적 기능과 관련된다. 특히 연령지각의 기제는 연령지각에 따른 부적 가치를 제거해 내려는 인지적 노력이며 이는 자존감과 관련된 변인임을 시시하고 있다. ;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perception of subjective age from addolescence to old age. Considerable research in the aging field has demonstrated that many adults over 60 maintain subjective age identities that are younger than their actual age. Although self-perception of age have been widely studied in older adults, little is known about how or whether these views change or differ across the life span. As such, one goal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extend past research by examing subjective age across a wider developmental age range than has previously been studied. Using a questionnaire format and interview, 308 men and women from 12 to 67 years of age made judgements about how old they felt.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and thre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in their teens held older subjective age identity, whereas during the early adults years, individuals maintained same age identities. Across the middle and later adult years, individuals reported younger age identities. Second, discrepancies between subjective and actual age were associated with personal attitude of aging and ideal age. Third, adults with younger age identities reported higher self-esteem and better verbal score than adults with accurate or older age identity, suggesting that subjective age identity is an important predictor to psychological function. Fourth, self-esteem mediated age segmentation cue effect. Assigning positive meaning to age segmentation promoted age identity. The determination and measurement of self-perceived cue as an alternative to chronological age has received almost no attention in developmental psychology. But this study suggest that subjective age is an important predictor to psychological function. Study on subjective age with multiple age (12 ? 67 years) revealed that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subjective age were almost zero in the early adult group, suggesting that early adult years may be a transition period from same age to younger age identity. Younger subjective age identities is a from of defensive denial from the sigma attached to growing old. Successful aging is positively related to definition of oneself as younger than one’s actual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