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동굴 이미지를 통한 도자조형 연구

Title
동굴 이미지를 통한 도자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eramic Formation Through the Images of Cave
Authors
신정은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정현
Abstract
Since the beginning, human has been in its existence with Nature or the effect of Nature and in favor of Nature in a way of pursuing the beauty. Nature is the basic of shape standard of harmony and balance, and unlimited treasure chest of shape and coloration. In itself, Nature create the mobile rhythm according to the well organized guidelines, at the some time, provide enough space. Also,Nature provide constantly not only the material substance, but philosophy and emotions which can be realized by looking at Nature closely. Such Nature is the material of artistic expression and completed only if artist study the unlimited beauty of Nature and express with his/her philosophy not just copying. Among the natural creatures, the cave that has not been in contact with human can be a good material of artistic expression. In its process of creation, Limestone, light-acid water which contains Carbon dioxide, and the time to become certain size are needed, and the life energy can be felt since the process is in continuance. Since the cave is the miniature of Nature and gives the fascination by providing a variety of formativeness and the images felt over-fire the will of creation. On theoretic side, Nature and formativeness has been looked through. And the definition of the cave, the limestone cave that has been created under the limestone layer by physical and chemical effect, the volcano cave that has been created during the period of out-bursting volcano, the erosion of the sea cave that is often found around the sea cliff are discussed, especially the character of 2nd product, such as an stalactite, a stalagmite, a stone pillar and an oyster that are the materials of the work a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examples of other artists that remind the images of the cave have been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the image world of from by use of the diversified products of cave and re-identify the impression of the cave. The motive led to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which is the emotion to express the character of cave's from into the creative beauty. In the process of forcing, the limestone cave or under-world palace which bears forest of a stalactite, a stalagmite is selected as a basic model, and through 2nd products which decorates the empty space of the cave, based on the formic character, realistically or imaginary changed, deleted, and emphasiz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show the concept of the space that the cave bears, the entire mood was expressed. The diversified character of form has been reorganized to create one complete cave. Coiling-technique was used in the creating procedure for natural expression based on the size and form. Also, pressurization-correction which sued a gypsum mold and press-molding has been used for reproduction. When correcting the work, Stoneware clay-bodies was used for effective showing of character of the work. In creation of glaze, white-matted, was used and no light and crystallization were added to show the cave's texture and the original color. Also, siliceous soda was used to express the strong and natural texture. The way of form, applied with brush or the that are thick has been applied with spray and immerse for better coloring. The clay works were fired in a 0.5㎥ and 1.5㎥ gas kilns. The bisquit firing was raised to 900℃ in eight hours. The glaze firing reached a temperature of 1,280℃ in eight hours. This was an oxidation firing. By applying and using the image of the cave to express the part of Nature with, the beauty of the form was realized. The clay and by showing the cave with pottery through systematic character of the cave, and formative image, the cave is understood as unlimited possibility of artistic creation. Also, the value of cave's form was found and through the emotion and the imagination of the scholar, it became a turning point to express the diversified product. Based on such a conclusion, with a new approach and a new understanding, the cave was realized as a place of variety of forms and tremendous amount of texture. From today and on, as a material of Natur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ve and active creation as a part of formative expression are expected. And hopefully through the intensive study of formation progress to developed ceramic expression.;인간은 예로부터 자연 혹은 자연현상과 더불어 공존해 왔으며 미를 추구하기 위한 대상으로 자연을 선호해 왔었다. 자연은 모든 형상의 기초이며 조화와 균형의 척도이고 형태와 색채의 무한한 보고이다. 그 속에서 질서 정연한 원칙에 따라서 움직이는 리듬을 창조함과 동시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자연은 우리 인간에게 눈에 보이는 물질적인 재료뿐 만 아니라 그것을 관찰함으로써 깨달을 수 있는 사상, 감정을 끊임없이 제공해 왔다. 이런 자연은 예술표현의 소재로써 예술가들이 자연의 깊고, 끝없는 아름다움을 탐구하면서 단지 모방만이 아닌 예술가의 정신으로 표현할 때 예술미는 이루어진다. 자연물 가운데 인간의 손이 덜 닿아 미지의 세계로 알려진 동굴은 예술표현이 좋은 대상이 될 수 있다. 동굴은 자연의 형태를 축소해 놓았으며 다양한 조형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자는 조형적인 창작 의지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자연과 예술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동굴의 형태적인 특성을 탐색한 후, 연구자의 주관적인 심상을 통하여 도자조형물로 형상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은 동굴의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자연과 조형예술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동굴의 일반적인 고찰을 위하여 동굴의 정의와 특히 작품의 소재가 되는 석회동굴의 2차생성물인 종유석, 석순, 석화, 동굴산호, 돌기둥 등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동굴의 이미지를 조형화한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제시하면서 그 조형성과 특징들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들을 조형과정의 기초로 삼고 태토를 표현매체로 10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조형과정에서는 종유석, 석순, 등 마치 숲처럼 장관을 이루어 지하궁전이라 불리는 석회동굴을 기본대상으로 하고 그 공간을 장식하는 2차 생성물들을 통해 조형적 특징을 살려 구조적인인 특성에 따라 사실적으로 혹은 추상적으로 변화, 생략, 강조하였다. 이때 동굴이 지니는 공간감을 나타내기 위해 동굴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표현해 주었다. 2차 생성물들의 다양한 형태적 특성은 재구성하여 각 조형물들을 하나의 동굴로써 완성시키는데 주력하였다. 작품의 제작 방법으로는 작품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표현을 위해 코일링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반복제작을 위해 석고틀을 이용한 가압성형과 판성형, 모델링 기법도 병행하였다. 작품성형 시 점토는 작품에 따른 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석기질 태토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동굴의 질감표현과 동굴의 원초적인 색상을 잘 나타내기 위해서 무광택유와 결정유를 조합하였다. 시유시 석기질 점토를 이용한 작품은 유약의 흡수율을 줄이고 발색효과를 높이기 위해 초벌된 기물에 화장토를 얇게 바른 후 시유하기도 하였고, 질감표현을 위해 산화철(Fe₂0₃)과 이산화망간(MnO₂), 탄산동(CuCO₃), 산화크롬(Cr₂O₃),산화코발트(CoO) 등의 산화물을 직접 바르거나 유약을 바른 후 닦아 내기도 하였다. 또한 규산소다를 이용하는 기법으로 보다 강렬하고 자연스러운 질감표현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시유 방법으로는 붓으로 바르거나 두께가 두꺼운 작품은 분무시유, 담금 시유를 병행하여 발색이 잘 되도록 하였다. 소성은 0.5㎥ 도염식 가마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900℃를 마침온도로 8시간동안의 1차 소성 후 2차 소성으로 0.5㎥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1,280℃를 마침 온도로 산화염 소성하였다. 더 좋은 발색을 위하여 동일한 가스가마에서 약 1100℃온도로 8시간 산화염으로 3차 소성하였다. 동굴의 이미지를 응용해 흙으로 표현하는 것이 자연의 일부분인 동굴의 내재된 조형미를 인식할 수 있었고 동굴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특징, 형태적 특성의 이미지를 통하여 도자 조형물로 나타냄으로써 동굴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조형의 대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굴의 조형적인 가치를 발견하고 연구자의 감성과 상상력을 통해 다양성을 가진 작품으로 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동굴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으로 동굴은 풍부한 질감과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조형작품으로는 표현하기에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존재임을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자연의 소재로써 동굴이 조형적인 인식, 그리고 적극적인 창작활동으로 조형표현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보며 깊이 있는 조형성의 연구를 통해 발전적인 도자표현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