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윤정-
dc.creator송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9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1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912-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을 일상의 길상무늬에 적용함으로서 복을 기원하였다. 이러한 복의 염원은 다양한 ‘복(福)’자를 이용한 생활용품으로 발전되었고 본 연구자는 이러한 예술적 가치를 지닌 무늬를 이용하여 조형 작업을 하였다. 이 연구는 문자의 사회 의미작용을 기호학적 접근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호학은 미술의 가치기준을 제공하고, 의미작용의 대상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있어 모든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공통의 의미세계를 규명하는 일이다. 또한 기호학은 미술작품을 독특하고 보편적인 존재론적 지위를 지닌 대상으로 간주하지 않고, 끊임없는 기호 생산과 해석 과정을 포함하는 인간 문화 일반의 관점에서 조망될 여러 대상들 중 하나로 간주하는 관점을 제공한다. 기호학은 기호가 사회적으로 구축된 대상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기호학적 분석은 상식 수준의 결론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상징, 도상, 지표 등의 기호학적 공식들은 현대사회의 일반 현상들을 분석 가능한 적합한 수단으로 이용되어진다. 연구자는 우리나라 길상 문자 중 ‘복(福)’자를 중심으로 기호학적 분석을 적용함으로서 복자의 의미세계를 더욱 다양하고 폭 넓게 다루고자 하였다. 이론적 근거는 기호학자인 퍼어스(C. S. Peirce)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퍼어스는 기호를 표상체(Representamen), 해석체(Interpretant), 대상(Object)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표상체는 기호가 취하는 형식이고 해석체는 기호 해석자의 마음에 생성된 심리적 이미지의 기호의 의미로 간주 할 수 있으며, 대상은 기호가 지시하는 대상이다. 기호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주관적이며 수용자 중심으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즉 해석자가 계속 변화한다는 것이다. 심상은 생기자마자 새로운 기호가 되고 다시 해석체를 가지게 된다. 기호자용은 이런 식으로 끊임없이 이어지고, 기호의 의미는 고정 되지 않은 채 계속적으로 변동한다. 퍼어스는 나아가 상징(Symbol), 도상(Icon), 지표(Index)의 삼분법으로 분류한다. 여기에서 상징은 가장 관례적인 기호로서 자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자는 ‘복(福)’자를 상징의 기호의미로 해석하고 관례적인 의미를 재조명하고 자 하였다. 복자가 도상, 지표, 상징 모두로 해석이 가능하지만 본 연구자는 복자를 하나의 기호로 인식하는 상징으로 간주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복자를 레이저 컷팅 가공기법이라는 21세기의 신기술을 이용하여 복자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나아가 시각언어로 의미전달을 가능하게 하였다. 레이저 컷팅기법은 글자 하나하나에 생명력을 넣을 수 있는 매개체가 되었고 글자가 글자의미가 아닌 하나의 완전히 다른 의미로서의 존재를 표현 할 수 있는 새로운 매카니즘이 되었다. 이 기법은 복자의 끊임없는 반복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러한 반복은 복자가 기호로서의 존재론적 지위를 지닌 대상으로 간주될 수 있도록 하였다. 비트켄슈타인(Wittgenstein)은 유아시절 하나의 단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반복학습을 통하여야 가능 하다고 주장한 것처럼 복자의 계속적인 반복은 복자를 인식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즉 대상의 그림이 그 단어의 의미가 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비트켄슈타인은 언어와 인간, 좀 더 정확히는 언어와 삶의 형식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서 언어의 의미가 인간 활동 속에서의 언어의 사용에 달려 있다고 하였다. 복자가 하나인 것과 여러 개가 있는 것은 상이한 차이를 보인다. 복자 한글자만 컷팅 되어있는 것은 복의 의미가 뚜렷하게 전달되어지는 반면 끊임없는 반복은 형이상학적 조형구조를 형성 하게 된다. 이 구조를 본 연구자는 기호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기호는 제 삼의 의사소통(communication) 의미 전달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통은 사회적 조건 변화에 기인하며 예술의 사회적 소통의 주된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예술이 하나의 언어이며, 가능한 어떤 세계를 표상한다고 정의될 때, 그것은 반드시 그 의미가 해석되고 이해가 가능한 대상이다. 즉 예술 작품은 예술적인 언어를 통해서 그가 대상으로 하는 사물 현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언어는 그 언어가 의미하고자 하는 대상(substitution)의 대치이며, 언어를 통해 그 대상은 의미로 바뀌게 된다. 상징이란 구체적인 사물이나 관념이 기호 즉 넓은 의미의 언어로써 대신 될 때 생기는 과정이다. 이 상징이라는 인식과정을 통해 사물이나 관념은 의미를 부여 받는다. 결국 비트켄슈타인이 언어라고 하는 것은 삶과 분리 될 수 없는 것이라는 주장처럼 언어가 없이는 인간의 삶은 성립되기가 어렵다. 이런 의미에서 언어 행위는 인간의 삶의 기본 구조라 할 수 있다. 즉 복자는 인간 삶의 행복기원의 바램을 지니고 있는 언어이며 컷팅의 시각적 언어의 상징인 기호인 것이다. 상징(symbol)이란 복잡한 사물이나 관념, 사상을 간편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들과 관련된 물상(物象) 에 의하여 그 의미를 대표시키는 것이다. 