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樹木의 평면적 표현

Title
樹木의 평면적 표현
Other Titles
A Study on Planar Expressions of Trees
Authors
전유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吳龍吉
Abstract
동양에서는 오래전부터 자연을 세속적이고 인간적인 감정에서 벗어나 은둔할 수 있는 편안하고 고요한 정적인 세계로 존경해 왔다. 또한 자연과 동화되는 것을 최고의 덕목으로 여겨왔으며, 이러한 견해를 회화적으로 서술하여 산수화로 표현하였다. 일반적으로 산수화(山水畵)는 말 그대로 산과 물 즉, 자연이 갖는 구체적 형상인 산수자연(山水自然)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 스스로가 보고 느낀 자연에 대한 감상을 붓을 통하여 수묵 또는 채색의 방법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또한 산수화는 일반적인 외형을 그린 것 외에 문인(文人)들의 이념까지 반영하는 의미도 포함한다. 즉, 공자(孔子)와 종병(宗炳,375~443,중국 남북조시대 송나라의 화가)을 비롯한 철학가들의 와유(臥遊)사상을 내포하는 산수화가 그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명이 고도화 되고 문화의 범주가 넓어지게 되면서 현대사회의 미술은 단순 재현의 의미가 사라짐과 동시에 공간의 개념도 변화하게 되었다. 그리고 화면 안에서의 공간은 새로운 것에 의한 질서와 또 다른 구조와 형태를 요구한다. 이에 산수화 역시 현대적 변형으로, 사의(寫意)적 개념의 중요성보다는 조형적 표현방법의 중요성이 더 비중있게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산수화의 수목(樹木)표현에 있어서 전통적인 수법(樹法)에서 벗어나 주관적 시점에서의 해석과 기법을 통해 수목의 평면적 표현이라는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이것을 수목이 빽빽이 들어선 숲의 풍경을 화면 가득히 전면화하여 평면적이면서 주관적인 구도로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론적 연구에서는 동양의 산수화와 서양의 풍경화에 있어서, 정신적 배경과 표현의 방법 그리고 조형성과 공간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전통 산수화에서 역대 작가들의 수목표현에 대하여서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산수화와 풍경화의 수목표현에 있어서도 구도와 시점, 그리고 기법 등 이들이 갖고 있는 유사점을 이론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어떻게 본인 작품에 적용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적인 연구에서는 수목의 평면화를 위해 단위요소, 즉 텃치의 반복적 구축으로써 원근의 변화를 줄이고 형태를 단순화시켜 화면의 평면화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붓(筆)의 운용(運用)에 있어서는 짧게 끊어지는 붓질로써 한뜸 한뜸 바느질 하듯이 표현하였다. 아울러 천연염료의 담채효과를 이용하여 화면의 안정감과 다양한 내용들을 조화하고 융합하여 하나의 조형체로 안착시켜 좀 더 평면성을 강조해 보았다. 본인은 이러한 수목의 평면적 표현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산수화의 새로운 표현방법으로써의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것이 산수의 새로운 주관적 조형의식의 작업으로 보여지 길 바란다.;In the Oriental world, nature has long been venerated as a comfortable and tranquil world where men could escape from the mundane and human emotions to be secluded. Moreover, the Oriental people thought it the utmost virtue to be assimilated into nature, and thereupon, expressed the nature through landscape paintings. In general, landscape paintings are literally expressions of mountains, livers and the nature at large; painters use brushes to express in ink or colors what they see and feel about the nature. In addition, landscape paintings encompass not only those descriptions of nature but also the literary men's ideology. Namely, landscape paintings may connote the in-nature free life thoughts championed by such Oriental philosophers as Confucius and Jongbyong (375~443, a painter during Sung dynasty). However, as the civilization has become sophisticated with a wider scope of culture, the fine art in our modern society no longer reproduces the objects, while its concept of space has changed. And the space within the canvas requires an order for new things as well as different structures and forms. Thus, landscape paintings have varied to be modern; a meditative concept is less important than a formative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part from the traditional techniques for expression of trees in landscape paintings and instead, suggest a method of expression, called a planar expression of trees, for a subjective viewpoint, and thereby, describe the landscape of a wood filled with trees as a foreground of canvas to present a subjective composi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mpared Oriental and Occidental landscape paintings in terms of their spiritual background, expressive methods, interpretation of forms and space, and then, examined the expressions of trees by traditional landscape painters, and thereupon, reviewed the expressions of trees in two genres of landscape paintings in terms of composition, viewpoint and techniques and then, applied the results of such reviews to researchers' works. In terms of methodology, unit elements, namely the touches were repeatedly used for a planar expression of trees and reduced variables of the perspective as well as for simpler forms; the ultimate goal was a planar canvas. In terms of brush touches, the trees were expressed with shorter touches as if a cloth were needed meticulously. In addition, the think coloring effects of the natural dye stuff were used to realize a stable canvas, strike a harmony among diverse contents, stabilize them into a form and thereby, highlight the planar nature of the canvas. As discussed above, the researcher explored the possibility of new expressions for landscape paintings by examining their planar expression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beginning of a new subjective formative work for landscape pain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