상징은 지적 기호는 아니며, 특수한 정신적 또는 감정적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많다. 예술, 과학, 종교, 철학, 기술, 정치 등과 같은 인간 생활은 상징적 표현이 가능한 인간에게만 있다. 복자를 기호학적 분류법인 상징은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한 방법인 것이다. 즉 언어의 작용을 통하여 대중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상징의 지위는 언어적인 것이고, 암묵리의 명확한 언어 상의 관례 내지는 통칙으로 어떤 것을 지시하는 기호로 정의된다.; A human being has desired happiness for a long time for their human society as using life ornaments. These culture has regard as Chinese characters are the basis of communication in their society. These are an plane being that are direct, abstract are instructive, and the reflections of each nation's thoughts, history and culture. Accordingly, characters have their unique structure for each nation, and their shape and function have were sometimes used as patterns that have a symbolic meaning.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based on Semiotics theory as C. S. Peirce who is opinion that the activity of exchanging messages through signals. That means that it studies communication process. He grouped into three parts that are Icon, Index, Symbol that meaning with happiness(福).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ssibility of Symbol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happiness(福) patterns that contain our thoughts and customs through laser cutting processing art works. On the basis of this theoretical procedure, total 8 works were produced by using engrave technique among expression techniques in laser cutting processing. For materials of this work, I use vertical silk, polyester silk, synthetic leather that are cutting without difficulties.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ing the effect symbolic meaning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happiness patterns, I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for visualizing human basic desires. Second, modern image of happiness(福) was reconstructed by analyzing formative elements of characters as a motive of works by form, color, materials possibility to create art work was proposed. Third, It is not good to transfer the art work to the receiver one-sidedly from the producer (artist). Th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viewer and artist to recreate the meaning. When mentioning the art working activity, it is necessary to relate it to semiotics. Studying semiotics results in more efficient designing activity. Forth, Laser cutting processing was attempted to introduce various expression and apply new expression technique of material to art work. In future, expression technique of material using laser-cutting processing will be attempted variously. In this study, the author was attempted to various analysis of happiness(福) as Symbol and laser-cutting progress wa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for extending creative ex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 1 2. 기호학 관점에서 본 ‘복(福)’자의 예술적 가치 = 3 2.1. ‘복(福)’자의 기호학적 해석 = 3 2.2. ‘복(福)’字의 조형성 = 9 3. 레이저 컷팅 기법과 조형표현 = 14 3.1. 레이저 컷팅 기법의 특성 = 14 3.2. 레이저와 컷팅을 이용한 조형표현 = 22 4. 작품 제작 = 29 4.1. 작품 제작의도 및 방법 = 29 4.2. 작품분석 = 32 5. 결론 = 58 참고 문헌 = 61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080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레이저 컷팅을 이용한 복(福)자의 기호학적 해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iber Art Using a Laser-Cutting Processing Technique Focused on Happiness(福) Pattern-
dc.creator.othernameSong, Yoon Jung-
dc.format.pageⅹ,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